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수학/과학
· ISBN : 9788988165768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06-12-30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_ 과학 혁명, 세계관을 바꾸다
근대 과학 혁명의 완성: 아이작 뉴턴
자연선택으로 생명의 나무를 그리다: 찰스 다윈
4차원 시공간 속으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우리는 세계를 완벽하게 알 수 없다: 양자 이론
수학적 세계에는 참이지만 증명 불가능한 명제가 있다: 쿠르트 괴델
수수께끼를 풀며 기계의 마음을 생각하다: 알란 튜링
생명은 유전자 정보의 총합: 분자생물학
2장_ 과학자들과 철학자들 '과학적인 것'에 대해 논쟁하다
실험적 사실만이 과학적인 것: 에른스트 마흐
조용한 물리학자에서 괴짜 철학자로: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과학적 세계관은 삶에 봉사하며, 삶은 그것을 받아들인다: 비엔나 모임과 논리 실증주의
과학은 열린 비판과 반증을 통해 나온다: 칼 포퍼
제멋대로 연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파울 파이어아벤트
과학 이론은 묶음으로 경쟁한다: 임레 라카토슈
3장_ 인간과 생명을 둘러싼 또 하나의 전쟁: 진화 전쟁
유전자가 인간의 주인이다: 리처드 도킨스
인간의 모든 것은 생물학적으로 해석 가능하다: 에드워드 윌슨
로봇도 인간처럼 의식을 가질 것이다: 대니얼 데닛
적응주의와 유전자 중심주의에 대한 반격: 스티븐 제이 굴드, 리처드 르윈틴
4장_ 과학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과학의 발전은 사회혁명을 닮았다: 토머스 쿤
과학은 여러 가지 스타일을 가졌다: 이언 해킹
과학지식도 사회적으로 구성된다: 사회구성주의
구성주의를 넘어 정치생태학으로: 부뤼노 라투르
과학은 이론, 실험, 기구가 얽혀 발전한다: 피터 갤리슨
5장_ 과학과 사회의 관계는 어떠해야 하는가
맹목적 과학 숭배가 낳은 재앙: 우생학
과학과 민주주의: 로버트 머튼
사회는 과학을 통제해야 할까: 존 버널과 마이클 폴라니
6장_ 새로운 과학을 위하여
벌거벗은 임금님과 낯선 문화 익히기: 과학 전쟁
또 하나의 과학: 이블린 폭스 켈러, 도나 해러웨이
리뷰
책속에서
이 책에서 소개된 사람들은 과학을 연구하고, 과학에 대해 따져보고, 과학으로 생각했던 사람들이다. 그들 모두가 과학자였거나 과학자가 되기 위한 훈련을 받았거나 적어도 당대 과학에 대한 확실한 이해를 갖추고 있었다. 그리고 과학에 대한 친숙함은 그들이 살던 시대의 대부분의 지식인들이 일반적으로 갖추고 있던 소양이었다. 자연스럽게 그들은 자신의 과학 연구가 지니는 인문학적, 사회적 함의를 탐구하게 되었다. 뉴턴이 자신의 만유인력 법칙에서 신의 뜻을 읽어내려 했던 일이나, 다윈이 자신의 자연선택 이론에서 제국주의의 냉혹한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계층 갈등에 관심이 많었던 것이 그 예이다.
이들 사상가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생각은 과학은 단순히 열광하거나 거부하기에는 너무나 중요한 생각의 보고라는 사실이다. 이제 여러분을 과학으로 생각하는 세계로 초대한다. 과학이 열어 주는 통합적 사고의 세계를 마음껏 즐기기 바란다. - 서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