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만

대만

(우리가 잠시 잊은 가까운 이웃)

최창근, 홍길동, 신아람 (지은이), 한인희 (감수)
대선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250원
24,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만 (우리가 잠시 잊은 가까운 이웃)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88944691
· 쪽수 : 559쪽
· 출판일 : 2012-10-03

책 소개

단교 이후 한국인들의 기억에서 잠시 희미해진, 그럼에도 너무나 소중한 이웃 국가 대만의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새긴 책. 전체를 3부로 구성하였다. '대만의 현재와 과거'라 이름 붙인 제1부에서는 대만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개괄적인 정보들을 다룬다.

목차

서 문
감 수 사
일러두기
1. 책의 인명·지명·고유명사 통일법
2. 부호 통일법

제1부 대만의 현재와 과거
제1장 대만개관 29
1. 국호와 국가상징 29
2. 정치체제와 정부 38
3. 경제와 무역 42
4. 산업 47
5. 인구와 종족구성 53
6. 언어 57
7. 대외관계 63
8. 위치·기후·지리 65
9. 문화 67
10. 미디어 70
11. 종교와 신앙 78
12. 교육 86
제2장 대만역사 94
1. 역사이전의 대만 95
2. 네덜란드·스페인 통치기 99
3. 정성공과 정씨왕국 106
4. 청 통치기 115
5. 일본 통치기 125
6. 중화민국의 대만시대 140

제2부 정부와 정치
제1장 헌정구조와 헌법 167
1. 세계유일의 5권 분립제 정부 : 총통과 ‘5권 분립제’란? 167
2. 중화민국헌법 171
3. 중화민국의 성립부터 헌법탄생까지 174
4. 헌법개정 175
제2장 총통과 총통부 183
1. 총통의 유래 183
2. 총통의 권한 185
3. 총통부의 사람들 187
4. 일본 식민통치의 유산, 총통부 청사 194
5. 치하이관저·다안관저·위산관저? 총통관저 이름에 닮긴 의미는? 196
6. 총통은 어떻게 선출되나? 199
7. 어떤 사람들이 총통이 되었나? 200
8. 대만식 이원집정부제의 역설 211
제3장 행정원 215
1. 대만식 이원집정부제 : 쌍수장제 215
2. 총통과 행정원장의 관계 220
3. 행정원장 222
4. 대만의 중앙정부 : 행정원 225
5. 중앙정부의 구성 227
6. 정부기관의 위계와 조직 231
제4장 입법원과 사법원 237
1. 입법원 237
2. 입법원의 권한과 책무 241
3. 입법원의 선출과 구성 244
4. 입법원의 일상운영 249
5. 사법원의 역할 254
6. 사법원의 구성 257
7. 법무부와 산하기관 260
8. 대만판 법조비리와 염정서 설립 262
9. 사형집행을 둘러싼 논란 263
제5장 고시원과 감찰원 266
1. 과거제도의 탄생과 중국의 시험지옥 266
2. 고시원의 역할과 구성 268
3. 직업 공무원 제도 272
4. 공무원 채용 276
5. 공무원 교육훈련과 퇴직 278
6. 중국 역사상 감찰제도와 감찰원 280
7. 감찰원의 구성과 역할 282
제6장 지방자치 290
1. 지방자치의 기원 : 중앙정부와 지역 유력자 간 타협과 협조의 산물 290
2. 지방자치역사 요점 296
3. 지방자치단체 297
4. 대만성 303
5. 직할시 306
6. 현 308
7. 향·진·시 309
8. 지방의회 311
제7장 정당 313
1. 푸른 하늘과 초록 대지 313
2. 국민당 316
3. 민진당 328
4. 친민당 334
5. 신당 338
6. 대만단결연맹 343
7. 건국당 347
8. 정당의 조직과 구성 : 국민당과 민진당 비교 349

