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84998261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07-11-30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머리말
1. 커뮤니케이션의 사회분석을 위한 원칙
비판적 실증주의
관계중심적 사유양식
커뮤니케이션의 객관화
2. 커뮤니케이션의 사회적 논리
실천의 합리성
문화적 실천
교육커뮤니케이션의 탈신비화
3. 커뮤니케이션의 사회적 장
저널리즘 장의 사회학
발견에 도움이 되면서도 한계를 지닌 도구로서 ‘장’이라는 범주
정치커뮤니케이션:장의 문제
과학 장과 예술 장
4. 커뮤니케이션, 지배, 그리고 노동의 사회적 분업
커뮤니케이션에 의한 재생산
커뮤니케이션과 상징폭력
노동의 커뮤니케이션적 분업
5. 커뮤니케이션의 사회심리학
심리학주의와 사회심리학
하비투스, 커뮤니케이션의 인류학적 기초
삶, 사회적인 것 속에서의 숙명
6. 커뮤니케이션, 언어, 의미작용
언어학과 그 활용에 대한 비판
주해과학의 난점
‘하이데거’의 분석사례
가독성이라는 허상
맺음말 - 커뮤니케이션학의 사회분석을 위한 요소
부록
부르디외의 커뮤니케이션 이론-더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
지은이 소개
옮긴이 소개
책속에서
부르디외 사회학이 통속적이거나 현학적인 에세이주의를 비판한다고 해서 곧장 모든 이론적 야심까지 포기하기에 이르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와는 반대로, 사회세계의 현실에 담론의 기반을 두고 (장의 분석과 함께) 모델화하려는 이중적인 노력으로부터 개념화 작업은 새로운 가치를 부여받는다. 부르디외 사회학이 사회의 내기물이자 사회적 게임으로서 커뮤니케이션을 파악하는 데 다른 관점들보다 더 낫다고 할 수 있는 또 다른 이유로는 무엇이 있을까?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중심이 되는 사회공간을 이해하는 데 장 개념이 지니는 장점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치 장뿐만 아니라 과학 장과 예술 장을 분석한 연구들이 훌륭한 모델을 제공한다. 부르디외는 장의 몇몇 일반적인 특성을 강조한 바 있다. 그것은 우선 “위치들의 구조화된 공간”이다. 이 공간은 거기에 속한 행위자들만이 공유하는 고유한 내기물과 이해관계에 따라 규정된다. 공시적인 관점에서 장의 구조는 행위자들 사이의 세력관계의 상태로서 나타난다. 이 행위자들은 어떤 이익, 특히 상징적인 이익을 얻기 위한 투쟁에 연루되는데, 이는 결국 게임의 공간 내부에서 그들의 정당성이나 자본을 강화하려는 성격의 투쟁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