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학교/학습법
· ISBN : 9788991010222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06-06-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_ 공부 잘하는 아이, 결국은 부모 손에 달렸다
프롤로그_ ‘공부하라’고 말하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1장 엄마가 꼭 알아 둬야 할 것들
아이는 부모의 말 속에서 성장한다
‘마마보이’가 되어도 좋다, 극성 엄마가 되어라
가게야마 방식의 학습 비결은?
‘공부 잘하는 것이 멋있다’고 생각하게 하라
우선, 공부를 잘하게 만들어라
공부가 쓸모 있는 것임을 가르쳐 주어라
아이의 성장 시기에 맞춰 3단계로 실천하라
가정 공부 시간은 ‘학년×30분’이 적당하다
공부는 잘하지만 성격은 나쁜 아이가 만들어지는 이유
버릇을 가르치느라 공부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2장 아이 스스로 책상 앞에 앉게 하는 대화법
하나라도 새로운 것을 할 수 있게 되었을 때
한층 더 많이 새로운 것들을 익혔을 때
인내심을 길러 주기 위해
글자를 깨치도록 하기 위해
비디오를 보면서 말을 가르칠 때
아이의 자긍심을 자극하기 위해
아이 스스로 ‘난 머리가 좋다.’고 생각하게 하기 위해
3장 아이의 학력이 저절로 높아지는 대화법
열 문제 중에서 세 문제를 맞혔을 때
어제보다 잘하게 되었을 때
계산 속도가 빨라졌을 때
공부를 게임처럼 느끼게 하기 위해
속도는 빠르지만 실수가 많을 때
4장 ‘공부가 즐겁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과목별 대화법
국어
아이가 책을 좋아하도록 만들기 위해
사전 찾아보는 습관을 길러 주기 위해
책 안 읽는 아이에게 만화를 읽게 할 때
논리적인 글쓰기에 익숙해지게 하기 위해
글 속에 자기의 의견을 나타내게 하기 위해
매일매일 일기를 쓰게 하기 위해
수학
계산 연습을 좋아하게 하기 위해
문장 문제를 어려워할 때
아이가 좀처럼 문제를 풀지 못할 때
도형 문제를 어려워하는 아이에게 보조선을 가르쳐 줄 때
‘모르겠다’고 말하는 아이를 위해
수학 능력을 한층 더 키워 주기 위해
100칸 계산법을 게임처럼 느끼게 하기 위해
100칸 계산을 잘 못하는 아이를 위해
사회
역사에 흥미를 갖도록 하기 위해
지리에 흥미를 갖게 하기 위해
지리에 흥미를 갖지 못하는 아이를 위해
세계사에 흥미를 갖도록 하기 위해
경제에 흥미를 갖게 하기 위해
퀴즈로 사회 과목에 흥미를 갖게 할 때
사회 과목을 가르치면서 동시에 사회의 규칙도 가르칠 때
과학
실물을 통해 과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때
기계에는 원리가 있다는 것을 가르쳐준다
스스로 만들어 보게 하여 과학에 대한 흥미를 키울 때
5장 테스트를 이용한 대화법
기억력을 높이기 위해
1주일 후에 같은 문제를 테스트할 때
예습은 잘하는데 복습은 하지 않을 때
시험 성적을 숨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시험 점수가 나쁜데도 반성하지 않고 놀고만 있을 때
시험 점수가 친구들보다 나빠서 기죽어 있을 때
6장 공부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말
사회 현실을 가르칠 때
아이가 TV 연기자들의 바보 연기에 빠져 있을 때
신분 상승 의지를 갖게 하기 위해
명문 대학에 대한 동경심을 심어 주기 위해
7장 마음이 건강한 아이로 키우기 위해
현실을 깨우쳐 주어 분발하게 하기 위해
학교에서 왕따를 당할 때
거짓말로 마음의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면 부족으로 인한 기억력 저하가 염려될 때
놀이와 공부를 세트로 묶어 주기 위해
우선 순위 정하는 법을 익히게 하기 위해
아이가 오락 프로그램만 보려고 할 때
시간을 허비하지 않게 하기 위해
밖에서 다른 사람의 험담을 하지 않게 하기 위해
친구의 가치관에 좌우되지 않게 하기 위해
8장 말해서는 안 될까? 미묘한 말
꾸짖는다고 아이의 실력이 늘지 않는다
친구보다 머리가 나쁘다고 생각하게 해서는 안 된다
전문직 자격에 대한 동경심을 갖게 하는 것도 중요
학교 선생님의 교육 방식이 나쁠 때도 있다
아버지를 반면교사로 삼는 교육법도 있다
부모의 시대와 아이의 시대는 상황이 다르다
성격 문제를 최우선시하지 않는다
자신에게 소질이 없다고 생각하게 해서는 안 된다
공부는 소질이 아니라 방법이다
책속에서
시험 점수가 나쁠 때는 "으음, 어떻게 하면 점수가 오를지 함께 생각해 보자.", "틀린 부분만 다시 공부해 보자." 등 테스트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 -본문 155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