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포스트휴먼과 융합

포스트휴먼과 융합

(5차 산업혁명의 문턱에서)

미래융합협의회, 미래융합전략센터, 강성지, 김상은, 김용환, 김재인, 김진영, 김현우, 노대원, 서경원, 신동형, 신상규, 이경전, 이기혁, 이대희, 이승환, 이중원, 한상욱 (지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2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800원 -0% 0원
290원
29,5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포스트휴먼과 융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포스트휴먼과 융합 (5차 산업혁명의 문턱에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46074774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3-11-09

책 소개

우리를 미래의 포스트 휴먼 사회로 이끌고 가는 융합기술을 흥미롭게 해설했다. 저자들은 기후/환경 위기와 헬스케어에 융합기술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어떤 활동이 이루어지는지, XR 기술이나 AI, 초연결, 웹3.0으로 우리 사회가 어떻게 나아가는지 소개한다.

목차

추천의 글|최재천
축사|정윤
축사|임혜원

책을 펴내며 _김상은
여는 글|융합은 혁신이다 _김현우

제1부 융합이 이끄는 기술 혁신
1장 산업/경제 패러다임의 변화와 융합기술
1장-1 데이터 사이언스와 AI _이경전
1장-2 XR 기술과 메타버스의 발전 _서경원
2장|기후/환경 위기에의 대응과 융합기술
2장-1 지속 가능한 탈탄소 에너지 기술 _김진영
2장-2 합성생물학과 바이오파운드리 _이대희
3장|안전/안심 사회의 조성과 융합기술
3장-1 미래 사이버 융합 인증 보안 _이기혁
3장-2 양자 기술 시대의 보안통신 기술 _한상욱
4장|인간의 건강 및 능력 증진과 융합기술
4장-1 정밀의료, 융합이 이뤄낸 의료의 새 패러다임 _김상은
4장-2 미래의 디지털 헬스케어 _강성지

제2부 융합이 선도하는 사회 혁신
5장|탈중심 사회를 이끌다
5장-1 웹3.0, 분산 사회를 이끈다 _신동형
5장-2 개체 중심에서 초연결 관계 중심의 사회로 _김재인
5장-3 디지털 혁신과 사회경제 변화 _김용환
6장|탈경계 사회로 나아가다
6장-1 인간과 기계의 혼종 사회 _신상규
6장-2 또 하나의 현실, 메타버스 _이승환
6장-3 AI와 포스트휴먼 예술을 이야기하다: 챗GPT와의 대화 _노대원
7장|뉴휴머니즘을 추구하다 _이중원

제3부 융합이 추동하는 5차 산업혁명
8장|미래융합포럼 전문가 좌담회(2022.12.16.)

