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91334120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07-03-12
책 소개
목차
고대의 11인
공자孔子 / 주공단周公旦 / 노자老子 / 장자莊子 / 맹자孟子 / 순자荀子 / 한비자韓非子 / 묵자墨子 / 손자孫子 / 굴원屈原 / 관중管仲
한대의 8인
유향劉向 / 정현鄭玄 / 왕충王充 / 양웅揚雄 / 가의賈誼 / 동중서董仲舒 / 사마천司馬遷 / 제갈공명諸葛孔明
육조, 수당 시대의 7인
현장삼장玄三藏 / 혜원慧遠 / 도연명陶淵明 / 안지추顔之推 / 두보杜甫 / 한유韓愈 / 유종원柳宗元
송·원·명 시대의 12인
범중엄范仲淹 / 구양수歐陽脩 / 사마광司馬光 / 육유陸游 / 문천상文天祥 / 야율초재耶律楚材 / 장재張載 / 주돈이周敦 / 정호程顥·정이程 / 주자朱子 / 왕양명王陽明 / 주순수朱舜水
청대 중화민국의 12인
강희제 현엽 康熙帝 玄燁 / 황종희黃宗羲 / 왕선산王船山 / 증국번曾國藩 / 좌종당左宗棠 / 홍수전洪秀全 / 위원魏源 / 엄복嚴復 / 황준헌黃遵憲 / 강유위康有爲 / 나복성羅福星 / 손문孫文
책속에서
하늘을 부정한 것이 아니라 인간을 초월한 하늘 아래에서, 사람과 사람으로서 주체성을 가지고 살아가는 그러한 의미에서 공자는 인간 중심의 현실주의자이며 합리주의자였다. 다만 달리 생각해보면 덕의 힘이 사람을 다스리고 세상을 다스린다고 하는 것은 위대한 하늘의 뜻에 따른 것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근본적인 문제는 하늘에 맡기고 인간의 노력과 수양에 따라 바뀔 수 있다는 희망을 가졌던 것이 공자의 생활 태도였다.-'공자' 중에서
유교 사상의 계보를 따져 보자면 그 원류는 주공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하는 관념이 유교의 전통이 되었다. 주공이 주례를 제정한 사람으로 간주되므로 그는 ‘예’의 시조이자 유교 윤리의 원천이 된 것이다. 주공의 하늘에 대한 신앙도 유교의 ‘천명’ 사상으로 계승되었다. 하늘에 대한 ‘제사’와 백성에 대한 ‘명덕明德’을 존중하는 유교의 기본 이념은 주공이 정치적으로 지향했던 점과 통하는 것이다.-'주공단'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