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50인으로 읽는 중국 사상

50인으로 읽는 중국 사상

(공자에서 손문까지)

종청한 (지은이), 임태홍 (옮긴이)
무우수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50인으로 읽는 중국 사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50인으로 읽는 중국 사상 (공자에서 손문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91334120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07-03-12

책 소개

대만에서 태어나 일본 유수의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고 동아시아의 학술 및 문화 교류에 이바지 하고 있는 종청한 박사의 저작으로 역대 중국 사상가들의 인생과 관념, 그리고 상호 영향 등을 맛깔나게 다루고 있다.

목차

고대의 11인
공자孔子 / 주공단周公旦 / 노자老子 / 장자莊子 / 맹자孟子 / 순자荀子 / 한비자韓非子 / 묵자墨子 / 손자孫子 / 굴원屈原 / 관중管仲

한대의 8인
유향劉向 / 정현鄭玄 / 왕충王充 / 양웅揚雄 / 가의賈誼 / 동중서董仲舒 / 사마천司馬遷 / 제갈공명諸葛孔明

육조, 수당 시대의 7인
현장삼장玄三藏 / 혜원慧遠 / 도연명陶淵明 / 안지추顔之推 / 두보杜甫 / 한유韓愈 / 유종원柳宗元

송·원·명 시대의 12인
범중엄范仲淹 / 구양수歐陽脩 / 사마광司馬光 / 육유陸游 / 문천상文天祥 / 야율초재耶律楚材 / 장재張載 / 주돈이周敦 / 정호程顥·정이程 / 주자朱子 / 왕양명王陽明 / 주순수朱舜水

청대 중화민국의 12인
강희제 현엽 康熙帝 玄燁 / 황종희黃宗羲 / 왕선산王船山 / 증국번曾國藩 / 좌종당左宗棠 / 홍수전洪秀全 / 위원魏源 / 엄복嚴復 / 황준헌黃遵憲 / 강유위康有爲 / 나복성羅福星 / 손문孫文

저자소개

종청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8년 대만에서 출생하여 대만사범대학을 졸업했다. 1962년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대학 교육학부를 거쳐 1974년 도쿄대학 대학원에서 교육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쓰쿠바대학, 고쿠시칸대학, 와세다대학 등에서 강의를 하다 분카여자대학, 가와무라가쿠엔여자대학의 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2007년 현재 아시아문화종합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으면서 교육계를 중심으로 아시아 문화교류에 힘쓰고 있다. 저서로는 <유가사상과 교육>, <중국 전국난세의 지모>, <일본 식민지하의 대만교육사>, <중국 현인의 가르침>, <현인 가훈의 인간학> 등이 있다.
펼치기
임태홍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중문과를 졸업하고, 타이완 정치대학 역사학과 석사과정, 성균관대 한국사상사학과 석사과정을 거쳐 도쿄대 동아시아사상문화학과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수석연구원이다. 지은 책으로 『조선의 선비가 일본 사무라이를 만날 때』 『일본 사상을 다시 만나다』 『동아시아의 자국인식』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정담政談』 『50인으로 읽는 중국 사상』 등이 있고, 공역으로 『유일한 규칙』 『쌍전雙典』 『논어징』(전3권)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하늘을 부정한 것이 아니라 인간을 초월한 하늘 아래에서, 사람과 사람으로서 주체성을 가지고 살아가는 그러한 의미에서 공자는 인간 중심의 현실주의자이며 합리주의자였다. 다만 달리 생각해보면 덕의 힘이 사람을 다스리고 세상을 다스린다고 하는 것은 위대한 하늘의 뜻에 따른 것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근본적인 문제는 하늘에 맡기고 인간의 노력과 수양에 따라 바뀔 수 있다는 희망을 가졌던 것이 공자의 생활 태도였다.-'공자' 중에서

유교 사상의 계보를 따져 보자면 그 원류는 주공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하는 관념이 유교의 전통이 되었다. 주공이 주례를 제정한 사람으로 간주되므로 그는 ‘예’의 시조이자 유교 윤리의 원천이 된 것이다. 주공의 하늘에 대한 신앙도 유교의 ‘천명’ 사상으로 계승되었다. 하늘에 대한 ‘제사’와 백성에 대한 ‘명덕明德’을 존중하는 유교의 기본 이념은 주공이 정치적으로 지향했던 점과 통하는 것이다.-'주공단'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