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의약식

한의약식

(약식동원)

주춘차이 (지은이), 정창현, 백유상, 김혜일 (옮긴이)
청홍(지상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의약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의약식 (약식동원)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한의학
· ISBN : 9788990116246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06-06-29

책 소개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만화라는 형식을 빌려 약식학설을 설명한다. 이론적인 요점과 실천경험 및 응용상식에 대한 이치는 물론이고 옥수수, 밀, 녹두 등 우리가 흔히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여러 음식물들의 효능과 그 사용방법까지 자세히 설명하고 있어 누구나 쉽게 공부하고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다.

목차

추천사 - 근본을 추구하고 어려운 이치를 간단하게 설명
역자서문 - 실생활에 응용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밑거름

제1장 들어가는 말

제2장 한의약식(韓醫藥食)의 기원(起源)
한의약식학(韓醫藥食學)의 기원(起源)

제3장 한의약식이론(韓醫藥食理論)과 역학(易學)의 관계
역학(易學)과 한약이론(韓藥理論)의 관계
사세비약(司歲備藥)과 도지약재(道地藥材)
취상비류(取象比類)와 동기상구(同氣相求)
한약(韓藥)의 성능(性能)
한약의 승(升), 강(降), 부(浮), 침(沈)
사기오미(四氣五味)의 운용
한약(韓藥)이론 중의 귀경(歸經)
역학(易學)의 손익학설(損益學說)과 음식양생(飮食養生)

제4장 오장(五臟)과 오미(五味)
오장(五臟)과 오미(五味)
오색(五色)과 오미(五味)

제5장 한약(韓藥)에 대한 기본상식
한약(韓藥)의 독성(毒性)과 품성(品性)
한약(韓藥)의 명명(命名)
한약(韓藥)의 채집과 보존
한약(韓藥)의 포제(?製)
한약(韓藥)의 조제(調劑)와 저장(貯藏)
방제(方劑) 구성의 법칙-군(君), 신(臣), 좌(佐), 사(使)
방제(方劑)의 분류-칠방(七方)과 십이제(十二劑)
대방(大方)/소방(小方)/완방(緩方)/급방(急方)/기방(奇方)/우방(偶方)/복방(複方)
처방의 제형(劑型)과 종류
탕제(湯劑)/환제(丸劑)/산제(散劑)/고제(膏劑)/단제(丹劑)/약주(藥酒)/화로(火露)
한약(韓藥)의 제량(劑量)
임상처방의 일반적인 용량
일반약물/무게가 가벼운 약물/무게가 많이 나가는 약물/독이 있는 약물/기타용량
옛날 처방의 제량(劑量)에 대한 이해
약을 쓸 때의 금기(禁忌)
약을 복용하는 동안에 지켜야할 음식
임신(姙娠) 중에 약을 쓸 때의 금기
칠정화합(七情和合)과 외(畏), 반(反)
십팔반(十八反)과 십구외(十九畏)
약을 달이는 방법
한약(韓藥)의 복용방법

제6장 보허(補虛)의 법칙
보허(補虛)란 무엇인가?
무엇을 허증(虛證)이라고 하는가?
기허(氣虛)와 기허에 자주 쓰는 약식(藥食)
혈허(血虛)와 혈허에 많이 쓰는 약식(藥食)
음허(陰虛)와 음허에 많이 쓰는 약식(藥食)
양허(陽虛)의 증상과 약식(藥食)요법
온보법(溫補法)
청보법(淸補法)
평보법(平補法)
합리적으로 보(補)하려면
보(補)하는 시기는 왜 겨울이 좋다고 할까?
동병하치(冬病夏治)란 무엇인가

제7장 계절에 따라 잘 발생하는 질병과 음식원칙
음식양생법(飮食養生法) 계절별로 잘 발생하는 질병의 음식요법
감기
감기에 걸렸을 때의 음식원칙
풍온(風溫)의 음식원칙
춘온(春溫)
서온(暑溫)
서온(暑溫)의 음식원칙
상서(傷暑)
상서(傷暑)의 음식원칙
습온(濕溫)
습온(濕溫)의 음식원칙
가을과 겨울에 발생하는 복서(伏暑)
가을에 발생하는 추조(秋燥)
추조(秋燥)의 음식원칙
먹고 자는 것이 불편한 주하병(?夏病)
주하병(?夏病)의 음식원칙
여름과 가을 사이의 서습(暑濕)
서습(暑濕)의 음식원칙
여름 감기인 모서(冒暑)
온사를 받아 생기는 서채(暑?)
서채(暑?)의 음식원칙

제8장 흔희 먹는 음식물과 보양(補養)
흔히 먹는 음식과 보양(補養)
옥수수

멥쌀
감자[馬鈴薯]
팥[赤小豆]
녹두(綠豆)
편두(扁豆)
땅콩[落花生]
대두(大豆)
마[山藥]
고구마[甘薯]
버섯[??]
돼지고기[猪肉]
쇠고기[牛肉]
양고기[羊肉]
닭고기[鷄肉]
오리고기[鴨肉]
토끼고기[兎肉]
자라[鼈肉]
잉어[鯉肉]
붕어[?肉]

제9장 적합한 음식과 피할 음식
음식의기(飮食宜忌)
맵고 자극적인 음식
찬 음식과 날 것
기름지고 소화가 안 되는 것
비린 것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음식

저자소개

저우춘차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7년 중국 베이징에서 출생한 화가이자 작가로 오랫동안 중국문화의 연구와 대중화에 전념해왔다. 서양문화와 비교를 통해 과학과 철학을 포함한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새롭고 참신한 해석을 전개해 내외의 주목을 모았다. 만화를 넘어서는 풍부한 내용과 생동감 있는 작품 이미지로 광범위한 전문가와 독자의 사랑을 받고 있으며, 십여 개의 언어로 작품이 번역 출판되었다. 대표작으로는 《만화 주역》 《만화 논어》 《만화 노자》 《만화 장자》 《화설 황제내경》 등이 있다.
펼치기
정창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주임교수를 역임하고 현재는 한국한의약진흥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 <온병조변>(집문당, 2004) <한의학의 원류를 찾다>(청홍, 2008), <유도주상한론강의>(물고기숲, 2014)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신에 대한 연구」, 「황제내경의 사유체계와 그 특징」 등이 있다.
펼치기
백유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아낌과 용기>(염근당, 2021)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내경 운기편의 기미 운용에 대한 연구」, 「원전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고찰」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혜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신경희한의원 원장으로 재직했었다. 2006년 현재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석사과정에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