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88988902301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02-02-26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머리말
제1장 날로 모호해지는 문화지도
1. 시대정신이 선명했던 지난 세계
2. 문화 충돌 시대의 도래
3. 문화의 재구성과 새로운 문화 환경
제2장 국가 이데올로기와 주류 문화의 자원
1. 홍색전경과 세속화 선풍
2. 당대 영웅의 신화
제3장 시대 풍조와 그 선도자들
1. 판타지 문화
2. 화이트 칼라 취미의 유행
3. 90년대의 청춘의 꿈
4. 대중문예에 대한 검토
제4장 백조의 절창과 동방의 유토피아
1. 문화 좌절과 실망의 정서
2. 중국에서의 유토피아의 운명
제5장 오늘의 중국 대중문화 읽기
후기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책속에서
현실 생활의 대변동은 기존의 안정적인 생존 방식과 정신적 요구를 바꾸어버렸다. 시장의 작용을 주요 기제로 삼는 대중문화 생산 방식은 기존의 문화 전제주의적 형태를 재구성하여, 대중문화의 수요에 대한 충족을 목표로 삼으면서 새로운 문화적 내용을 통해 대중과 사회의 문화적 취향을 변화시켰다.
이로 인해 90년대에 이미 새로운 문화 환경이 형성되어 있었다. 문화는 권위적인 형식으로 사회를 강화하고 환기시키지만, 동시에 다양성의 제창은 대중문화의 생산과 소비에 합법적인 근거를 제공한다. 문화가 일단 시장에 진입하면 그 소비 대상은 주로 민중이 된다. 이 거대한 집단의 놀랄 만한 소비력은 시장을 무한한 잠재 공간으로 만들었다.
그래서 소비를 특징으로 하는 문화 생산 방식 및 시장이 개혁개방 시대에 신속하게 등장하여 만연할 수 있었다. 고상하고 거대한 목표는 민중들 사이에 아직 잠재되어 있기는 하지만, 오락 기능과 소비 욕망이 빠른 속도로 팽창되어 대중문예의 '경축일'을 도래하게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