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88984777392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목차
제1부. 대한제국의 산업디자인 교육의 뿌리
제1장. 개항기 고종의 관립공업전습소, 부국강병을 꿈꾸며 시작한 근대 도화교육
1. 개화기 신교육으로서의 실업교육과 관립공업전습소 설립
2. 두 개의 시선: 1907년 관립공업전습소와 1910년 조선총독부공업전습소
3. 고종: 용기화교육을 통한 근대화의 신념
제2장. 공업연구회와 『공업계』에서 보는 한국 산업디자인 개념의 시원
1. 신규식과 박찬익 조선의 근대적 엔지니어의 자부심으로 발행한 『공업계』
2. 『공업계』에서 보이는 산업디자인 개념의 시원
제2부. 일제강점기 바우하우스와 만난 조선인
제3장. 동경 유학을 통한 일본식 바우하우스 교육과의 만남
1. 일본의 바우하우스교육 도입
2. 1935년 이후 제국미술학교의 도안교육
3. 김재석: 제국미술학교 유학생과 바우하우스 교육의 조우
제4장. 국내 일본식 바우하우스 교육의 고독한 탐색
1. 한국의 바우하우스 교육의 도입 시기
2. 한국의 바우하우스 교육의 도입 특징
3. 최유련: 홀로 바우하우스 교육을 탐색한 교사
■ 최유련 기록사진/ 디자인, 데상, 풍경, 인물, 정물의 습작/ 사진작품
제5장. 식민권력의 지방도시 개발과 도화교육의 맨 얼굴
1. 일제강점기 지방도시 근대화 연구들
2. 대구와 용인의 지역경제개발과 근대교육
3. 대구와 용인의 근대적 도화교육의 식민지 근대성
제3부. 해방직후 식민지 교육의 잔재 청산
제6장. 1950년대 후반 미국의 창의성 중심 조형교육의 도입과 전환
1. 해방 이후 일제 식민지교육의 청산에 대한 고찰
2. 민주주의적 인간의 양성: 창의성 중심 조형교육으로
3. 박휘락: 『새교육 과정에 의한 우리학교 미술교육②』(1964)
■ 글을 마치며: 우연과 운명의 만남과 함께 __251
■ 부록자료: 귀중 자료 소장처, 목차, 주요 내용 한국어 번역
1. 공업연구회, 『공업계』(1909-1910) 5권
2. 최유련 『도화과지도세목』(1938) 주요 원문과 한국어 해제: 박휘락 개인 소장
3. 박휘락의 주요 이론참고서, 『평화를 위한 교육』(1959): 목차, 서희정 개인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