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84459731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8-07-02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Chapter 1: 자유
차를 도난당했어요! 그런데 도둑들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요?∥친구가 내게 그만 뚱뚱해지라고 하네요. 하지만 자기가 상관할 일이 아니지 않나요?∥트위터에 글을 쓸 때 조심해야 하나요?∥페이스북 중독이어도 괜찮나요?∥자전거 헬멧을 안 썼다고 경찰에게 걸렸어요. 자전거 헬멧을 꼭 써야 하나요?∥육식이 나쁘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생각해야 하지 않나요?∥더 큰 집을 바라는 게 잘못인가요?∥로봇에게 일자리를 빼앗겼어요. 어떻게 해야 하죠?
Chapter 2: 평등
우리 지역의 골프 클럽은 공정한가요?∥굳이 투표를 해야 하나요?∥가족들이 보고 싶은 게 전부 달라요. TV에서 무엇을 볼지 어떻게 결정해야 하나요?∥이제 곧 아기가 태어날 텐데요. 우리 중 누가 아기를 돌봐야 하죠?∥경기가 잘 안 보여요. 항의해야 할까요?∥내 아이들이 내가 거둔 성공의 혜택을 누려야 할까요?∥나는 충분히 벌고 있나요?∥운이 나쁘고 싶어서 나쁜 게 아닌데 국가가 나의 불운을 보상해주었으면 좋겠어요.
Chapter 3: 권력과 권위
내게 햄스터 먹이를 주어야 할 의무가 있나요?∥걱정이 되지만 아이들한테 집을 맡기고 휴가를 가도 될까요?∥인터넷에 내 생활을 올려야 할까요?∥뉴스를 믿을 수 있을까요?∥십대 아들이 나한테 ‘파시스트’라고 그러네요. 정말 그럴까요?∥새로 맡은 부서의 직원들이 옛 상사를 그리워합니다. 부원들을 다 해고해야 할까요?∥나무 몇 그루 때문에 감옥에 가야 하나요?∥결혼을 해야 하나요?
Chapter 4: 권리
비행기가 무인도에 추락했어요. 구조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데 그동안 나와 다른 생존자들은 어떻게 지내야 할까요?∥방금 UFO를 봤어요! 정부는 왜 우리에게 거짓말을 하죠?∥화성으로 이민을 가야 하나요?∥로봇을 해고할 수 있나요?∥또 말도 안 되는 사람이 뽑혔습니다. IQ에 따라 투표권을 주어야 할까요?∥어딘가에 폭탄이 있어요. 그걸 찾아내기 위해 어떤 일까지 해야 할까요?∥교사인데 부업으로 누드모델을 하고 있어요. 이게 문제가 되나요?∥직업과 신념이 충돌합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Chapter 5: 정의
공정무역 커피를 마셔야 하나요?∥우리나라가 전쟁에 나가려 합니다. 지지해야 하나요?∥적대적 관계에 있는 이웃 나라에서 핵무기를 개발하고 있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이에 우리 정부는 선제공격을 하려 합니다. 지지해야 하나요?∥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의 국내 문제에 개입하려 한다면 나는 그 결정을 지지해야 하나요?∥새로 생긴 정당이 ‘진보적 변화’를 약속합니다. 그들이 뭔가 새로운 걸 제시해줄 거라고 믿어도 될까요?∥아이를 가져야 하나요?∥자선단체에 꼭 기부해야 하나요?∥할리우드 영화에서는 왜 그렇게 미래를 어둡게 그릴까요?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상대적으로 밀은 언론의 자유를 제한해야 한다는 주장에는 거의 지면을 쓰지 않는다. 밀이 보기에 당시 사회에서는 언론의 자유가 위험에 처해 있었으므로 언론의 자유를 수호하는 것이 제한하는 것보다 정당하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밀의 주장에 따르면, 언론의 자유는 앞으로 발생할 위해나, 비방, 명예훼손(한 사람의 명성을 해치는 거짓된 말이나 글)에서 누군가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때에만 유일하게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를 제외하면 아무리 혐오스러운 생각을 표현하고 인신공격을 해도 자유로운 표현을 제약하는 것은 자유 그 자체에 더 큰 피해를 주게 된다.
_Chapter 1 자유
‘서류상’ 많은 평등을 이루었지만 페미니스트들은 이것으로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호주 작가 저메인 그리어는 “세상 여자들 대부분이 여전히 두려움과 굶주림에 시달리고, 여전히 종교의 온갖 속박에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짓눌리며, 얼굴을 드러내지 못하고 재갈물리고 절단당하고 매를 맞고 있다”고 평가했다. 문제는 평등을 가로막는 법적 제한만이 아니다. 밀이 두려워했던 것처럼 사회적 수단(관습, 규범, 태도, 의견 등)을 통해 여자에게 가해지는 압박이다. 따라서 ‘2세대 페미니즘’은 사회에 뿌리내린 것으로 보이는 여성혐오와 남성의 편견을 바로잡고자 했다. 미국 페미니스트 작가 케이트 밀레트는 ‘가부장제’라고 부른 질서에 반기를 들었다. 여자들은 이 가부장제를 바꾸기 위해 자신의 외모, ‘허락된’ 행동 방식과 말하기 방식, ‘여성스럽고’ ‘꼭 끼는’ 옷차림까지 모두 바꾸어야 했다.
_Chapter 2 평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