저자소개

김재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철학자,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디지털소사이어티 문화위원회 위원장.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프로그램 등에서 연구원으로 일했고,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 《웹진X》 편집위원장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 『인공지능의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 『AI 빅뱅』 『인간은 아직 좌절하지 마』 『공동 뇌 프로젝트』 등이 있다.
펼치기
이기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에서 디지털 보안 및 융합보안 관련 과목을 강의하며, ICT와 보안 분야에서 수십 년간의 연구와 실무 경험을 쌓아온 전문가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정보보호, 개인정보 보호 및 활용, 데이터 네트워크, 디지털 인증 기술, 산업 융합보안 등이며, 기술적인 전문성과 함께 정책 및 제도 설계에도 활발히 참여해 왔다. 지금까지 총 16권의 저서를 집필하였으며, 이 중 다수가 우수 학술도서로 선정되는 등 학문적 깊이와 공신력을 인정받았다. 저서들은 보안 기술을 비롯해 개인정보 법제, 인증체계, 플랫폼 거버넌스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학문과 실무를 연결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사)한국디지털인증협회 및 (사)한국FIDO산업포럼 회장을 역임하며, 디지털 인증 기술의 표준화와 산업 적용을 주도해 왔다. 아울러 다수의 정부 자문 활동을 통해 공공기관과 금융기관의 보안 정책 수립과 시스템 설계에 실질적인 기여를 해왔으며, 이러한 공로로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녹조근정훈장을 수훈하였다.
펼치기
이경전 (감수)    정보 더보기
2003년부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에서 교수(경영학과, 빅데이터응용학과, 첨단기술비즈니스학과)로 재직 중이며,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 빅데이터 연구센터와 인공지능 & 비즈니스 모델 연구소(AI-BM.net) 소장을 맡고 있다. 2017년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회장을 지냈고, 한국경영정보학회 AI 연구회 회장, 한국경영연구원(KMDI) AI 비즈니스응용연구회 회장으로 재임 중이다. 카이스트(KAIST)에서 경영과학 학사·석사·박사 학위를 받고, 서울대에서 행정학 석박사를 수료했으며, 카네기멜론대학(Carnegie Mellon University), UC 버클리(Berkeley),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초빙 과학자·교수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는 『버튼터치하트』(2018), 『AI 에이전트와 사회 변화』(2024), 『Life with Intelligence: AI는 어떻게 인생의 무기가 되는가』(2024) 등이 있으며, 미국인공지능학회(AAAI)로부터 네 차례(1995, 1997, 2020, 2024년) 혁신적 인공지능 응용상(IAAI Award)을, 전자정부유공자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AI Magazine≫에 세 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100편 이상의 국내외 논문을 발표하고 다양한 공공기관과 기업의 자문 교수로도 활동 중이다. 유튜브 ‘경전TV’ 채널을 개설하고 있다. 공학한림원 회원이다.
펼치기
신상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교수. 포스트휴먼 융합인문학 협동과정 주임교수. 서강대에서 경영학과 철학을 전공하고 미국 텍사스대학교(오스틴)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심리철학, 인공지능의 철학, 정보철학, 트랜스휴머니즘, 포스트휴머니즘 등이다. 저서로 『호모사피엔스의 미래: 포스트휴먼과 트랜스휴머니즘』 『푸른 요정을 찾아서: 인공지능과 미래 인간의 조건』 『포스트휴먼이 몰려온다』(공저) 『포스트휴먼으로 살아가기』(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중원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철학과 교수. 주요 연구 분야는 과학철학과 기술철학이다. 서울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석사학위를 받았고, 동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 과정에서 과학철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과학철학회 회장과 한국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학≫(공저), ≪인공지능의 존재론≫(공저), ≪포스트휴먼과 융합≫(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가 있다. ≪모든 순간의 물리학≫, ≪나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을 감수했다.
펼치기
신동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끊임없이 탐색하고 탐구하는 테크 분야 지식 탐험가.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에서 학사학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알서포트 전략기획팀장이며, 삼성전자, LG경영연구원에 근무했으며 모바일용 게임 소셜미디어 분야에서 1위를 했던 게임덕의 대표이사를 지냈다. 연구 관심사는 5G, 6G, XR, IoT, AI, MZ세대, 메타버스, 웹3.0 등으로, 전반적 테크 변화에서 프레임을 갖고 하나씩 깊이 파며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이노베이션3.0』(공저, 2011), 『변화너머』(2021), 『한 권으로 마스터하는 메타버스 2022』(공저, 2021), 『2022 한국경제 대전망』(공저, 2021), 『웹 3.0 넥스트 이코노미』(공저,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노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제6회 대산대학문학상 평론 부문과 2011년 『문화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연구서 『몸의 인지 서사학: 질병과 치유의 한국 소설』, 공저로는 『디지털 폴리스』 『포스트휴먼과 융합』 『팬데믹 모빌리티 테크놀로지』 『의료문학의 현황과 과제』 등이 있다. 현재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제주대학교 지능소프트웨어교육연구소에서 AI 교육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 풀브라이트 방문 학자로 선정되어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연구를 수행 중이다.
펼치기
김용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제학 박사를 취득하고 한국 과학 기술 연구원(KIST)에서 연구 정책 실장과 한러 과학 기술 협력 센터 소장 등으로 활동했다. 특히 2000년 한국 기술 벤처 재단(구 홍릉 벤처 밸리)을 설립하고 사무총장으로 파견 근무했다. 차의과학대학교 데이터 경영학과 교수, 산학 협력단 단장, 연구처 처장, 평생교육원 원장, 차의과학대학교 빅 데이터?인공 지능 연구소 소장 등으로 활동했다. 또한 산 · 학 · 연 · 관에서 다양하게 활동했다. 서울시 산하 DMC산학 진흥 재단 상임 이사, 국무 조정실 정책 평가 위원회 전문 위원, 대통령 산하 국가 균형 발전 위원회 평가 위원, 대통령 산하 수도권 광역 경제권 발전 위원회 광역 위원, 서울특별시 디지털 미디어 시티(DMC) 실무 위원회 위원, 서울시 산학연 정책 위원회 위원, 서울시 희망 경제 위원회 산업 경제 분과 위원장, 사단 법인 국제 지역학회 회장, 사단 법인 소비자와 함께 공유 경제 위원장, 사단 법인 서울 평양학회 회장, 사단 법인 대학 연구 윤리 협의회 회장 · 학술 위원장, 사단 법인 경기도 산학 협력단장 협의회 이사, 재단 법인 한국 과학 기술 지주 사외 이사, 연구 재단 PM 연구윤리 위원, CCC 사외 이사, 한국 컨설팅 산업 협회 운영 위원, KIST연우회 이사, KIST 창업 심의 위원 및 초격차 프로젝트 운영 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학술 활동으로 『AI 경영론』, 『양자 경제와 AI 산업혁신』, 『AI(인공지능)시대의 데이터경제학』, 『빅데이터 분석』, 『포스트 휴먼과 융합』, 『기술혁신』, 『홍릉벤처밸리』, 『동북아 시대의 코리아벤처밸리』, 『기술혁신의 산업경제발전론』, 『연구윤리포럼』, 『연구부정 의심행위 조사 · 검정 보고서 작성 매뉴얼』 등의 단행본 및 보고서 100여 권과 “A Study on the Trend of Employment Effect and Employment Policy in the Digital Bio-healthcare Industry”(2021)를 비롯한 200여 건 이상의 논문 등 발표 자료가 있다. 현재 4차 산업 혁명과 AI 경영, 디지털 경제와 디지털 트렌드 분석, 디지털 기업 사례 분석과 비즈니스 모델, 빅 데이터와 데이터 비즈니스 혁신, 디지털 헬스케어와 AI 헬스케어 경영, 양자 AI와 시장 모델, 국내외 주요 혁신 기업 컨설팅, 특히 중소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과 공동 R&D 기획 및 협력, 창업과 기술 사업화 및 글로벌 기술 협력, 연구 윤리 및 AI 윤리 등에 집중해 연구 중이다.
