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58904517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2-01-1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정치 보도 분석의 필요와 접근법
1부. 한국의 정치 보도 현황 및 미국 정치 보도와의 비교
1장_ 한국 정치 뉴스 현황: 대통령·국회 보도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1. 정치 기사의 형식
1) 기사의 유형
2) 기사의 길이
3) 기사 작성자 수
2. 정치 기사의 신뢰성
1) 취재원 차원에서 본 신뢰성
2) 언어 측면에서 본 신뢰성
3. 정치 기사의 심층성과 다양성
1) 기사 구성 차원에서 본 심층성과 다양성
2) 내용 차원에서 본 심층성과 다양성
3) 취재원 차원에서 본 심층성과 다양성
4. 정치 뉴스의 직접인용 관행의 문제점
1) 제목의 인용 문제
2) 본문의 인용 문제
5. 정치 뉴스 분석 결과
6. 정치 뉴스의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과 분석 기간
3) 분석 기사 표집 방법
2장_ 정치 없는 정치 보도: 한·미 신문의 입법부 보도 비교 연구
1. 한국 정치 보도의 현주소
2. 한국 정치 보도 문제의 배경
1) 입법부 보도에 관한 선행연구: 입법부 보도의 특징
2) 한국과 미국의 서로 다른 언론 관행: 국회 출입 시스템과 기자단
3) 각 국가 언론 관행의 부산품으로서의 정치 기사
3. 한국 정치 보도 현황 연구 방법
4. 한국 정치 보도 현황 연구 분석 결과
1) 두 신문의 보도량과 기사 형태 비교
2) 입법부 보도 주제 비교
3) 갈등의 주체와 기사의 주요 행위자 비교
4) 부정적 어구의 사용 방식 비교
5) 기사의 배경이 되는 장소
5. 말싸움 중계 vs. 법안 각축전
6. 품격 있는 정치 저널리즘을 위한 제언: 기자들의 취재 범위가 좋은 저널리즘을 결정한다
3장_ 미국 신문의 정치 보도, 한국과 어떻게 다른가
1. 한국과 미국 신문의 정치 보도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2. 미국 신문의 정치 보도 특징
1) 스트레이트로 끝나는 기사는 없다
2) 기삿거리를 묶어 맥락을 드러낸다
3) 기사는 내러티브를 담고 있다
4) 타임라인부터 데이터 저널리즘까지…그때그때 다르다
5) “정치는 최고의 코미디”…유머와 위트는 기사의 양념
6) 정치 이슈를 다각도로 포착한다
7) 상대 진영의 입장을 포용한다
8) 취재의 내공이 깊다
9) 독자의 멱살을 잡지 않는다
10) 누구든 펜 끝을 피할 수 없다
4. 정치라는 생물을 관찰하는 법
2부. 정치 보도 현장의 목소리와 미래를 위한 제언
4장_ 정치 보도의 새로운 지평: 데이비드 브로더가 남긴 질문
1. 천직으로 여기다
2. 족적을 남기다
3. 유권자를 찾다
4. 정치를 사랑하다
5. 언론을 바꾸다
6. 모두가 인정하다
7. 질문을 남기다
5장_ 디지털 시대의 정치 기사 취재 관행
1. 국회 기자단의 역사와 국회 뉴스 취재
2. 정치 기사 취재 관행의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3. 디지털 시대 정치 기사 취재 관행
1) 주요 신문사 국회 출입기자 현황과 그들의 일상
2) 국회 출입기자들의 취재 방식은 어떠한가
3) 이런 방식으로 취재한 기사는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가
4) 정치 기사 생산 과정에서 에디터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5) 한국식 정치 보도 시스템 속에서 기자는 어떤 존재인가
6장_ 대한민국 정치 뉴스 변화를 꿈꾼 더 300
1. ‘정책으로 다루는 정치 뉴스’ 더 300의 출범
2. 더 300의 벤치마크, 텍사스트리뷴 ‘정책 미디어는 공공재’
3. ‘신속한 추진과 내부공감대’ 더 300 구상 실현 과정
4. 취재 영역과 보도 방식의 변화, ‘맥락 저널리즘’
5. 더 300이 시도한 정치-정책 콘텐츠
1) 런치리포트
2) 막전막후 속기록
3) 액트타이머
4) 의원 사용설명서
5) 국감 스코어보드
6. 더 300이 정치 뉴스에 던진 메시지
7. 더 300 실험의 성과와 과제
에필로그: 정치 보도의 미래를 위한 제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