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ISBN : 9788986167795
· 쪽수 : 254쪽
· 출판일 : 2001-03-30
책 소개
목차
Ⅰ. 정보시대와 인문학의 위기: 서양인문학의 이념과 과학주의의 도전/박찬길
1. 서론: 정보화와 인문학의 위기
2. 전통인문학의 이념과 정보사회의 논리
3. 인문적 가치와 과학주의의 도전
4. 결론: 정보시대 인문학의 한계와 가능성
Ⅱ. 정보사회의 철학 시론:정보화 사회의 생활체계와 사회적 가치구조의 형태변화/홍윤기, 최순옥, 이필렬
1. 정보화 과정과 인간 조건
2. 컴퓨터-매개적 통신(CMC)과 컴퓨터-매개적 위기(CMC)
3. 정보화 과정 특유의 정보개념과 정보가치
4. 정보·통신 기술 체계에 대한 정보이론적 근거정립과 디지털체계
5. 정보의 실제적 가치와 사이버네틱스적 사회공학
6. 정보적 삶과 자유의 원리
Ⅲ. 정보화의 사회적 의미와 과제/이재경
1. 서론
2. 정보화의 의미
3. 정보화에 대한 사회과학적 논의의 흐름
4. 정책적 논의의 흐름
5. 정보화를 위한 한국사회의 과제
Ⅳ. 인문학의 "위기" 와 디지털 인문학/조지형
1. 서론: "위기" 뿐인가?
2. 인문학의 정보화환경
3. 하이퍼텍스트성과 인문학적 사유
4. 제도적 인문학과 "열린"학문
5. 결론: 상생의 흐름속에 개화하는 인문학
Ⅴ. 유토피아론과 디스토피아론을 넘어서: 정보화통신사회에 대한 프랑스의 인문주의적 비판과 설찰/김도훈
1. 서론: 정보화통신사회라는 상징체계의 신화
2. 유토피아론의 비판
3. 디스토피아론의 비판과 유토피아론을 위한 변명
4. 유토피아론과 디스토피아론을 넘어서
- 책을 맺어며
- 찾아보기
- 저자약력
저자소개
책속에서
정보화가 인문학의 환경을 변화시킨 것은 사실이지만 인문학이 정보화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것도 또한 사실이다. 그래서 정보화는 인문학에 있어서 기회이기도 하다. 경제논리에 치우친 정보화 논리가 간과할 수밖에 없는 정보사회의 인문학적 패러다임을 규명함으로써 정보매체를 인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문학의 사회적 이념과 학문적 제도가 변화하는 방향성을 규명하는 일이 인문학이 정보화를 기회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넓히는 길일 뿐 아니라 정보화가 인문학의 사유세계를 포용하게 하여 정보화 자체를 인문학화할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다. - 본문 244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