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람만이 희망이다

사람만이 희망이다

(박노해 옥중 사색, 개정판)

박노해 (지은이)
느린걸음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람만이 희망이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람만이 희망이다 (박노해 옥중 사색,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91418189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5-05-18

책 소개

"사람만이 희망이다" 단 한 문장으로 '시대의 화두'가 되었으며 수많은 영혼을 뒤흔든 책, 박노해의 옥중 사색 <사람만이 희망이다>가 18년 만에 새로운 얼굴로 다시, 희망을 건넨다. 이번 개정판은 박노해 시인이 문체를 다듬고 편집과 디자인을 변화했다.

목차

이 책을 독자 여러분께 권합니다 김수환 5
序 그 여자 앞에 무너져 내리다 6

아직과 이미 사이
아직과 이미 사이 21 | 인다라의 구슬 22 | 감동을 위하여 25 | 변화 속에서 29 | 키 큰 나무숲을 지나니 내 키가 커졌다 30 | 뱃속이 환한 사람 35 | 인간의 거울 36 | 겨울 없는 봄 38 | 솎아내지 마소서 41 | 두 여자가 누구게요 43 | 열리면서도 닫힌 45 | 산에서 나와야 산이 보인다 46 | 현실을 바로 본다는 것 48 | 나는 이렇게 물었습니다 50 | 손을 펴라 52 | 쉬는 것이 일이다 54 | 소걸음의 때 57 | 내 마음 그대 마음 59 | 꽃피는 말 60 | 다시 61

길 잃은 날의 지혜
길 잃은 날의 지혜 65 | 나 하나의 혁명이 67 | 몸의 진리 69 | 인간의 기본 71 | 가벼워지자 74 | 일소가 고개를 돌리듯 76 | 발 밑을 돌아보라 77 | 풀꽃의 힘 79 | 소중한 일부터 82 | 나의 고객은 누구인가 84 | 이 닦는 일 하나 86 | 어떤 밥상인가 89 | 어떻게 사느냐고 묻거든 93 | 줄 끊어진 연 95 | 첫 발자욱 98 | 내 삶 속의 삶 99 | 몸 하나의 희망 100 | 젖은 등산화 102 | 준비 없는 희망 103 | 굽이 돌아가는 길 104

세 발 까마귀
세 발 까마귀 109 | 삶의 신비 113 | 새벽 슬픔 114 | 불변의 진리 116 | 현실 공부 117 | 눈은 상식을 뚫는다 120 | 숨은 제도 122 | 부패의 향기 125 | 삼수갑산 三水甲山 126 | 그들의 실패 - 역사공부 1 128 | 머리 - 역사공부 2 131 | 째깍 째깍 째깍 133 | 역사 앞에서 134 | 두 손으로 얼굴을 가리웁니다 136 | 고난은 자랑이 아니다 139 | 결과에 대한 책임 141 | 적은 나의 스승 142 | 10년 후 144 | 사는 데 도움이 안 된다면 146 | 오늘은 오늘의 투혼으로 152

겨울 사내
겨울 사내 157 | 종달새 158 | 말이 없네 160 | 나는 미친 듯 걷고 싶다 161 | 새벽 풍경 소리 163 | 시린 머리의 잠 165 | 송이처럼 166 | 꽃심인가 167 | 추운 밤에 169 | 겨울 더 깊어라 170 | 핏빛 잎새 171 | 겨울이 온다 173 | 살아 돌아오너라 175 | 해 뜨는 땅으로 177 | 청산은 왜 아픈가 179 | 새야 새야 180 | 감옥 사는 재미 182 | 내 안의 아버지 183 | 천리 벽 속 187 | 실크로드에 가고 싶다 188

셋 나눔의 희망
셋 나눔의 희망 193 | 나눔과 성장 195 | 거룩한 사랑 200 | 나는 왜 이리 여자가 그리운가 202 | 지옥 204 | 맑은 손길 206 | 한 밥상에 208 | 숨은 야심 210 | 인간 복제 213 | 외계인을 기다리며 216 | 내가 보고 싶은 것들 219 | 똥배 없는 세상 221 | 용서받지 못한 자 223 | 무장無藏 하세요 224 | 몸부림 226 | 가을 물소리 228 | 부지깽이 죽비 230 | 꽃씨를 받으며 233 | 산정山頂 흰 이마 235 | 이제와 우리 죽을 때 236

첫마음
첫마음 241 | 그대 속의 나 242 | 시대 고독 244 | 한밤중의 삐삐 소리 246 | 순정한 별은 지고 248 | 편지 250 | 별의 시간 251 | 참혹한 사랑 252 | 내 그리운 은행나무 아래 254 | 그리운 여자 255 | '첫사랑'에 울다가 256 | 전봇대에 귀 대고 258 | 반쯤 탄 연탄 262 | 밑바닥 누룽지 265 | 무지개 266 | 별에 기대어 267 | 아름다운 타협 269 | 빙산처럼 271 | 새벽별 273 | 조건 275

