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91402171
· 쪽수 : 243쪽
· 출판일 : 2008-02-11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책머리에
들어가며
1부 과거사 청산은 미래사회의 희망
과거사 청산을 왜 하는 것인가
과거사 청산의 대상은 무엇인가
과거사 청산의 주체는 누구인가
과거사 청산, 사회운동인가? 국가정책인가?
2부 한국에서 민주주의 이행과정과 과거사 청산
민주주의 이행과정과 과거사 청산운동
한국에서 과거사 정리정책
진실화해위원회
과거사 청산운동, 왜 그들만의 리그인가
3부 과거사 청산, '민주화'를 넘어 '사회화'로
과거사 청산운동의 사회화
'열사'에서 '사회적 희생자'로
국가범죄의 공소시효 배제
명예회복운동
4부 민주주의 이행과 세계의 과거사 청산 사례
망각되지 않는 과거사
민주주이 이행과정과 세계의 과거사 청산기구
과거사 청산기구의 권한
과거사 청산의 유형과 진실
정치적 타협과 과거사 청산
나오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진실규명의 사건들은 대부분 국가권력의 형성,유지,강화를 둘러싼 갈등의 산물이자, 세력 간의 혹은 계급간의 이해를 둘러싼 갈등의 산물이자, 세력 간의 혹은 계급간의 이해를 둘러싼 갈등의 산물이다. 이와 관련되는 각종의 사건들은 국가권력의 억압과 그에 대한 저항을 응축하고 있어서, 사건의 진정한 역사적 진실을 규명하기가 쉽지 않다.-p94 중에서
국가권력의 내부공간에서 '희생자'들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는 각종의 위원회는 국가권력의 성격을 민주적으로 변화시키는 투쟁공간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여야 한다. 물론 국가는 법률과 시행령, 그리고 각종의 시행규칙을 중심으로 각종의 명예회복 위원회를 정상적으로 운영한다.-p176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