제3부 대외관계
제1장 외교 357
1. 외교적 고립, 그 기원과 전개 359
2. 대만외교의 여정 369
3. 대외관계 요점 381
4. 수교국 관계 383
5. 비수교국 관계 389
6. 외교전쟁의 지휘본부 : 중화민국 외교부 401
제2장 양안관계 403
1. 양안관계의 정의 : 국내문제? 국제관계? 403
2. 중국과 대만은 어떻게 다를까? 406
3. 양안의 정치담론 비교와 정치학적 접근 420
4. 갈등과 화해의 변주곡 : 양안관계사 437
5. 대만국민의 정체성과 양안관계 454
제3장 한국·대만 관계 462
1.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중화민국정부 462
2. 한국전쟁과 대만 467
3. 아시아 반공전선의 혈맹 471
4. 금가기 시작하는 두 나라 관계 : 민항기 납치사건과 아시아청소년농구대회 475
5. 노태우의 북방정책과 한·중 수교 479
6. 한국·대만 단교 484
7. 단교 이후 비공식 관계의 복원 498
8. 한국·대만의 시련과 정기항공편 부활 504
9. 대만 내 한류열풍 509
10. 한국과 대만의 치열한 경제전쟁 512
11. 대만의 국제기구 재가입을 위한 노력과 마잉주 정부 출범 514
12. 태권도 실격패 판정으로 터진 2010년 대만 내 반한감정 516
13. 한국과 대만의 오늘 518

부록 자료로 더 이해하는 대만
1. 역대 총통·부총통 523
2. 역대 행정원장 524
3. 네덜란드동인도회사 주대만행정장관 525
4. 일본통치기 대만총독 526
5. 대만성 주석 527
6. 역대 주한국 대만대사·대표 528
7. 역대 주대만 한국대사·대표 529
8. 지방자치단체(중화민국 자유지구) 현황 530
9. 대만 정계의 주요 2·3세 정치인 가문현황 531
10. 대만역사연표 532
11. 노태우 대통령 한韓·중中 수교修交에 즈음한 특별담화 536
12.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간의 외교관계 수립에 대한 공동성명<韓·中 수교 협정> 541
13. 국제연합 총회 제2758호 결의안 542
14. 미·중연합공보 544
15. 미·중수교공보 548
16. 817공보(제2차 상하이코뮈니케) 549


참고문헌 551

저자소개

최창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타이완 국립정치대학(國立政治大學)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 일반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국회, 한반도선진화재단, 중앙일보시사미디어 등에서 일했고 대만 유학 시절 『월간중앙』 타이베이 통신원으로 활동했다. 『신동아』 『시사IN』 등에 쓴 책으로는 『대만: 우리가 잠시 잊은 가까운 이웃』(2012), 『대만: 거대한 역사를 품은 작은 행복의 나라』(2013), 『타이베이: 소박하고 느긋한 행복의 도시』(2015), 가희 덩리쥔 : 아시아의 밤을 노래하다』(2017)이 있다. 2006년 위공 박세일이 설립한 한반도선진화재단에 몸 담은 것을 인연으로 위공 박세일과 인연을 이어왔으며, 그의 일대기를 다룬 책을 썼다.
펼치기
홍길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6년 생으로 금강대학교 통상·행정학부(중국어통번역전공)를 졸업하였다. 대학재학 중 중국 베이징·장춘에서 교환학생 및 어학연수생으로 공부하였으며 외교통상부·서울특별시 등이 주최한 각종 행사에서 통역을 담당하였다. 2009년 국립대만대학 국가발전연구소 양안관계연구과정에 입학, 2012년 졸업하였다. 현재는 중국 베이징대학 국제관계학원 박사과정이다. 책의 양안관계 부분을 썼다.
펼치기
신아람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7년 생으로 국립정치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대학재학 중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등이 주최한 각종 행사에서 통역원으로 활동하였다. 2011년부터 서강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공부하고 있다. 책의 외교 분야를 썼다.
펼치기
한인희 (감수)    정보 더보기
현재 건국대학교 국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만 중국문화대학에서 정치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현대 중국의 영웅들」, 「중국을 사랑한 예술가들」, 「G2 시대 중국의 발전과 그림자」(공저), 「그레이트 차이나」(공저), 「중국의 정치적 현대화」(공저), 「중국의 정치동원」(공저), 역서로는 「중국외교사 1-4」, 「대만현대정치사 상/하」, 「수뇌론」, 「관료의 나라 중국」, 「이문화교류학」, 「한손에 잡히는 중국」(공역), 「중국을 움직인 30권의 책」(공역), 「마지막 황제의 비사」(공역), 「청조 황녀의 일생」(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