희망의 뿌리 여섯
희망의 뿌리 여섯 279

한 번은 다 바치고 다시 도정일 293
박노해를 기다리며 박기호, 김진주 316

저자소개

박노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7 전라남도에서 태어났다. 16세에 상경해 노동자로 일하며 선린상고(야간)를 다녔다. 1984 27살에 첫 시집 『노동의 새벽』을 펴냈다. 이 시집은 군사독재 정권의 금서 조치에도 100만 부가 발간되며 한국 사회와 문단을 충격으로 뒤흔들었다. 감시를 피해 쓴 박노해라는 필명은 ‘박해받는 노동자 해방’으로, 이때부터 ‘얼굴 없는 시인’으로 알려졌다. 1989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사노맹)을 결성했다. 1991 7년여의 수배 끝에 안기부에 체포, 24일간의 고문 후 ‘반국가단체 수괴’ 죄목으로 사형이 구형되고 무기징역에 처해졌다. 1993 감옥 독방에서 두 번째 시집 『참된 시작』을 펴냈다. 1997 옥중에세이 『사람만이 희망이다』를 펴냈다. 1998 7년 6개월 만에 석방되었다. 이후 민주화운동가로 복권됐으나 국가보상금을 거부했다. 2000 “과거를 팔아 오늘을 살지 않겠다”며 권력의 길을 뒤로 하고 비영리단체 〈나눔문화〉(www.nanum.com)를 설립했다. 2003 이라크 전쟁터에 뛰어들면서, 전 세계 가난과 분쟁의 현장에서 평화활동을 이어왔다. 2006 레바논 내 최대 팔레스타인 난민촌 ‘아인 알 할웨’에 〈자이투나 나눔문화학교〉를 세워 난민 아이들을 지원하고 있다. 2010 낡은 흑백 필름 카메라로 기록한 사진을 모아 첫 사진전 「라 광야」展과 「나 거기에 그들처럼」展(세종문화회관)을 열었다. 12년 만의 시집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를 펴냈다. 2012 〈나눔문화〉가 운영하는 〈라 카페 갤러리〉에서 상설 사진전을 개최, 23번의 전시 동안 41만 명이 관람했다. 2014 사진전 「다른 길」展(세종문화회관) 개최와 함께 『다른 길』을 펴냈다. 2020 시 그림책 『푸른 빛의 소녀가』, 2021 경구집 『걷는 독서』, 2022 시집 『너의 하늘을 보아』, 2024 첫 자전수필 『눈물꽃 소년』을 펴냈다. 2025 30여 년간 써온 책, 우주에서의 인간의 길을 담은 사상서를 집필 중이다. ‘적은 소유로 기품 있게’ 살아가는 〈참사람의 숲〉을 꿈꾸며, 시인의 작은 정원에서 꽃과 나무를 기르며 새로운 혁명의 길로 나아가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을 독자 여러분께 권합니다」 故 김수환 추기경
박노해가 이제 새로운 모습으로 우리 곁에 다가옵니다. 무기징역형을 선고받고 7년째 경주교도소에 수감되어, 크나큰 고통 속에서 꿋꿋한 희망의 사람으로 새롭게 태어난 박노해. 단지 외부의 적을 향해서 목소리를 높이는 사상과 투쟁에서 나아가 삶의 안쪽에서 자기 자신과도 치열하게 투쟁하는 삶이 진정한 혁명적 삶이라는 것을 깊이 깨우친 사람으로 다가옵니다. -1997년,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추기경 김수환


「한번은 다 바치고 다시」 도정일 | 문학평론가, 경희대 교수
그에 대한 기억이 어떤 것이건 간에 우리는 누구도 '박노해'를 지울 수 없다. 그의 성공과 실패, 성취와 좌절은 이 시대 모든 한국인의 삭제할 수 없는 운명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집단적으로, 현대 한국인은 박노해라는 이름 앞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에 따라 여러 부류의 이해집단으로 나누어진다. 개인 차원에서도 우리는 모두 내부적으로 제각각 몇 퍼센트씩은 그를 유배한 자이고 동시에 그의 지지자이며, 비판자이고 동조자이다. 한 시대, 한 사회의 집단적 운명을 이처럼 자기 개인의 운명에 붙들어 맨 존재가 일찍이 있었던가!


아직과 이미 사이
'아직'에 절망할 때 / '이미'를 보아 / 문제 속에 들어 있는 답안처럼 / 겨울 속에 들어찬 햇봄처럼 / 현실 속에 이미 와 있는 미래를 // 아직 오지 않은 좋은 세상에 절망할 때 / 우리 속에 이미 와 있는 좋은 삶들을 보아 / 아직 피지 않은 꽃을 보기 위해선 / 먼저 허리 숙여 흙과 뿌리를 보살피듯 / 우리 곁의 이미를 품고 길러야 해 // 저 아득하고 머언 아직과 이미 사이를 / 하루하루 성실하게 몸으로 생활로 / 내가 먼저 좋은 세상을 살아내는 / 정말 닮고 싶은 좋은 사람 / 푸른 희망의 사람이어야 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