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중세철학 > 중세철학 일반
· ISBN : 9788992114295
· 쪽수 : 501쪽
· 출판일 : 2008-04-15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군주 마키아벨리
01 마키아벨리의 덕목
르네상스인 I 고대의 덕목 I 획득과 승계 I 인상적인 것으로서의 덕목 I 정치화된 덕목 I 공화주의자의 덕목
I 덕목과 선 I 선의 경영 I 덕목 그리고 인본주의자의 웅변 I 유연해진 덕목 I 덕목과 신중함 I 덕목의 기술
I 덕목과 행운
제2부 마키아벨리의 시작
02 도시 기원의 필요성
마키아벨리의 수사 I 토착민과 외부인 I 피렌체의 기원 I 희생자를 선택하라 I 새로운 시작
03. 정치 원칙에 관한 버크론과 마키아벨리론
원칙과 양심 I 혼합정부론에 관한 마키아벨리론 I 당파주의와 제국주의 I 자급자족의 환상 I 정치의 계층 분석
I 다원주의의 한계 I 버크의 합법성의 수호 I 공평한 자연법 I 원칙과 섭리
04 마키아벨리와 진보 사상
분파의 순환기 I 아리스토텔레스와 혁명 I 공평한 체제 I 마키아벨리의 영원한 공화국
제3부 마키아벨리의 저서들
05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에 관한 개론
06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 속 당파와 분파
1434의 의미 I 압도적인 힘 I 사보나롤라의 부재 I 탐구 I 피렌체의 식민지 I 이탈리아의 당파들 I
피렌체의 첫 분열 I 피렌체와 이탈리아 당파들 I 근대 군주들의 분열
07 [군주론]에 관한 개론
08 마키아벨리 [전술론]의 개론
인문주의에 대한 비평 I 전술론 상의 클라우제비츠와 소크라테스 I 코시모의 죄의 추궁 I
파브리치오의 추정 I 질서와 덕목 I 가능성 I 권력 I 지휘관의 병사들 I 지휘관의 정치관
09 스트라우스의 마키아벨리
제4부 마키아벨리의 정치관
10 마키아벨리의 새로운 체제
고전적인 체제 I 군주의 상 I 군주의 벌 I 비정상적인 수단 I 간접 정치 I 왕다운 무력 I 숙청과 제지
11 마키아벨리의 정치학
마키아벨리의 근대성 I 신중함과 전술 I 순환과 정신
12 마키아벨리의 존재와 비개인적 근대 국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당원 체제 I 비개인적 지배 I 마키아벨리의 개인적 국가 I 마키아벨리의 중립성
13 마키아벨리와 근대 집행 권력
정치적 처벌 I 전쟁의 중요성과 외교문제 I 절대적 기술로서의 집행 I 정부의 간접성 I 결단력 I 비밀 I 우노 솔로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덕목이란 그 자체를 위한 것이라고 아리스토텔레스가 가정했을 때, 그는 덕목의 실재성과 본질을 위해 덕목을 향한 인간의 칭송을 받아들인 것이다. 왜냐하면 덕목 그 자체는 행위에서는 결코 찾을 수가 없고 단지 칭송을 통해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마키아벨리는 <군주론>과 <리비우스에 관한 논고> 두 저작의 시작 부분에서, 똑같은 질문에 아리스토텔레스와 반대로 대답한다. 덕목이란 결코 그 자체로만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은 다른 무엇인가를 위해 존재해야만 하고, 그 최종 목표는 획득이다. (41쪽, '제1부 군주 마키아벨리' 중에서)
마키아벨리는 “그의 정신과 그의 무기의 덕목으로 자신의 통치력을 확장시키는 덕스러운 폭군”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전혀 당혹스러워하지 않는다. 그러면서 그는 정치에서 가장 값진 것으로 여겨지는 고전적 덕목인 온건함에 대한 심한 반감을 드러낸다.
이를테면 ‘엄청나다’거나 ‘과도하다’거나 ‘드물고 극단적인’ 덕목에 대해 이야기하고 덕목으로서의 온건함에 대해서는 침묵을 지키며, ‘모든 중립적 의미의 덕목’들의 무자비함을 옹호하면서 친절함에 반대하고 ‘중도(中道)’를 신랄하게 비난하는 식이다.
마키아벨리가 생각하는 온건함은 ‘그 사람의 힘을 가늠하는’ 즉 신중함의 군사적 형태를 가늠하는 지배력에서 표출된다. 그는 결론적으로 모든 인간은 움직이며, 그것도 이성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움직인다고 말한다. (43쪽, '제1부 군주 마키아벨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