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저널리즘의 혁신

한국 저널리즘의 혁신

이재경, 김재희, 김지현, 김창숙, 문영은, 박선이, 박성호, 박재영, 송상근, 이나연, 이완수, 이현식, 이현택 (지은이), 좋은 저널리즘 연구회 (기획)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000원 -0% 0원
960원
31,0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저널리즘의 혁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저널리즘의 혁신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58905392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5-01-31

책 소개

한국의 저널리즘 현장에서 진행되어온, 그리고 이 순간에도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혁신적 시도들을 탐구하고 분석한 연구서다. ‘저널리즘 혁신이란 문제적인 미디어 생태계의 조건에 대해 현장 기자들이 시도하는 다양한 대응으로부터 출발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국 저널리즘 현장에서 이루어져온 혁신적 시도들의 사례를 살핀다.

목차

프롤로그

1부. 과거의 저널리즘 혁신(초기부터 2000년대 초까지)
1장. 저널리즘 혁신의 역사: 미국과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2장. 뉴미디어 이전 인쇄 매체의 저널리즘 혁신: 『월간조선』 ‘12·12 군사반란’ 특종
3장. 한국형 탐사 보도의 탐색: 조갑제와 이규연을 중심으로
4장. 방송 기사 스토리텔링의 개척: 초창기 <시사매거진 2580>의 도전과 실험

2부.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저널리즘 혁신(2000년대 이후)
5장. 글쓰기 혁신의 실험실, 『동아일보』 ‘히어로콘텐츠’ 팀 5기
6장. 민속지학 저널리즘의 본보기, 박유리 전 『한겨레』 기자
7장. 한국 언론의 데이터 저널리즘, 기여와 한계
8장. 뉴스룸 커뮤니케이션 혁신의 시작
9장. 한국 인터랙티브 뉴스의 혁신: “매일 김용균이 있었다”
10장. 혁신 모델로서의 추모 저널리즘: 기억과 성찰
11장. ‘스브스뉴스’와 ‘비디오머그’, 변방에서 시작된 SBS 뉴스의 혁신 노력
12장. 방송기자도 TV를 안 보는 유튜브 만능 시대, 방송저널리즘의 살길은
13장. 혁신의 원칙: 『뉴욕타임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저자소개

송상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성균관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아일보에서 23년 6개월간 기자로 일했으며,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 저널리즘교육원 특임교수이다. [저서] 사람 잡는 운전, 사람 살리는 차문화 (1997, 책만드는집) 우리 아이 사회 우등생 만들기 (1998, 동아일보사, 공저) 출발! 교통 선진국 (2001, 동아일보사, 편저) 언론사 입사 전략서 (2006, 넥서스아카데미) 뉴 스토리, 뉴 스타일 (2009, 나남, 공저) 기사 작성의 기초 (2018,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문화원, 공저) 한국의 정치 보도 (2022,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문화원, 공저) 한국의 기자 (2024,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문화원, 공저)
펼치기
이현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일보≫ 디지털기획팀 기자다.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와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중앙일보≫를 거쳐 ≪조선일보≫로 이직했다. 미국 탐사 보도협회(IRE)에서 아시아 국가 출신 최초로 이사로 선출됐다. 저서로 『저널리스트』, 『언론고시 하우 투 패스』(공저)가 있다.
펼치기
박재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좋은 기사가 저널리즘을 구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려면 기자들이 좋은 기사를 많이 보고 장점을 배우는 게 긴요하겠다 싶어서 4년 전에 젊은 기자 15명과 ‘N클럽’을 만들어 기자들이 스스로 좋은 기사를 찾고 토론하도록 도왔다. 3년 전에는 새로운 기자협회인 ‘저널리즘클럽Q(Q클럽)’의 산파 역할을 했는데, 140여 명의 학구파 기자들이 여기에 참여하여 세미나를 열고, 공부 모임을 만들고, ‘Q저널리즘상’을 제정하여 좋은 기사를 상찬하고 있다. 20여 년간 한국언론진흥재단과 여러 기자 교육기관 및 신문사에서 수많은 기자와 예비언론인에게 혁신적 글쓰기를 교육했다. 좋은 기사를 만드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음을 기자들에게 보여 주고 싶고, 조금만 생각을 바꾸어 새롭게 시도하도록 북돋워 주고 싶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후 조선일보 기자로 일했으며 미국 미주리대학교 저널리즘스쿨에서 석‧박사학위를 받고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에 재직 중이다. 『뉴스 스토리_내러티브 기사의 작법과 효과』(2021년 한국언론학회 희관언론상 수상, 한국언론진흥재단 저술지원 우수저작물 선정)를 썼으며 『저널리즘의 지형』(2019년 한국언론학회 언론학 60년 학술영예상 수상), 『한국 언론의 품격』, 『기사의 품질』, 『텔레비전 뉴스의 품질』, 『한국의 정치 보도』, 『한국의 대통령 보도』, 『버릴 관행 지킬 원칙』, 『한국의 기자』, 『한국 저널리즘의 혁신』, 『저널리즘 다시 보기』를 공동 저술했다.
펼치기
박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카디프대학교 저널리즘스쿨에서 석사학위를, 고려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MBC 사회부 및 정치부 기자로 일했으며 〈시사매거진 2580〉을 제작했고, 〈MBC 뉴스데스크〉 앵커, 워싱턴 특파원, 보도국장, 저널리즘책무실장 등을 지냈다. 현재는 방송기자연합회장이자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겸임교수이다.
펼치기
김지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은 후 동 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 연구원으로 일했다. 현재는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산업정책연구센터 선임연구원으로, 저널리즘과 신기술, 콘텐츠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이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저널리즘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헤럴드경제 국제부장과 청와대 출입기자로 일했고, 미국 미주리대학교 저널리즘스쿨과 미시간대학교에서 초빙 연구자 자격으로 저널리즘과 심리학을 공부했다. 현재는 동서대학교 미디어콘텐츠대학 방송영상학과 교수이다.
펼치기
김재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일보≫ 기자다.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했다. 히어로콘텐츠팀의 ‘공존: 그들과 우리가 되려면’ 시리즈로 한국기자협회 이달의기자상, 노근리평화상 언론상을 받았다. 풀브라이트 중견 전문가 장학 프로그램의 펠로(fellow)로 선정돼 애리조나주립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있다. 공저로 『한국 저널리즘의 혁신』이 있다.
펼치기
김재희의 다른 책 >
이현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SBS 기자로 일하며 경제, IT, 외교안보 등의 분야를 취재했다. 미래부에서 서울디지털포럼을 기획했고 뉴욕 특파원을 지냈으며, SBS 보도제작부 〈뉴스추적〉 팀의 일원으로 제작한 다큐 ‘꼴찌에게 갈채를: 아프간의 선수들’로 뉴욕 페스티벌 동상을 받았다. 현재는 SBS 보도본부 부국장이자 D콘텐츠제작위원이다.
펼치기
좋은 저널리즘 연구회 (기획)    정보 더보기
한국의 저널리즘은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인정받는 여타 산업 부문에 걸맞은 발전을 이루어왔는가? 이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국내 언론학 교수 몇몇이 ‘좋은 저널리즘 연구회’를 만들었다. ‘좋은 저널리즘’은 ‘퀄리티 저널리즘(quality journalism)’의 우리말 표현으로, 이 이름처럼 연구회는 다양한 매체를 아우르는 좋은 저널리즘을 연구하고 한국 저널리즘의 선진화를 모색하며, 나아가 선진적 저널리즘의 기준을 수립하는 작업을 이어나가고 있다.
펼치기
좋은 저널리즘 연구회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