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사
· ISBN : 978898862163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05-12-31
책 소개
목차
제1부 1980년대 한국영화
I. 들어가며
II. 1980년대 한국사회와 한국영화, 약사
III. 1980년대 한국영화의 주요 경향
1. 비판적 리얼리즘
2. 대안 / 예술 / 작가영화
3. 성 / 육체 / 관음적 시선
4. 로맨티시즘
5. 여성주의
6. 청춘 / 이상향
7. 독립 / 민중 / 열린 / 작은 영화
IV. 나가며
제2부 1990년대 한국영화
I. 1980년대 영화 / 세상 풍경화
1. 영화 세상 속으로 들어가며
2. 1990년대를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3. 위기 사이에 걸린 한국영화의 혁신
II. 지배 장르와 주변부
1. 멜로드라마와 로맨틱 코미디: 낡은 것과 새로운 것의 결합
2. 액션에서 코믹액션으로
3. 사회비판 영화(리얼리즘)
4. 여성의 현실에 접속한 영화들
III. 주목할 감독들
임권택 감독 - 통속성과 진지함의 두 얼굴
정지영 감독 - 영화와 현실의 접속
박광수 감독 - 영화와 사회, 그 틈새의 긴장
장선우 감독 - 도발적 화두와 해체적 서사
박철수 감독 - 일상성의 파격과 탈주
IV. 1990년대를 나오며
제3부 한국영화산업과 정책 : 1980~1997
I. 들어가며
II. 제5차 개정영화법 이후의 한국영화정책과 영화산업
1. 1980~1984년까지 한국영화정책과 영화산업
2. 제5차 개정영화법 개요
3. 제5차 개정영화법과 영화산업의 변화
III. 할리우드 직배 실시와 한국영화산업 : 1988~1990년대 초
1. 한미영화협상과 제6차 개정영화법
2. 직배사의 활동
3. 직배 실시와 한국영화산업의 변화
IV. 대기업의 진출과 퇴조 : 1992~1997
1. 김영삼 정권기 한국영화정책
2. 대기업 진출
3. 대기업의 영화산업 진출이 한국영화산업에 미친 영향
V. 나오며
제4부 1980년대 이후의 영화비평과 이론의 흐름
I. 시작하며
II. 1980년대 초에서 1980년대 후반가지
1. 영화운동론 : 창작 실천의 토대로서의 이론
2. 작은 영화오 소형영화 운동
III. 제2기 :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중반
1. 민족영화론과 카프-리얼리즘론의 재구성
2. 비평의 과학성 : '영화언어'
3. 작가주의(이론)
4. 페미니즘 영화비평
IV. 제3기 : 1990년대 중반에서 현재까지
1. 대중평론의 시대
2. 문화 연구로서의 영화이론 : 학제간 연구와 다양한 방법론들
3. 영화사 연구 : 한국영화의 정체성을 찾아서
V. 마치며
- 부록 : 관계연표
- Index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를 벗어나오며 새삼 깨닫게 되는 것은 겉으로 드러난 성과들, 이를테면 새로운 자본의 유입으로 추동된 기획 영화로서 로맨틱 코미디 붐, 진지한 거시적 주제가 진부해져 버린 경쾌한 시대에 발맞춰 코믹해진 액션영화의 붐이라는 화려한 변모 뒤에 여전히 1980년대의 저항정신을 이어받으며 사회적 공기로서 영화매체를 다시 생각하게 만드는 일련의 사건과 현상들이 있고, 이들이 1990년대를 의미심장하게 만든 동력이라는 생각이다.
독립영화권이 지속적으로 받은 박해로 얻어는 사전검열 위헌 판결, 여전히 비제도권에 머물며 자본의 유혹을 물리치고 진실을 위해 작은 카메라를 들이댄다는 선언을 한 독립영화권의 초연한 자본 비타협성이 이후 한국영화 르네상스를 일궈 낸 자양분이란 점을 더욱 인정하게 된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