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92114127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07-04-19
책 소개
목차
Introduction '우리를 이끌어온 서양철학의 발자취'
중요한 출발_그리스 로마 철학
-세상은 질문을 던진다
'나는 내가 아무것도 알지 못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소크라테스
'동굴 우화의 만담가' 플라톤
'실재적인 것을 사랑한 사람' 아리스토텔레스
-스토아 학파와 에피쿠로스 학파
중세_ 암울하지 않았던 시대
'영혼을 관망한 신학자'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
-스콜라 철학
'神적 영혼의 불꽃'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자주적인 사고_근대의 시작에서부터 계몽주의의 완성까지
-철학과 리스본의 지진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르네 데카르트
경험주의
'자연으로 돌아가라' 장 자크 루소
'진짜 반지는 증명할 수 없다'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
'신, 자유, 불멸의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
19세기_절대적 관념론부터 신의 죽음까지
'강력한 세계의 영혼'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소외의 끝으로부터' 카를 마르크스
'인간을 혐오한 철학자' 아서 쇼펜하우어
'유혹자의 일기' 쇠렌 A. 키에르케고르
'천재와 광기를 입증한 철학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
20세기_아무것도 과거와 똑같지 않다
'중심에 서 있는 인간' 카를 야스퍼스 & 장 폴 사르트르
'실존을 찾아서' 마르틴 하이데거
'악의 평범성에 대해' 한나 아렌트
'반증의 기술' 칼 포퍼
-프랑크푸르트 학파
-구조주의에서 해체주의까지
'매체의 철학자' 페터 슬로터다이크
책속에서
육체를 경시하고 영혼을 갈망한다는 점에서 그리스 기독교와 신플라툰주의는 유사하다. 그러나 이러한 위험한 유사성 때문에 기독교 사상가들은 신플라톤 학파와 투쟁을 한다. 신플라톤 학파는 인격체로서의 신 대신 신적인 하나님과 선에 대해 이야기하고, 창조 대신 유출에 대해 이야기하고, 영혼은 신에 의해 구원된다는 대신 선을 인식한다고 이야기한다.-p33 중에서
키에르케고르 스스로는 경험하지 못했지만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에서 변증법적 신학과 실존철학이 그를 근거로 성립되었다. 20세기의 인간에게 그의 실존 개념은 필수부가결한 것이 되어 버렸다. 그의 희망이 이루어진 것이다.-p151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