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90116321
· 쪽수 : 508쪽
· 출판일 : 2008-08-29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글
한국어판 서문
책머리에
제1장 인간이란?
서양의 ‘인간’에 대한 정의
중국의 ‘인간학[人學]’
1. 유가儒家 : 인간은 인仁
2. 도가道家 : 인간은 도道에서 발생
3.《周易》: 인간은 건곤음양乾坤陰陽에서 화생化生
4.《黃帝內經》: 인간은 천지의 기氣에 의해 생성
5.《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 인간은 화로[爐鼎]
제2장 상고시대로의 회귀-생명의 비밀을 탐색
무巫 : 역易과 의醫의 기원
1. 중국의 샤머니즘식 문명
2. 거북점[龜卜]과 시초점[筮占]
3. 괘상卦象의 기원은 귀복龜卜, 역수易數의 기원은 서점筮占
4. 의학은 무술巫術에서 기원
생명의 창시創始 : 복희伏羲와 여와女? 신화
1. 음양동체陰陽同體, 생사동원生死同源에서 음양대립陰陽對立, 중생경사重生輕死로
2. 생식숭배生殖崇拜와 음양감응陰陽感應
제3장 기氣-생명의 원형
기氣라는 글자의 기원
《周易》과 《黃帝內經》 속의 기氣
1.《周易》의 기氣
2.《黃帝內經》의 기氣
기氣란 무엇인가?
기氣로 인체 생명의 비밀을 설명
제4장 음양오행陰陽五行-생명의 부호모형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유래
1. 음양陰陽의 유래
2. 오행五行의 유래
음양오행陰陽五行의 함의
1. 음양陰陽의 함의
2. 오행五行의 함의
음양오행陰陽五行의 관계
1. 음양陰陽의 관계
2. 오행五行의 관계
3.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의 관계
음양오행이 한의학 체계를 구축하는 데에 미치는 작용
1. 인체생명의 기능구조
2. 인체생명의 병리변화
3. 질병의 진단과 치료
제5장 장상藏象-생명 안팎의 동형구조
장상藏象은 부호모형
1. 장상藏象의 실질
2. 장상모형藏象模型의 형성과 가치
장상藏象의 2단계 구조
1. 음양장상陰陽藏象
2. 오행장상五行藏象
인체는 소우주
1. 장상방위藏象方位-공간모형
2. 장상藏象이 때를 주관-시간모형
3. 장상시공모형藏象時空模型
장상藏象에서 ‘태극太極’은 어느 곳인가?
1. 심心이 태극太極
2. 비위脾胃가 태극太極
3. 명문命門이 태극太極
제6장 경락經絡-생명의 원형통로
십일맥十一脈으로부터 십이맥十二脈으로
1. 죽간竹簡과 백서帛書에 나타난 경맥經脈
2. 십일경맥十一經脈과 천육지오天六地五
3. 십이경맥十二經脈의 유래
4. 십이경맥十二經脈의 명명
기氣의 원형통로
경락經絡의 신기한 작용
경락經絡은 대체 무엇인가?
경락經絡 연구의 오류에서 벗어나야
제7장 병증病證-생명의 이상을 알리는 상象
질병과 상象
1. 질병이란 무엇인가?
2. 질병에 대한 묘사
3. 전식진단全息診斷-팔괘八卦에 반영되는 인체 정보
4. 증상의 변별
질병 치료의 대원칙
1. 한의학의 치병治病 원칙
2. 일초일목일태극一草一木一太極
3. 시공에 의해 지배되는 침구鍼灸
제8장 운기運氣-생명의 예측
《黃帝內經》의 천문의학 사상
1.《黃帝內經》의 우주구조론과 그 의학적 의의
2.《黃帝內經》의 천구天球 사상과 그 의학적 의의
3. 일월日月의 운동과 그 의학적 의의
《黃帝內經》역법曆法 중의 의학 사상
1. 사분력四分曆
2. 팔분력八分曆
3. 오운육기력五運六氣曆
4.《黃帝內經》 역법曆法의 의학적 의의
《黃帝內經》의 오운육기력五運六氣曆
오운五運과 육기六氣
1. 주운主運과 객운客運-천간天干 기년紀年에 따른 예측
2. 주기主氣와 객기客氣-지지地支 기년紀年에 따른 예측
운기동화運氣同化-오운과 육기의 동성同性 배합에 따른 예측
1. 천부天符-세운歲運과 사천司天이 같음
2. 세회歲會-세운歲運과 세지歲支가 같음
3. 동천부同天符-세운歲運 태과太過와 재천在泉이 같음
4. 동세회同歲會-세운歲運 불급不及과 재천在泉이 같음
