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91124479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06-07-31
책 소개
목차
옮긴이 서문
서장 - '디지털 문화'란 무엇인가?
1. 디지털 문화의 시작
튜링의 개념적 기계 / 노동과 자본의 분업과 추상화 / 추상화·커뮤니케이션·표상 / 자본주의와 정보 테크놀로지 / 제2차 세계대전의 결과
2. 사이버네틱스 시대
사이버네틱스 담론들 / 사이버네틱스, 컴퓨팅, 그리고 냉전 / 사이버네틱스와 컴퓨팅의 대중화
3. 디지털 아방가르드
예술과 사이버네틱스 / 존 케이지·상호작용성·멀티미디어 / 퍼포먼스와 멀티미디어 / <플럭서스>와 메일 아트 / 그 밖의 흐름들 / 사이버네틱스와 유럽의 예술 / 테크놀로지와 아방가르드 / 초기 컴퓨터 예술의 종말과 시작 / 컴퓨터의 복귀와 디지털 예술
4. 디지털 반(反)문화
후기-산업사회 / 실리콘밸리 / 반문화 / 제2의 질서, 사이버네틱스 / 컴퓨팅과 반문화 / 디지털 반문화와 신자유주의 / 월드와이드웹
5. 저항의 디지털
포스트모더니즘 / 포스트구조주의 / 펑크와 해체 / 비디오게임 / 사이버펑크 / 해킹 문화
결론 - 디지털 자연
한국 독자들에게 전하는 email 메시지
감사의 말
인명목록
책속에서
디지털 문화는 특정 형식을 지닌, 역사적으로 불확정적인 현상이다. 그것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처음에는 근대 자본주의의 절박함에 대한 반응으로서, 그 후 20세기 중반 전쟁의 요구로 인해 함께 대두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은 그것의 촉매적인 사건이라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근대적인 일렉트로닉 디지털 이진법 컴퓨터가 등장했으며, 냉전의 상황 속에서 컴퓨터는 광범위하게 인지된 형식으로 발전했다.
테크놀로지는 현대 디지털 문화의 발전에 기여하는 수많은 원천들 중 하나이다. 그 밖의 원천들에는 정보와 시스템, 아방가르드 예술, 저항문화의 유토피아적 이상주의, 비판이론, 테크노-과학에 대한 철학적 담론들, 심지어는 펑크 같은 하위문화의 형성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이질적인 요소들은 컴퓨터뿐만 아니라 추상화, 성문화, 자기-조절, 가상화, 프로그래밍의 산물이다. 디지털 문화는 그러한 요소들 사이의 복합적 상호작용과 변증법적 관련들로부터 생산되고 있다. - 본문 16~17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