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88990699411
· 쪽수 : 342쪽
· 출판일 : 2006-09-15
목차
머리말 책을 다시 내며
제1부 용담유사 연구
Ⅰ. 여는글
1. 시대 상황과 동학 그리고
2. 한글 가사『용담유사』의 의의와 문제
Ⅱ. 용담유사의 문한적 고찰
1. 『용담유사』의 작품 확정
2. 창작 연대와 장소
1)「용담가」·「안심가」·「교훈가」
2)「도수사」·「권학가」
3)「몽중노소문답가」·「도덕가」·「흥비가」
3.『용담유사』의 정착과정
Ⅲ. 용담유사의 구조분석
1. 수운의 종교적 생애와『용담유사』
2. 종교체험과 전기 작품
3. 교조로서의 가르침과 후지의 작품
Ⅳ. 용담유사에 수용된 제사상의 문학적 의미
1. 풍수지리설의 원용과 수운의 출자
2. 도참사상·역사상의 원용과 민중적 희망 고취
3. 신선사상과 선가류 용어 원용
Ⅴ. 용담유사의 내용 고찰
1. 현실 인식과 비판 정신
1) 현실 인식의 양상
2) 유교적 이념의 붕괴와 무고사의 창궐
3) 서학·서양에 대한 비판적 인식
4) 일본에 대한 비판적 인식
5) 소중화 의식과 자주주의
2. 평등사상과 민중적 의지
1) 무궁한 나로서의 인간
2) 새로운 민중상의 각성
3. 새로운 삶의 질서와 후천개벽
1) 새로운 도덕률의 강조
2) 동귀일체와 후천개벽
Ⅵ. 닫는글
1. 종교가사로서의『용담유사』
2. 개화가사로서의『용담유사』
3. 동학 경전으로서의 『용담유사』
제2부 수운의 작품연구
용담검무의 역사성과 현재성
1. 서론
2. 검무의 기원과 용담검무의 역사성
3. 용담검무의 외형성과 내면성
4. 칼과 춤, 그리고 용담검무의 예술성
5. 용담검무가 지향하는 세계
6. 결론
수운한시의 문헌적 고찰
불연기연 연구 서설
용담유사에 나타난 낙원사상 연구
1. 서언
2. 동학 창도와 낙원사상
3. 동학적 낙원과 지상신선
4. '봄'으로 상징되는 낙원
5. 동학적 낙원의 특성
6. 결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