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모바일 미디어

모바일 미디어

(디지털 유목민의 감각)

강상현, 김택환, 유세경, 황근, 도준호, 한동섭, 김대호, 김은미, 강명현, 김도연, 심용운, 전형석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000원 -0% 0원
1,050원
19,950원 >
21,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100원
18,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모바일 미디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모바일 미디어 (디지털 유목민의 감각)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88984996434
· 쪽수 : 275쪽
· 출판일 : 2006-08-25

책 소개

모바일 미디어가 만드는 세상과 모바일 미디어를 사용하는 사람에 대한 연구서. 지금 우리에게 모바일 미디어가 갖는 의미와 현상에 대해 생활, 문화, 경제, 법, 정책 분야에 걸쳐 커뮤니케이션 연구자들이 진행한 다양한 시각의 연구를 모았다. 책은 모바일 미디어가 디지털 컨버전스와 유비쿼터스의 선두에 있으며, 우리가 모바일 미디어 없이는 살 수 없는 디지털 유목민이 되고 있다고 말한다.

목차

1부 모바일 미디어 시대

1. 유비쿼터스 신화와 모바일 미디어
매스 미디어에서 모바일 미디어까지
기술의 발전과 진화
유비쿼터스 모바일 미디어의 5가지 특성
확산과 비전
모바일 미디어의 명암
세계의 유비쿼터스 전략과 한국
가설과 현실

2. 미디어 대전쟁과 모바일 미디어
디지털 기술 혁명과 미디어 빅뱅
미디어 융합, 그리고 전쟁
차세대 대표 미디어는 무엇이 될 것인가
모바일 미디어 서비스 현황
미디어 대전쟁과 모바일 미디어
보완 미디어인가 경쟁 미디어인가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

3. 누가, 왜 모바일 미디어를 이용하는가?
모바일 미디어가 나의 삶을 바꾼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란?
누가 모바일 인터넷을 이용하는가?
정말 모바일이 움직이는 미디어일까?
어떤 콘텐츠를 얼마나 이용하는가?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4. 모바일 미디어 이용의 사회적 맥락
청소년의 문자 메시지 이용을 중심으로
문자 메시지의 확산
문자 메시지 기술의 속성과 사회적 활용
청소년과 휴대전화 그리고 문자 메시지
문자 메시지와 휴대전화 확산의 사회적 영향

2부 모바일 미디어와 사회

5. 모바일 미디어와 정치
미디어 정치에서 매개 정치로
모바일 미디어 시대의 정치 커뮤니케이션 이해
모바일 미디어를 통한 정치 커뮤니케이션
모바일 미디어 정치의 음영: 감시 사회에 대한 우려
모바일 미디어를 통한 숙의적 참여 정치는 가능한 것인가?

6. 모바일 커뮤니케이션과 사회 문화
기술과 인간이 만났다
인간이 기술을 지배하는가? 기술이 인간을 지배하는가?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사회를 분석하기 위한 틀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사회 문화적 함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수용
모바일 기술이 인간을 더 행복하게 하는가?

7. 모바일 미디어와 콘텐츠
새로운 콘텐츠가 등장했다
모바일 콘텐츠의 개념과 유형
모바일 방송 콘텐츠
모바일 콘텐츠의 전망과 과제

8. 모바일 미디어와 기술의 진화
기술의 확산
모바일 네트워크
서비스 전송
서비스 구현
단말 기술
융합 그리고 발전
모바일 미디어 기술의 미래

3부 모바일 방송

9. 모바일 TV의 기술 진화 및 전망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미디어 서비스 수요 변화
모바일 미디어의 진화 방향과 모바일 TV 시장 전망
기술 표준과
주요 이슈: 표준화, 수익 모델, 규제
새로운 시장, 누가 먼저 차지할 것인가

10. DMB와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방송 미디어의 새로운 역사
DMB, 방송 미디어
DMB의 커뮤니케이션 특성
모바일 미디어를 통한 인간의 확장

11. 모바일 방송은 누가 어떻게 이용하는가?
위성 DMB의 초기 사용자들
위성 DMB의 특징과
위성 DMB의 이용 행태
이용자가 만족하는 DMB

