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간, 초연결 사회를 살다

인간, 초연결 사회를 살다

전경란, 김성철, 이상우, 심용운, 김대호, 최선규, 이재신, 신동희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540원
17,460원 >
18,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400원 -10% 720원 12,240원 >

책 이미지

인간, 초연결 사회를 살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간, 초연결 사회를 살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40200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15-08-12

책 소개

8명의 학자가 초연결 사회의 미래를 토론하고 집필한 책.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플랫폼, 콘텐츠와 같은 초연결 사회의 주요 어젠다를 논의했다.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대처할지, 기술 관점이 아닌 사회 관점이 필요한 시점이다.

목차

머리말

01 초연결 사회와 사회적 신뢰
초연결 사회란 무엇인가?
한국의 사회 문제
초연결 사회가 제공하는 기회와 위협
사회적 신뢰 증진을 위한 초연결 사회
인간 중심의 초연결 사회
참고문헌

02 사물인터넷의 기회와 위협
사물인터넷이란 무엇인가?
사물인터넷은 어떤 기회를 제공하는가?
사물인터넷이 주는 위협은 무엇인가?
사물인터넷의 미래를 위한 고려 사항
사물인터넷의 미래
참고문헌

03 빅데이터와 맥락
사회기술적 시스템으로서 빅데이터
빅데이터와 사용자
참고문헌

04 플랫폼의 미래
플랫폼
플랫폼과 양면 시장
플랫폼 경제학
공유경제와 플랫폼의 미래
참고문헌

05 콘텐츠의 미래
미디어동시사용과 TV 시청
인터넷의 등장과 콘텐츠 소비 패턴의 변화
소비자와 저자가 함께 만들어 가는 콘텐츠 제작 사례
시청자 참여형 콘텐츠 제작의 중요성
콘텐츠의 미래
참고문헌

06 인간의 미래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욕망
포스트휴먼: 정보통신기술 진화와 인간
미래의 인간 I: 인간을 닮은 인공지능 로봇
미래의 인간 II: 영생불멸 프로젝트 ‘홀로그램 인간 ’
포스트휴먼은 실현 가능한가
포스트휴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참고문헌

07 지식의 미래
사회와 지식의 변화
ICT의 부상과 새로운 지식 문화의 형성
지식의 미래
ICT 시대 지식의 명암
참고문헌

08 기술의 미래
기술의 의미와 관점
기술과 자연, 그리고 엔트로피
엔트로피와 생명
생명의 본질
기술의 본질
생명 기술의 작동 원리
미래 기술의 진화 방향
또 다른 진행 방향
참고문헌

