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중국 현대문학 전공으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회장 및 국제루쉰연구회(國際魯迅硏究會) 이사를 맡고 있다. 루쉰 문학을 비롯해 중국 현대문학사 및 학술사에 관해 연구해왔으며, 최근에는 관심 영역을 확대해 동아시아적 시좌에서 근대 시기 한중 간 문학(문예)과 사상의 교류 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루쉰과 근대 한국』(2017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근대 한중 교류의 기원』(2015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 『중국 근대학문의 형성과 학술문화담론』(2012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중국현대문학사』(2010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중국의 근대적 문학의식 탄생』(2007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천상에서 심연을 보다: 루쉰(魯迅)의 문학과 정신』, 『현대중국, 단절과 연속』(2005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다. 그 밖에 『루쉰전집』 제1권·제5권·제12권(공역), 『화개집·화개집속편』, 『한문학사강요·고적서발집』(2003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무덤』, 『중국당대신시사』(2000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등 다수의 역서가 있다.
펼치기
송영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부 및 동아시아학, 다문화·상호문화 협동과정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일본 와세다대학교에서 석사, 나고야대학교 문학연구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권력과 권위의 언어가 아닌 권리로서의 언어 확립을 위해 한국어와 일본어 전문용어를 쉬운 용어로 바꾸는 이론적 연구와 용어집을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다. 《아름다운 우리말 의학 전문용어 만들기》 《언어와 권력》 등을 집필했으며, 《한자의 미래》 등을 번역했다.
펼치기
이경하 (엮은이)
정보 더보기
덕성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베이징대학 중어중문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베이징대학 동양언어학부 한국어 강사를 지냈으며, 현재 덕성여자대학교와 서강대학교에서 중국어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학위 논문 <北島詩硏究>(석사), <1930年代上海文學期刊與現代派詩潮>(박사)를 비롯해, 역서 ≪대망서 시선≫, ≪린후이인 시집≫, ≪떨리듯 와서 뜨겁게 타다 재가 된 사랑 노래 : 중국 현대 애정시 선집≫(공역), ≪매의 노래 : 바진 타계 일주년 추모 수상록 선집≫(공역) 및 학술 논문 <린훼인(林徽因)의 삶과 문학 속의 ‘동반자’>, <陸小曼 ‘미간행 친필 일기’ 속에 나타난 ‘林徽因’>, <린후이인(林徽因)의 여성관과 빙신(?心)의 풍자>, <쉬즈모의 사랑과 시?케임브리지·베이징·상하이를 중심으로>, <1980년대 상하이 청년 시인들의 도시 서사(抒寫)>, <1976년 광장의 기록?≪텐안먼시초(天安門詩抄)≫(1978)의 탄생 과정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이수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석사 학위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일본 메이지대학(明治大?)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01년부터 인하대학교, 상명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에서 일본어 문법, 회화, 작문, 독해 등 어학수업을 담당하면서 일본어 교수법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쌓았으며, 2005년부터 2009년까지는 한국외대 일본연구소에서 초빙연구원으로 재직한 바 있다.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부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스모남편과 벤토부인 (공저, 2003, 글로세움)
일본어의 언어표현과 커뮤니케이션 (공저, 2008, 연구제이앤씨)
근현대 한국에 대한 외국의 시선 (공저, 2012,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역서
절대학력 (2004, 글로세움)
다람살라의 선물 (2005, 글로세움)
엄마의 말 (2006, 글로세움)
생각의 힘을 깨워라 (2006, 글로세움)
펼치기
김영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종대학교 인공지능융합대학 창의소프트학부 만화애니메이션학과 교수, 융합예술대학원 문화예술산업학과 학과장.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중국 문화를 공부한 후,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예술연구원에서 pre Doctor 과정을 하면서 한국 전통극 〈배비장전〉(중국 〈錾箱联姻〉)(1997)을 연출·기획하였다. 이후 미국 코넬대학교 East Asia Program에 방문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중국 현대영화와 현대미술 평론을 공부하였다. 부산국제영화제 패널, 전주국제영화제 패널을 역임하였으며, 《인사이트》와 《프레시안》에 중국 현대미술 칼럼을 연재하였다.
지은 책으로는 《경극 어떻게 감상하는가》, 《현대 중국의 새로운 이미지 언어》가 있으며, 포스트 사회주의 중국과 타이완의 문화예술에 관한 글을 쓰고 있다.
펼치기
김영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인류학과에서 석사, 미국 남가주대학교(USC) 인류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7년 국립문화재연구소 예능민속연구실 전문위원을 거쳐 2001년부터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원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동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이다.
주요 저서로는 『From Dolmen Tombs to Heavenly Gate』(지문당, 2013), 『한국인의 작법』(일본 슈에이샤, 2011), 『문화와 영상』(일조각, 2002) 등이 있고 『Understanding Contemporary Korean Culture』(지문당, 2011),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일조각, 2002)을 공동 집필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2000년 이후 관광 홍보 동영상 속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 연구」(2011), 「한국의 미를 둘러싼 담론의 특성과 의미」(2007), 「1890년 이후 National Geographic에 나타난 한국 이미지의 변화와 그 의미」(2006), 「1970~80년대 관광 포스터에 나타난 한국성 연구」(2003)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