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85467759
· 쪽수 : 792쪽
· 출판일 : 2009-01-15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이 책을 읽는 분들께
추천사
옮긴이의 글
서문
제1부 1세기 지중해 연안의 경제와 사회
제1장 | 고대 지중해 연안의 사회 유형
1.1 진보한 농업 사회
1.2 진보한 농업 사회의 핵심 요인
제2장 | 고대 지중해 연안의 경제적 상황
2.1 고대 경제에 대한 논의
2.2. 지중해 지역 경제의 경계 조건
2.2.1 생산: 기술과 노동 조직
2.2.2 분배: 호혜-재분배-시장
2.2.3 화폐: 그 기능과 가치
2.3 고대 지중해 연안 경제의 개별적 특성들
2.3.1 농업
2.3.2 주민들의 고충
제3장 | 고대 지중해 연안의 계층과 사회적 상황
3.1 고대 저술가들의 관점에서 본 사회적 차등화
3.2 고대 사회에 대한 현대적 계층 분석의 기준
3.2.1 계층과 지위
3.2.2 계층 분석의 기준: 권력-특권-명성
3.2.3 여성에 대한 고려의 문제
3.3 고대 사회의 한 모델: 엘리트 그리고 비엘리트
3.3.1 상위 계층 집단
3.3.2 하위 계층 집단들
3.4 엘리트: 상위 계층 집단들
3.4.1 다양한 상류 계층 집단
3.4.2 상위 계층과 부
3.5 비엘리트: 하위 계층 집단들
3.5.1 최저생계수준의 산출
3.5.2 하위 계층에 대한 개괄적인 분류
3.5.3 하위 계층과 빈곤
초기
그리스도교의
사회사
제2부 이스라엘에서 유대교의 사회사, 그리고 예수 따름
서문
제4장 | 이스라엘 땅의 경제적 상황
4.1 이스라엘의 농업, 수공업, 상공업: 이스라엘 땅의 경제에서 결정적 요인들
4.2 이스라엘의 조세 제도
4.2.1 국세
4.2.2 종교세
4.3. 성전의 경제적 의미
제5장 | 이스라엘의 사회적 발전
5.1 그리스 왕국과 하스몬 통치 하에서 상위 계층의 변동
5.2 로마와 헤롯 가문 통치기의 유대 사회 구조
제6장 | 헬레니즘-로마 시대 이스라엘 땅의 다원적 종교 상황
6.1 종교 기구: 성전, 회당, 가정
6.2 헬레니즘-로마 시대의 기본적인 종교적 성향
6.2.1 정결함과 고행: 경계짓기 행위
6.2.2 반체제 현상으로서 묵시사상
6.3 헬레니즘-로마 시대의 집단 형성
6.3.1 종교사적 진술의 문제
6.3.2 일탈 집단으로서의 에세네파, 바리새파, 사두개파
6.3.3 에세네파, 바리새파, 사두개파의 귀속 계층
6.4 헤롯-로마 시대의 예언자적-카리스마적 운동과 개별적 인물들
6.4.1 마술적이고 예언자적인 개별 인물들
6.4.2 예언자적-카리스마적 저항 운동(‘표징 예언자들’)
6.5 종교·정치적-사회·혁명적 저항 운동들
6.5.1 비폭력 저항 그리고 대중적 항의
6.5.2 종교·정치적-사회·혁명적 저항 및 반란 운동의 다양성
6.5.3 사회적 비적 떼와 (메시아) 참칭자들
6.5.4 반로마 반란 집단
제7장 | 신약성서 시대 이스라엘 땅에서 예수 따름
7.1 이스라엘에서 예수 따름의 근원초기
그리스도교의
사회사
7.1.1 해석의 종교사회학적 모델
7.1.2 이스라엘에서 예수 따름의 시작
7.2 유대 지방에 생겨난 하나님의 공동체
제8장 | 서기 70년 이후 이스라엘의 메시아적 공동체
8.1 신약성서 자료들
8.2 메시아적 공동체의 사회적 구성
8.3 서기 70년 이후 이스라엘에서 메시아적 공동체와 다른 유대교 세력과의 갈등 - 근본적 고찰
8.3.1 자료에 나타난 갈등
8.3.2 결론 및 사회학적 해석
제3부 로마 제국의 도시들 안에 있던 그리스도 신앙 공동체 사회사
서문
제9장 | 그리스도 신앙 공동체의 개념과 기본적 특징
9.1 에클레시아의 개념
9.1.1 실제 집회로서의 에클레시아
9.1.2 공동체로서의 에클레이아
9.2 도시적 환경과 무제약적 사회 교류
9.2.1 도시적 환경
9.2.2 그리스도 공동체 안에서 유대인과 이방인의 제약 없는 사회적 교류
9.3 고대 사회에서 그리스도 신앙 공동체와 유사한 현상들
9.3.1 그리스도 신앙인들의 집회와 대중 집회
9.3.2 공동체로서의 에클레시아 - 가정과 가족
9.3.3 에클레시아와 고대의 협의회
9.4 에클레시아를 고대의 유비 콘텍스트에 배치하기
9.4.1 에클레시아에 대한 현대 사회학의 분류