저자소개

전경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의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전공 부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디지털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상호작용성과 서사성의 충돌과 타협”으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위원회 연구원, 문화방송 전문연구위원, 게임물등급위원회 등급위원, 지역발전위원회 전문위원, 교육부 정책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2017년 현재 게임문화재단 이사로 활동 중이다. 디지털로 변화하는 인간의 소통 방식과 사회관계 그리고 문화 의식 등에 관심이 있다. 인터랙티브 미디어와 디지털 콘텐츠, 다양한 디지털 문화 현상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미디어 리터러시의 이해>(2015), <디지털 게임이란 무엇인가>(2014), <ICT 생태계>(2014), <콘텐츠>(2013) 등이 있으며,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 다큐멘터리의 진화”(2016), “디지털 시대의 네트워크 지식과 지식생산의 의미에 대한 고찰”(2014), “디지털 만화에 대한 학술연구의 동향과 함의”(2013) 등의 연구논문을 저술했다.
펼치기
김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이며 미디어산업과 뉴미디어 관련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미시건주립대학교에서 미디어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SK에서 정보통신분야 신규사업을 담당했고 개방형 직위인 서울특별시 정보시스템담당관을 거쳐 카이스트(구-한국정보통신대학교) IT 경영학부 부학부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초빙연구원, 고려대학교 부설 정보문화연구소장, 고려대학교 도서관장,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 한국정보사회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지능정보기술과 사회문제 연구센터와 미디어산업 연구센터를 설립하여 급변하는 지능정보사회의 문제와 미디어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략과 정책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상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다. 미디어·콘텐츠·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의 이해, ICT·미디어·콘텐츠 산업론, 뉴미디어 세미나 등을 강의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텔레커뮤니케이션 석사학위를, 인디애나주립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방송 산업과 방송통신 융합 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 수립에 기여했다.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 정보통신정책학회 책임편집위원, 정보통신정책학회 총무이사 등을 역임했고, 현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편집이사, 한국미디어경영학회 총무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미디어 다양성』(공저, 2011), 『미디어 생태계』(공저, 2011), 『소셜미디어』(공저, 2012),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공저, 2014) 등이 있고, Journal of Media Economic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Information Economics and Polic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등의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펼치기
이상우의 다른 책 >
심용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SK경영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이다. 영국 웨스트민스터대학교에서 정보통신정책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SK텔레콤 정책연구팀장, 컨버전스연구팀장, 방송위원회 연구원을 역임했다. 정보사회학회, 미디어경영학회, 언론학회, 방송학회에서 이사 및 감사, ≪정보사회와 미디어≫와 ≪방송통신연구≫ 등 학술지 편집위원,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전파진흥원 자문 및 심의조정위원 등 학계와 산업계에서 폭넓게 활동하고 있다. 『마르퀴스후스후(Marquis Who’s Who)』(2018년판)에 등재되었고 2018년도에 앨버트닐슨마르퀴스평생공로상(Albert Neilson Marquis Lifetime Achievement Award)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2014), 『ICT 생태계』(2014), 『콘텐츠』(2013), 『소셜미디어』(2012), 『미디어 생태계』(2011), 『미디어의 미래』(2008), 『컨버전스 2.0시대의 비즈니스』(2007) 등 10여 권의 공저가 있다.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Telecommunications Policy를 포함한 SSCI 국제 학술지에 1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김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영국 버밍엄대학교에서 언론문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위원회 선임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을 역임했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경영대학원 교환교수, 프랑스 르아브르대학교 초빙교수, 일본 와세다대학교 교환교수를 지냈다.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을 지냈고, 한국방송학회, 한국언론학회의 연구이사 등으로 활동하였다. 대통령 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이자 창조경제분과 간사로 활동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 창조경제자문위원회 위원,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정책자문위원회,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정부의 디지털방송추진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 우수학자로 선정되었다. 저서로 『콘텐츠』(공저, 2013), 『ICT 생태계』(공저, 2014) 외 다수가 있으며, Media, Culture and Society,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info: The Journal of Policy, Regulation and Strategy for Telecommunication Information and Media를 비롯한 다수의 국내외 학술지에 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최선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지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교수다. 인디애나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과 ICU 경영학부 교수를 지냈다. 저서로 『BBC 미래 전략』(공저, 2010)이 있고, 논문으로 “Broadband Boom in Korea: What sets Korea apart?”(2007), “융합미디어의 규제정책: 네트워크 규제와 서비스 규제를 중심으로”(2009), “Media Convergence: Drivers, Impact and Regulatory Challenge” (2010), “뉴스시장의 경쟁과 미디어 편향성”(공저, 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이재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와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공업화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시간주립대학교에서 텔레커뮤니케이션학 석사, 코넬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R&I 멀티미디어 대표, 싱가포르 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 스쿨 교수를 지냈다. 저서로는 <감정과 느낌으로서의 위험: 뇌 과학과 생물학적 접근>(2018), <뇌과학과 커뮤니케이션>(2015) 등이 있으며 “유료 OTT 서비스 추천 콘텐츠 시청의도의 영향 요인 탐구” (2021), “국내 지상파 방송사 웹사이트 디자인의 시기별 변화에 대한 탐구”(2020)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기술영향평가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인터넷자율규제기구(KISO)에서 정책위원, 검색어검증위원장, 인공지능 신기술위원장 등을 맡고 있다.
펼치기
신동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중국 정부의 인재초빙프로그램인 백인계획에 초빙되어 저장대학(Zhejiang University)의 School of Media and International Culture와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09∼2016년에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정교수, 인터랙션연구소 소장과 BK21플러스사업(인터랙션)단장을 역임했고 성균관대학교 SKKU 펠로(2011)이며 한국연구재단의 우수학자로 선정되었다(2014). 교육부의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사업 해외초빙학자를 역임했다(2008∼2013). 한국언론학회, 한국HCI학회, 미디어경영학회, 정보통신정책학회, 한국정보사회학회에서 이사를 역임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 교환교수를 역임했다(2015∼2016).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Telecommunications Policy, Computers in Human Behaviors,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등의 편집위원 및 편집인이다. 최근 저술로는 『VR, AI, 저널리즘』(2017), 『컴퓨테이셔널 저널리즘』(2016), 『인간, 초연결 사회를 살다』(2016), 『빅데이털러지』(2015), 『인간과 빅데이터의 상호작용』(2014), 『디지털 광고환경 변화와 언론사의 대응전략』(2014), 『언론학교육의 혁신모델』(2014), 『빅데이터와 언론』(2014), 『ICT 생태계』(2014), 『인간과 컴퓨터의 어울림』(2014), 『휴머니타스 테크놀로지』(2013), 『스마트 융합과 통섭』(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초연결 사회에서는 사회적 신뢰를 높이고 사회 통합을 증진해야 한다. 김대호

결국 사물인터넷의 중심은 사물이 아닌 사람이며 고객의 니즈, 사용자 경험, 신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김성철

빅데이터를 통해 무엇을 하려는지가 명확해야 어떤 데이터를 수집 분석해야 하는가 하는 전술적 문제들이 확실해진다. 즉 빅데이터 분석은 프로젝트가 아닌 프로세스다. 신동희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 등 새로운 디지털 정보통신 기술이 플랫폼에 적용되면서 플랫폼은 공유경제라는 새로운 영역을 창조해 내고 있다. 최선규

비선형적이고 참여적인 콘텐츠 소비 방식은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선형적 콘텐츠 소비 방식보다 훨씬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상우

포스트 휴먼이란 인간과 기술의 융합으로 나타나는 미래의 인간상을 일컫는 말로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심용운

지식은 집단적 협업을 통해, 보다 완전하고 의미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유용성을 가질 수 있는 형태가 되고 있다. 전경란

중요한 것은 인간의 기술 진화 방향이 결국 자연이 만들어 낸 생명이 걸어온 길과 상당히 유사하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생명이 곧 기술이기 때문이다. 이재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44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