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경영 사상가 20인] > 조지프 스티글리츠
· ISBN : 9788991762367
· 쪽수 : 494쪽
· 출판일 : 2007-03-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한국어판 서문
책머리에
표 목록
도표 목록
용어 설명
1장 지금까지의 이야기
2장 무역은 개발에 이로울 수 있다
3장 개발 라운드의 필요성
4장 도하에서는 무엇을 이루었나
5장 공정한 협정의 기초
6장 개발도상국을 위한 특별대우
7장 개발 라운드의 우선사항들
8장 시장을 어떻게 개방할 것인가
9장 국경 뒤편의 우선사항들
10장 의제에 올려서는 안 될 것들
11장 무역 체계에 합류하기
12장 제도개혁
13장 무역자유화와 조정비용
부록 1 시장접근 이슈에 대한 실증적 검토
부록 2 싱가포르이슈에 대한 실증적 검토
감사의 글
옮긴이의 글
참고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무역정책과 산업정책을 모두 사용하는 개발도상국의 능력을 제한하는 규정을 세계 무역 체제가 이행하고 있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개발도상국에게 정책조화라는 족쇄를 강요하는 추세는 지금 당장 들이댈 수 있는 증거만 보더라도 정당화될 수 없다.
경제학자들은 경제 개발 과정에 대해 많은 것을 알아냈다. 하지만 아직도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이 많이 있고, 이 분야에서 개발도상국에게는 그들이 처한 특수한 환경에 맞춰 정책전략을 개발할 수 있는 자유가 주어져야 한다.-p56 중에서
무역자유화로 정책 및 수입의 맹습에 새로이 직면하게 된 나라들은 새로운 수출기회를 이용하기 위해 기업의 신규 설립과 기존 기업의 확대에 대출을 제공하는 장치를 반드시 찾아내야만 한다. 그리고 거시경제정책은 이러한 요구를 민감하게 받아들임으로써 (실질)금리가 적절한 수준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보장하지 않으면 안 된다.
과거,개발 도상국들을 위해 조언하는 국제기구들은 이러한 요구에 충분히 민감하지 않았다. 하지만 좋은 정책 이상의 것이 요구될 것이다. 예컨대, 요구되는 물리적, 제도적 기반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지원이 필요하다.-p348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