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이론 심리학
· ISBN : 9788990828132
· 쪽수 : 327쪽
· 출판일 : 2004-08-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장 아시아.아프리카, 광기의 역사
제1장 인도 의학과 광기
1. <아타르바 베다>와 광기
2. 인도 고대 철학과 정신의학
3. 아유르 베다와 광기의 구조
4. <수슈루타 상히타>의 빙의와 간질
5. 고대 인도의 광기와 명정(酩酊)
제2장 불경에 나타난 광기와 심층 심리
1. 불교 철학에서 본 광기의 구조
2. 불교 심리학과 망상
3. 불교 심리학과 마음의 병
제3장 인도 문화와 사회 병리
1. <마누 법전>의 범죄와 광기
2. 희생분사(犧牲焚死)와 인신공양(人身供養)
3. <시귀 이십오화(屍鬼二五話)>의 자살과 범죄
제4장 불교 정신의학의 동점(東漸)
1. 고대 인도의 승려와 의사
2. 일본의 불교와 의학
3. 불교와 정신요법
제5장 티베트, 불교 정신의학과 정신분열병
제6장 인도와 중국의 광기관
제7장 중국의 '광(狂)' 사상
1. 유교와 노장 사상의 '광(狂)'
2. '성(性)'과 '벽(癖)'의 인간론
제8장 중국의 빙의와 샤머니즘
1. 무의(巫醫), 샤먼, 방사(方士)
2. 여우, 일본과 중국 공통의 요괴
3. 방술사와 도교 신비주의
4. 문헌 속의 빙의와 광기
제9장 중국 문화와 광기관
1. 코로(Koro)와 귀병(鬼病)
2. 중국인의 인격 형성과 자녀 교육
3. 서양인이 본 청말(淸末)의 정신 위생
4. 중국 사회와 정신지체
5. 한자로 본 정신지체와 치매
6. 중국 문화와 광기의 인식
7. 중국 의학과 기(氣)
제10장 동방 광기관의 원류
1. 중국의 신경정신질환
2. <코란>과 정신의학
3. 이슬람 의술과 정신의학
4. 전통적 정신의학의 동과 서
맺음말 동양과 서양, 광기의 역사
주(註)
찾아보기
책속에서
가족들은 종종 악마를 쫓아 달라고 방술사나 무당을 불러오거나 사원에 가서 기도를 하기도 한다. 때로는 난폭한 가족을 위해 우리가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악마를 쫓아내고자 환자를 가혹하게 두들게 패는 일도 있다. 발광한 가족의 '빗나간 마음'을 되돌려보고자 해안이나 자연 풍광이 좋은 곳에 마련된 정원으로 데려가는 가족이나, 신들에 대한 공양으로 선행을 베풀거나 가난한 사람에게 보시를 하는 가족도 없지는 않다. 그밖에 광인의 다리를 사원 안에 있는 우상의 다리와 연결함으로써 치료를 기원하는 가족, 네 명의 남자로 하여금 희생자가 탄 가마를 짊어지고 마을을 왕복하게 함으로써 악마 축출을 기도하는 가족도 있다. - 본문 230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