펼치기
이승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 한양대학교 경영학부를 졸업하고 KAIST IT경영 석사를 마친 후 한양대학교에서 경영정보시스템(MIS) 전공으로 경영학 박사를 취득했다. AI, 메타버스 등 신기술로 인한 미래 변화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메타버스 초보자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질문 TOP 45》(2022), 《메타버스 비긴즈》(2022), 《웹 3.0 넥스트 이코노미》(공저, 2022), 《디지털 파워 2023》(공저, 2022), 《AI시대 절대 대체되지 않는 슈퍼 개인의 탄생》(2023), 《디지털 부의 미래》(2023) 등이 있다.
펼치기
강성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민족사관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과 공중보건의사로서 디지털 헬스케어 정책을 담당했다. 이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헬스개발그룹을 거쳐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회사 웰트(주)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외래교수로도 활동 중이다.
펼치기
미래융합협의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융합 네트워크와 융합 생태계 구축의 구심체로서 활동하는 기관이다. 산·학·연 융합기관을 연결해 융합 교육, 연구, 산업 촉진의 중심축으로 작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정부 융합정책의 민간 파트너로서 국가 융합정책 수립에도 기여하고 있다.
펼치기
미래융합전략센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미래융합전략센터는 융합을 통한 혁신과 가치 창출을 이끄는 국가 융합정책 전문기관이다. 국가 융합연구 정책 기반 구축을 위해 국가 융합연구개발 정책 수립 및 사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융합연구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구축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펼치기
김상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의학석사와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및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교수로 재직했다.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을 지냈으며, 미래융합협의회 설립을 주도하고 초대 및 2대 회장으로 일했다. 핵의학·정밀의료와 뇌 분자영상, 질병 분자표적 기반의 진단·치료 의약품 개발에 헌신했으며, 관련 학문 및 기술 분야에서 국제학술지 논문 300여 편, 저술 10여 편을 출판했고, 국내외 특허 50여 건을 출원·등록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며, 가천대학교 석좌교수 및 뇌과학연구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김진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재료공학으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고,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재료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청정신기술연구본부 책임연구원이다. 주요한 학문적 관심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소에너지 기술’이며 관련해서 다수의 연구논문 및 기술특허를 썼다.
펼치기
김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산업공학 학사, 경영정보공학 석사, 경영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책임연구원으로 융합연구정책센터 소장, 정책실장, 융합정책팀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서울바이오허브사업단 단장으로서 기술, 기업, 산업 간 융합 촉진을 통해 효과적인 바이오 스타트업 발굴·육성에 힘쓰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융합 연구와 정책, 혁신클러스터와 창업생태계, 국가과학기술 정책 등이 있다.
펼치기
서경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산업공학과 학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캐나다 밴쿠버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인공지능응용학과 교수다.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딥러닝, AR/VR 기술을 활용해 인간과 AI가 서로 이해하고 상호능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인간-AI 파트너십 기술’을 의료, 교육, 제조 분야 등에서 연구 개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마이크로소프트, 현대자동차, 서울시교육청, 한국연구재단, IITP 등에서 연구 과제를 수주하여 진행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 성과를 Computers & Edu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Human-Computer Interaction 등 톱 저널에 게재했다.
펼치기
이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식품생명공학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샌디에이고) 바이오엔지니어링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합성생물학연구센터의 센터장이다. KAIST 공학생물학대학원과 성균관대학교 융합생명공학과 교수를 겸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합성생물학과 대사공학이며, 최근에는 합성생물학 기술을 활용하여 차세대 의료용 미생물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펼치기
한상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이미지센서 회로설계 분야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픽셀플러스, 삼성종합기술원을 거쳐 현재 KIST 양자정보연구단 단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양자정보학회 대외협력 이사,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위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ICT 융합전문위원회 위원 등 양자 기술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대표적인 인공지능 교과서로 꼽히는 스튜어트 러셀과 피터 노빅의 공저 『인공지능: 현대적 접근 방법』에서는 28개 장 중 오직 4개 장에서만 기계 학습을 다룬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데이터 사이언스와 인공지능은 크게 다른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탐색, 게임, 컴퓨터 논리, 계획, 멀티 에이전트 등의 인공지능 방법론에서는 데이터의 처리나 분석을 다루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016년에 이세돌 9단을 이겨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던 알파고는 인간 바둑 기사들의 기보를 많이 학습해, 즉 데이터를 활용해 인공지능을 개발한 사례이지만, 2017년에 발표된 알파고 제로나 알파 제로는 기보 데이터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제로라는 단어가 붙었다. 인공지능은 데이터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개발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최근의 인공지능의 성과는 대부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는 딥러닝 등 기계 학습의 발전에 기반을 두고 있어, 데이터 사이언스와 인공지능의 유사성이 더 부각되었을 뿐이다. _ 1장-1|데이터 사이언스와 AI