저자소개

강상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로,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동, 디지털 방송론, 레토릭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아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한국언론정보학회 회장, 한국방송학회 회장, 디지털방송활성화위원회 실무위원장,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 공동위원장,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장과 커뮤니케이션대학원장,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책으로는 《정보 통신 혁명과 한국 사회: 뉴 미디어 패러독스》, 《크리스티안 푹스의 초국적 정보자본주의 비판》, 《한국 사회의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공저), 《모바일 미디어》(공저), 《공영방송의 이해》(공저), 《디지털 방송론》(공저), 《디지털 시대, 미디어의 이해와 활용》(공편), 《시민이 열어가는 지식 정보 사회》(공저), 《지배 권력과 제도 언론》(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김택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가비전 전략가이자 4차 산업혁명?독일전문가이다. 이같은 주제로 국회, 자치단체, 경제계와 기업 등에서 약 300회 이상 강의한 특강 강사로 유명하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 중앙일보 기자, 광주 세계웹콘텐츠페스티발 조직위원장을 거쳐 현재 경기대 특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민주평통자문회의 상임위원이기도 하다. 저자는 “한국의 미래(Next Korea)는 독일을 뛰어넘어야(beyond Germany) 한다”고 강조한다. 다시는 일본, 중국, 러시아, 미국 등에 당하지 않기 위함이다. 독일은 부강한 나라로 평화통일을 이루고 유럽의 중심국가다. 이를 위해 《넥스트 코리아》, 《넥스트 리더십》, 《넥스트 이코노미》, 《넥스트 인더스트리 - 21세기 대한민국 국부론》, 《넥스트 월드&코리아-세계경제패권전쟁과 한반도의 미래》 등을 집필했다. 《넥스트 프레지던트》는 <넥스트> 시리즈 여덟번째 책이다. 성균관대를 졸업한 후 독일 본대학교에서 언론학과 정치학을 공부해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미국 조지타운대 방문학자를 지냈다. 세계신문협회(WAN)와 한국신문협회 자문위원을 지냈다.
펼치기
유세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공부하고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캠퍼스 Radio-TV-Film학과에서 MA를 취득하였다. 같은 대학에서 저널리즘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SBS 편성국 연구위원을 지내고 현재 이화여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방송학회 학술대회 조직위원장, 한국 방송학보 편집위원장,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 학회장을 지냈다. 저서로는《매스미디어와 현대정치》(편저),《인간과 커뮤니케이션》(공저),《방송학 원론》,《글로벌커뮤니케이션》등이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미디어 경제학,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방송영상 경영/편성이다.
펼치기
황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선문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학위취득 후 한국방송개발원(현재 한국콘텐츠진흥원) 정책연구실에서 근무하였다. 방송법제연구회 회장과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회 회장, KBS 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 ‘4차산업혁명과 미디어의 진화’, ‘미디어 공진화’ ‘공영방송과 정책갈등’ ‘방송재원’ ‘모바일 미디어 : 디지털 유목민의 감각’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누구를 위한 전쟁이었나 : 한국전쟁의 진실과 의미’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방송사업자 재허가・재승인 제도 개선방안’ ‘미디어 융합 시대 방송 사업 인수・합병 심사제도 개선방안 연구 : ‘공익성 심사’ 제도를 중심으로’, ‘공영방송 수신료 개선방안 연구 : ‘절차적 정당성’ 확보 방안을 중심으로’, ‘네거티브 선거 쟁점과 투표행위 관계 연구 : 제18대 대통령 선거사례를 중심으로’ ‘대중미디어를 통한 정책홍보 문제점 해결방안 연구’ ‘전쟁과 커뮤니케이션 : 전쟁의 명암’ ‘전쟁 보도 : 전시 언론통제방식의 변화’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and Media Politics’ ‘설득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본 한국전쟁 심리전 평가’ ‘뉴미디어 시대의 방송심리전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김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며 사회과학대학 학장으로 일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영국 버밍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일본 와세다대학교 등 해외 여러 대학의 방문교수를 역임했고,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 등으로 활동했다. 방송위원회 선임연구원과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으로 일했다.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등 정부의 여러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한국방송광고공사 등 공공기관에서 비상임이사로 일했다. KT 이사, SBS 이사 등으로 일했다. 