5. 태을천부太乙天符-세운歲運과 사천司天, 세지歲支가 같음
운기運氣의 예측과 진료에의 응용
1. 오운五運의 예측과 응용
2. 육기六氣의 예측과 응용
운기運氣에 대한 평가
사스SARS와 운기運氣
제9장 의역회통醫易會通의 역사
선진先秦시대-괘상卦象을 빌어 병상病象을 말함
《周易》과 《黃帝內經》
1.《周易》과 《黃帝內經》의 편찬 연대
2. 문자文字 인용 상황
3. 음양陰陽 사유방식
4. ‘오행五行’ 이론의 구조
5. ‘상수象數’ 사유모형
6. 결론
《周易》과 수당隋唐시대의 의학
1. 양상선楊上善의 《황제내경태소黃帝內經太素》
2. 손사막孫思邈의 《천금방千金方》
3. 왕빙王氷의 《중광보주황제내경소문重廣補注黃帝內經素問》
《周易》과 금원金元시대의 의학
1. 유완소劉完素의 화열론火熱論과 한량파寒凉派
2. 장종정張從正의 공사론攻邪論과 공하파攻下派
3. 이동원李東垣의 비위론脾胃論과 보토파補土派
4. 주진형朱震亨의 상화론相火論과 자음파滋陰派
《周易》과 명청明淸의 의학
1. 장개빈張介賓의 의역사상醫易思想
2. 기타 명대明代의 의가醫家
3. 청대淸代의 의가醫家
현대의 역학易學 연구
제10장 의역醫易 연구에 대한 반성
의역醫易 연구의 기본 문제-의역동원醫易同源과 의역회통醫易會通
1. 실천 측면의 고찰
2. 문자 측면의 고찰
3. 사유방식 측면의 고찰
의역회통醫易會通의 교차점-상수부호모형象數符號模型
1. 의역상수모형醫易象數模型의 종류
2. 의역상수모형醫易象數模型의 특징
의역 연구에서 주의해야 할 몇 가지 문제
1. 의역상수모형醫易象數模型이 인체생명모형人體生命模型을 대신할 수 있는가?
2. 역학의 ‘상수象數’를 임상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가?
3. 의역 연구는 어떻게 한의학 발전을 위한 이론적 지침을 제공할 것인가?
4. 의역 연구는 어떤 방법을 채용해야 하는가?
제11장 ‘햄릿’의 문제에 직면한 한의학
한의학은 과학인가 아닌가
한의학 연구의 핵심방법
한의이론(개념) 연구의 오류
어떻게 역설적인 기현상에서 벗어날 것인가
1. 한의학의 개념은 물질실체가 아니라 관계실재임을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
2. 한의학 자신의 규율로부터 출발하여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
생명에 대한 잘못된 인식에서 벗어나 한의학 발전의 방안을 명확히 세우자
후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周易》 철학은 실제로는 생명철학으로, 天道와 人道가 化生하고 變易변역하는 규율을 밝힌 철학이다. ‘易’이란 낳고 또 낳아서 쉼이 없는 것이다. ― “生生之謂易.”
‘易’은 어떻게 만물을 낳고 또 낳는가? 《周易》에서는 인간과 만물을 화생하는 근본이 乾坤건곤과 陰陽음양이라고 보았다. “한번 陰하고 한번 陽하는 것을 도라 이른다(一陰一陽之謂道).” 따라서 乾陽건양과 坤陰곤음이 바로 만물을 생성하는 문호이며 거대한 생식기로, 이 두 개의 거대한 생식기가 교합하여 만물을 생성하는 것이다.- p.33
《黃帝內經?素問소문》<寶命全形論보명전형론>에서는 “인간은 천지의 기운에 의해 생성되고 사시의 법에 따라 완성된다(人以天地之氣生, 四時之法成).”라고 했다. 인간은 천지의 기운을 받아 생성되고, 또 태어나서는 四時 변화의 규율에 따라 완성된다는 말이다. 천지의 기운이 선천이라면 사시 변화의 법칙은 후천이라 할 수 있다. 선천인 천지의 기운이든 후천인 사시 변화의 법칙이든 모두 음양을 벗어날 수 없다. - p.36
陰陽과 五行은 모두 氣의 분화다. 기의 각도에서 보자면, 陰陽은 두 기운이요 五行은 다섯 기운으로, 五行은 陰陽을 세분한 것이다. 氣―陰陽―五行은 하나의 점진적인 생성과 분화의 과정이다. 이는 세 가지의 서로 다른 단계다. 기는 陰陽을 낳고 陰陽은 五行을 낳는다. - p.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