생명과학의 발전과 DNA 조합 및 편집 비용의 감소 등으로 합성 도구 사용이 더욱 쉬워짐에 따라 합성생물학 이용 분야가 계속 확장될 것이다. 2003년에 완료된 첫 번째 (30억 염기쌍을 모두 읽는) 전체 유전체 시퀀싱에는 30억 달러 이상이 들었으나 2016년 가격은 약 1000달러로 감소했다. 2019년 7월 가격은 599달러이며, 개인 유전학 회사인 베리타스 제네틱스는 2022년까지 200달러 미만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바이오 제품 생산에 필요한 고가의 장비 사용료, 전문 지식, 무균 환경 등의 제한이 없어질 것이다. 살아 있는 세포가 필요치 않은 대사 과정을 활용하고 바이오센서를 이용하는 등 빠른 테스트 수행이 가능하다. _ 2장-2|합성생물학과 바이오파운드리


1950년 후반 군사용으로 사용되던 인터넷 통신이 ‘WWW’ 상용화로 발전하면서, 시장 정보의 비대칭을 극복하면서 거래비용의 제로가 발생했다. 2023년 현재 지구상의 절반 이상 인구가 소셜미디어에 참여하며 빠르게 참여자가 급증하면서 양면 시장과 거래를 원하는 복수의 집단을 연결해 주는 다양한 플랫폼이 등장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변화도 발생하고 있다. 제러미 리프킨 MIT 교수가 저술한 『한계비용 제로 사회』에서, 그가 주장하는 공유경제를 가능케 하는 사업자의 등장을 설명했다. 또한 양면 시장, 플랫폼, 공유경제 키워드가 상호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 기존 경제학 이론에서 작동하는 시장구조(단면 시장)보다, 양면 시장을 획득한 플랫폼 사업자가 새롭게 만들어내는 사업 모델에 의해 세상이 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_ 5장-3|디지털 혁신과 사회경제 변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