한국이 자유민주주의를 증진하고 디지털 전환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표하는 국가가 되도록 하는 거버넌스를 마련하는 데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저서로 『자유시장주의 미디어 거버넌스』(2022), 『AI시대에 가치 있는 것들』(2021), 『한국의 미디어 거버넌스』(2020), 『블록체인 거버넌스』(2019), 『Media governance in Korea 1980∼2017』(2018), 『인공지능 거버넌스』(2018), 『공유경제』(2017), 『4차 산업혁명』(2016), 『인터넷 거버넌스』(2015), 『Who owns the world’s media?: Media concentration and ownership around the world』(공저, 2015) 등이 있고, 국내외 학술지에 수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김은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교수이며 연합전공 정보문화학의 교육에도 참여하고 있는 뉴미디어 연구자다. 학부와 대학원에서 대인커뮤니케이션, 문화콘텐츠와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미디어와 인간관계,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등을 강의한다. 국민대학교와 연세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연구와 교육에 임하는 시기가 우연히도 디지털 미디어가 빠른 속도로 확산하면서 사회의 거의 모든 영역에 크고 작은 변화를 일으키는 기간이었다. 사회 전 분야에 걸쳐 미디어 기술과 서비스가 가져오는 변화와 이에 대한 개인적·사회적 대응에 연구 관심을 쏟아왔으며 특히 학제 간 연구에 많은 흥미를 가지고 있다. 미디어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만큼 이에 대한 호기심을 풀어내다 보니 2015년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조사에서 신문방송학 분야 총피인용횟수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최근에는 미디어 콘텐츠의 구전 현상을 대상으로 미디어 생태계가 대인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어떻게 접목되는가를 관찰하고 있으며 디지털 미디어 안에서 이루어지는 크고 작은 창의적 활동과 문화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창의성은 무엇이고 어떻게 계발되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공저서로는 『창조성의 원천』(2013), 『SNS혁명의 신화와 실제』(2011)[중국어 번역본 『한국 사교 매체 문화: SNS의 발전과 한국 사회(韓國社交媒體文化: SNS的發展與韓國社會)』(2015)], 『우리는 마이크로 소사이어티로 간다』(2008) 등이 있으며 가장 최근에는 Handbook of Mediated Communication(2018)과 Handbook of Korean Culture and Society(2017)에 챕터 저자로 참여했다.
펼치기
강명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졸업(문학석사) ∙미국 Michigan State University, Ph. D. (Mass Media 박사) [경력] ∙방송위원회 연구원 ∙한국방송학회 이사 ∙한국방송학회 <방송산업과 정책> 연구회 회장 ∙한국소통학회 회장 ∙방송통신위원회 자체평가위원 ∙(현)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교수 [논문, 저서] ∙한국 방송정책의 이념 ∙공영방송의 이해(공저) ∙디지털시대의 방송편성론(공저) ∙미디어 환경변화와 공정경쟁 정책의 방향 외 다수
펼치기
김도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대 불어과와 동 대학원에서 프랑스어를 전공하고 파리 13대학에서 언어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지금은 독자들에게 좋은 책을 소개하고 싶은 마음에 책을 기획하고 만드는 일을 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마지막 욕망』 『가벼운 마음』 『그리움의 정원에서』 『다른 딸』 『나의 페르시아어 수업』 『라플란드의 밤』 『내 손 놓지 마』 『내 욕망의 리스트』 등이 있다.
펼치기
심용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SK경영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이다. 영국 웨스트민스터대학교에서 정보통신정책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SK텔레콤 정책연구팀장, 컨버전스연구팀장, 방송위원회 연구원을 역임했다. 정보사회학회, 미디어경영학회, 언론학회, 방송학회에서 이사 및 감사, ≪정보사회와 미디어≫와 ≪방송통신연구≫ 등 학술지 편집위원,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전파진흥원 자문 및 심의조정위원 등 학계와 산업계에서 폭넓게 활동하고 있다. 『마르퀴스후스후(Marquis Who’s Who)』(2018년판)에 등재되었고 2018년도에 앨버트닐슨마르퀴스평생공로상(Albert Neilson Marquis Lifetime Achievement Award)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2014), 『ICT 생태계』(2014), 『콘텐츠』(2013), 『소셜미디어』(2012), 『미디어 생태계』(2011), 『미디어의 미래』(2008), 『컨버전스 2.0시대의 비즈니스』(2007) 등 10여 권의 공저가 있다.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Telecommunications Policy를 포함한 SSCI 국제 학술지에 1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전형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 연구센터 연구원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