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2008808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18-11-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사람을 지향하는 데이터를 꿈꾸며
1장 왜 마이크로 지리 정보학인가?
01 지리학 전성시대
02 매크로 지리학과 마이크로 지리학
03 지리학, 데이터와 결합하다
04 마이크로 지리 정보학
05 데이터 시각화의 영향력
06 사람을 향한 데이터
2장 정책과 지리 정보학
01 정책 효과를 골목길 구석까지
02 주차 행정: 서울특별시 성북구
03 문화 행정: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세종특별자치시
04 질병 관리 행정: 충청남도 아산시
05 상생 협력 행정: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06 서민 금융: 경기도 고양시
07 생활 체육 행정: 서울특별시 중랑구
08 방범 행정: 서울특별시 성북구
09 복지 행정: 경기도 안산시
10 고용 행정: 서울특별시 광진구
11 대중교통 행정: 세종특별자치시
3장 선거 지리 정보학 & 경영 지리 정보학
01 선거 전략과 지리학의 만남
02 마이크로 전략 지도
03 기업 경영과 마이크로 지리 정보학
04 마케팅 경영 정보 지리학
05 세계는 지리 정보 전쟁 중
에필로그_공간의 경계는 무너지지 않았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나는 지리학의 본질적인 유용성과 가치에 주목했고 이를 구체적인 현실 문제 해결에 적용할 방안을 찾고 싶었다. 먼저 분석의 단위를 잘게 쪼개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했다. 여러 사람의 복잡다단한 삶이 펼쳐지는 공간 영역은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이다. 현안을 둘러싼 이해관계와 의견 역시 단순한 행정구역상 주소지만으로 파악할 수 없다. 골목마다 다른 상황이 존재한다. 세분화할수록 더욱 정교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마이크로’ 관점을 도입하기로 했다.
주차 문제라면 주차 민원이 심각한 지역일수록 A등급 파란색, B등급 빨간색, C등급 노란색으로 표시하고 주차 위반 단속 건수에 따라 크기를 달리한 원으로 부가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데이터를 반영한 지도를 완성해놓고 보면 문제가 한눈에 드러난다. 주차장이 이미 포화상태이거나 더는 지을 수 없는데도 분쟁이 매우 잦은 지역이 드러나면, 이곳에는 셔틀버스 운영, 시민 토론 등의 대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때 계량화된 데이터뿐 아니라 사람들의 구체적인 감정과 의견을 묻는 인식 데이터 수집도 병행해야 한다. 불편의 정도, 해결 방안에 관한 의견 등이 계량화된 데이터와 융합된 상태에서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좋다.
마이크로 지리 정보학의 방법론을 대중교통 체계에 접목하려 한 것이다. 대중교통 노선을 편성하고 나서 조사 및 연구 작업을 진행했는데, 목표는 세종시 전 지역에서 도보로 5~10분 이내에 원하는 곳으로 가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편성하는 것이었다. 기존 공간 구성과 입지 여건, 지역별 교통 유동 상황 등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인식 데이터 수집을 위한 여론조사를 병행했다. 행정 업무 만족도에 대한 질문에서 만족과 불만족이 각각 절반씩을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