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88042922
· 쪽수 : 708쪽
· 출판일 : 2018-11-05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세계관, 그 개념의 역사》를 감수하며 _ 양승훈
아더 홈즈의 서문 _ 아더 홈즈
저자 서문 _ 데이비드 노글
프롤로그 _ 루이스의 《마법사의 조카》 속 앤드루 삼촌
1. 세계관의 경이Ⅰ_ 개신교 복음주의
· 개신교 복음주의권의 초기 세계관 사상가들
제임스 오어
고든 클락과 칼 헨리
아브라함 카이퍼
헤르만 도여베르트
프랜시스 쉐퍼
2. 세계관의 경이Ⅱ_ 로마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
· 로마 가톨릭
세계관으로서의 가톨릭 신앙
‘세계관적’ 교황
· 동방 정교회
정교회와 세계관
성례전적 세계관
3. 세계관의 문헌학적 역사
· 세계관에 관한 용어 연구
세계관을 처음으로 사용한 임마누엘 칸트
독일어와 다른 유럽 언어에서 세계관의 용례
Weltanschauung과 영어권의 세계관
4. 세계관의 철학적 역사_ 19세기
헤겔 사상 안의 ‘세계관’
쇠렌 키에르케고어 사상 안의 ‘세계관’과 ‘인생관’
빌헬름 딜타이 사상 안의 ‘세계관’과 ‘인생관’
프리드리히 니체 사상 안의 ‘세계관’과 관점주의
5. 세계관의 철학적 역사_ 20세기Ⅰ
에드문트 후설의 ‘세계관’
카를 야스퍼스의 ‘세계관’
마르틴 하이데거의 ‘세계관’
6. 세계관의 철학적 역사_ 20세기Ⅱ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세계관’과 ‘세계상’
도널드 데이비슨의 ‘개념체계’
· ‘세계관’과 포스트모더니티
자크 데리다의 로고스 중심주의와 현전의 형이상학 해체
피터 버거와 토마스 루크만의 ‘물화’ 개념
미셸 푸코와 에피스테메, 계보학, 권력
7. 세계관의 학제적 역사Ⅰ_ 자연과학
마이클 폴라니가 주장하는 자연과학의 암묵적 차원과 인격적 지식
토마스 쿤이 주장한 과학철학 내의 패러다임 혁명
8. 세계관의 학제적 역사Ⅱ_ 사회과학
· 심리학에서의 ‘세계관’
지그문트 프로이트: 세계관이란 물음
융: 심리 치료와 삶의 철학
· 사회학에서의 ‘세계관’
카를 만하임: 세계관의 해석에 관하여
피터 버거와 토마스 루크만: 지식사회학과 거룩한 덮개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 세계관과 이데올로기
· 문화인류학에서의 ‘세계관’
마이클 키어니: 세계관
로버트 레드필드: 원시적 세계관과 근대적 세계관
9. 세계관에 대한 신학적 고찰
· 세계관들과 ‘세계관’
· 기독교 세계관과 ‘세계관’
객관성의 문제
주관성의 문제
죄와 영적 전쟁의 문제
은총과 구속의 문제
10. 세계관에 대한 철학적 고찰
세계관과 기호학
세계관과 서사
세계관과 이성
세계관과 해석학
세계관과 인식학
11. 결론적 고찰
· 세계관의 위험
철학적 위험
신학적 위험
영적 위험
· 세계관의 유익
철학적 유익
신학적 유익
영적 유익
· 글을 마치면서
에필로그_ 루이스의 《새벽 출정호의 항해》 속 유스터스
부록
· 복음주의적 세계관에 기여한 연구 문헌 소개
제임스 올타이스
브라이언 왈쉬와 리처드 미들턴
알버트 월터스
아더 홈즈
제임스 사이어
찰스 콜슨과 낸시 피어시
이 책에 언급 안 된 세계관 관련 도서 목록
인용된 문헌 목록
주
색인
리뷰
책속에서
◈ 아더 홈즈의 서문 중에서◈
데이비드 노글이 지적하듯이, 세계관이라는 용어는 19세기 관념론의 낭만주의적 흐름과 그 후예인 20세기 초의 생철학(Lebensphilosophie) 전통에서 기원했다. 이 언어는 사회과학에서, 다양한 신학 전통에 속한 그리스도인들 사이에서 널리 수용되었으며, 그것의 적절성에 관한 논의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이런 이유만으로도 세계관 개념에 관한 철저한 연구는 충분히 가치 있는 일이다.
그러나 이 책은 다른 이유로도 중요하다. 기독교 세계관 입문서는 이 개념의 기원을 간략하게만 논하는 경우가 많고, 내가 아는 한 영어권에는 이런 종류의 철저한 연구서가 없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출현으로 인해 기독교 신앙과 세계관 개념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면밀히 검토하기에 시의적절하고 효과적인 시점을 맞았다.
이 책은 변증가들에게, 삶의 의미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하는 신학자들에게, 자신의 분야와 사회 속에서 작동되는 세계관에 관해 명확히 알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세계관적으로 사유하는 능력을 길러 주고자 노력하는 그리스도인 교사들에게 중요하다. 서양 문명은 철저하게 세속화되어 있으며, 기독교는 문화와 과학, 학문과 대체로 무관하다고(혹은 무관해야 한다고) 간주되며, 사사롭고 내면적인 문제로 축소되고 말았다.
데이비드 노글은 열정적인 연구를 통해 이 문제를 다룬다. 이 책에서 철학과 역사를 다룬 장들은 200년의 철학사를 간추리고 있으며, 신학과 사회과학에서 제기된 물음에 대해 길게 답하면서 그 문제의 핵심을 파고든다. 두고두고 읽어야 할 책이다.
기독교를 하나의 세계관으로 이해하는 것은 근래의 교회사에서 이뤄진 가장 중요한 발전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