9.4.2 ‘배속된’ 종교
9.4.3 가상의 정치 기관·가상의 친족 집단으로서의 에클레시아
제10장 | 그리스도 신앙 공동체의 사회적 구성
10.1 연구 현황
10.2 바울 공동체의 사회적 구성
10.2.1 바울 공동체의 일반적인 특성
10.2.2 바울의 사회적 지위
10.3 70년 이후 도시에 있던 그리스도 공동체의 사회적 구성
10.3.1 하위 계층 집단
10.3.2 상위 계층 집단
제11장 | 그리스도를 믿는 이들의 외부 갈등 - 이방 세계, 디아스포라 유대교와의 갈등
11.1 차별하기와 범죄시하기 - 이교도와의 사회적 갈등과 형법상의 갈등
11.1.1 법정과 관련된 몇 가지 갈등 사례
11.1.2 그리스도 신앙인들을 범죄시하게 된 원인과 배경
11.1.3 이방 사람들과의 갈등초기
그리스도교의
사회사
11.2 디아스포라 유대교가 그리스도 신앙 공동체와 거리를 두다
11.2.1 개별적인 갈등들
11.2.2 유대교와 ‘그리스도교’ 갈등 - 결론 및 사회학적 해석
제4부 지중해 세계와 초대 그리스도교에서 여성의 사회적 역할과 사회적 상황
서문
제12장 | 성의 차이에 따른 영역, 그리고 지중해 연안 사회에서 여성의 사회적 계층 소속성
12.1 공공성, 가정살림, 그리고 ‘자연스런’성 분할
12.1.1 여성과 정치
12.1.2 여성과 공공성
12.1.3 가정살림과 성차별적 역할 분담
12.2 여성들의 계층 소속과 사회 상황
12.2.1 상류 계층의 여성들
12.2.2 하류 계층과 여성의 노동
제13장 | 이스라엘 땅에서 예수를 따르는 여성들
13.1. 예수 운동에서의 여성들
13.1.1 예수 운동에서의 여성들에 관한 직접적인 언급들
13.1.2 예수 운동에서 여성들에 관한 간접적인 진술들
13.1.3 여인들과 예수
13.2 이스라엘 땅에서의 여성들과 예수 따름
제14장 | 그리스도교 도시공동체에서의 여성들
14.1 여성들의 에클레시아 소속
14.2 그리스도를 믿는 여성들의 계층 소속
14.3 에클레시아 공동체 삶과 여성들의 참여
14.3.1 에클레시아의 기능과 역할 면에서 여성들의 참여
14.3.2 에클레시아의 기능과 역할에 여성들이 참여하는 것을 제한함
주석
참고 문헌
본문 약어표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을 통해 드러난 ‘초기 그리스도교’의 모습은 현대의 그리스도교 교회에게 근본적인 도전이다. 자본으로 비대해지고, 권력과 야합하고, 문자주의적 성서 해석으로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교회에게는 더더욱 불편한 진실이 아닐 수 없다. 오늘의 대형 교회가 본래의 예수 따름과 얼마나 동떨어져 있는지 알기 위해 굳이 학문적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충격적인 차이를 가능하면 은폐하고, 왜곡하고, 변명하는 교회와 신학에 맞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학문적으로 철저한 연구와 문제제기가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슈테게만 형제의 사회사적 분석과 해석으로 조명된 ‘초기 그리스도교’의 원형은 교회주의와 성공주의에 사로잡혀 자기의 뿌리를 돌아보지 않는 교회를 향한 철저한 비판이다. 자기의 근원에 대한 역사적 성찰을 도외시한 집단은 ― 부르크하르트의 표현을 빌자면 ― 결국 “야만성”을 드러낼 뿐이다.
― <옮긴이의 글> 중에서
(전략) 역사적으로 최초의 예수 따름과 예루살렘 초기 교회 및 유다 지역의 교회들은 유대 민족 패망(기원 후 70년) 이전에 생겨난 것으로 추정한다면 ,마태복음과 요한복음은 70년 이후 이스라엘의 도시적 메시아 공동체를 대표합니다. 그러므로 이스라엘 땅에서의 “예수 따름”이라는 개념으로 원래의 예수 운동, 그리고 마태복음과 요한복음을 통해 드러난 70년 이후 이스라엘에서 발생한 예루살렘 원시 교회와 유다 지역의 교회들, 메시아적 공동체들을 총괄합니다. 그러므로 이 시대, 곧 초기 그리스도교의 사회사는 역사적 예수와 신약성서를 이해하는 데 아주 중요합니다. (후략)
― <추천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