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이론 심리학
· ISBN : 9788992654401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0-12-24
책 소개
목차
Ⅰ. 중독적인 사랑의 현실
1. 사랑의 힘
건강한 사랑 · 중독 · 사랑 중독의 유형 · 사랑과 무의식적 마음
2. 사랑중독의 뿌리
생물학의 역할 · 문화의 역할 · 영적 탐구의 가치 · 자아 실현 · 심리학의 역할
3. 사랑중독의 심리학
의존성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 내면의 어린 아이: 중독적 의존관 · 사랑중독 뒤의 신화
Ⅱ. 어떻게 하면 당신을 사랑할 수 있을까
4. 사랑중독자들
중독적인 사랑을 구별하기 · 사랑 중독의 특징
5. 파워 플레이
파워 · 파워 플레이의 시작 · 23가지 파워 플레이 · 선택 사항 · 목표: 상호 존중
6. 건강한 소속감
타인을 향한 우리의 욕구 · 건강한 사랑의 특징 · 파워를 나누어 갖기
7. 중독에서 사랑으로
탈출구 · 중독에서 벗어나서 건강한 사랑으로 들어가기: 과정 · 중독에서 건강한 사랑으로 · 때로는 내려 놓을 필요가 있다
8. 사랑중독에서 벗어나는 법
자가 치유 방법: 자각, 평가, 결심, 탐색, 재프로그래밍, 새롭게 하기, 확장
리뷰
책속에서
원초적인 의미에서 볼 때, 우리는 생물학적으로 생존하기 위해 사랑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어린 아이일 때 타인으로부터 사랑받는 경험을 하지 않는다면 완전하고 건강한 인간으로 성장하지 못한다. 사랑을 받지 않고도 그럭저럭 살아갈 수는 있지만, 사랑받는 경험이 없다면 자아존중감이나 다른 이에 대한 사랑, 삶에 대한 애착과 같이 건전하면서 중독적이지 않은 사랑 관계의 모든 기본적 요소들을 키워나가기가 어려울 것이다.
사랑중독자들은 두려움, 고통, 불편함을 치유하기 위해 다른 이를 찾게 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학대적 행동을 참아 내거나 그런 행동을 저지르기도 한다. 사랑 중독의 대상이 되는 타인에는 우리가 흔히 무의식적으로 얽매여 있는 각자의 인생에서 중요한 사람들, 즉 자식, 부모, 친구, 상사, 배우자, 연인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는 상상속의 연애감정이나 성적 집착증처럼 개인적으로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일 수도 있다. 관계가 건강한지 그렇지 못한지를 판단하는 핵심 요소는 그 사람이 우리를 인정하지 않고, 우리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고, 심지어 우리를 멀리하고, 위협하는 경우에 우리가 어떤 느낌을 갖느냐에 달려 있다. 사랑이 비정상적이고 역기능적인 행동으로 돌변하는 것은 의심할 여지없이 애정 대상이 우리를 떠나게 되거나 떠나겠다고 위협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사랑중독에서 의존관계의 끈은 한 배우자의 내면 아이에서 다른 상대방의 내면 아이로 연결된다. 사랑중독에 빠진 연인들 안에 있는 뭔가가 그들이 살아나가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과 애착을 맺어야 하고 그 사람이 자신들을 비로소 완전하게 만들어 주는 마법 같은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도록 만든다. 중독에 빠진 연인들은 자신들이 혼자서는 완전해질 수 없다고 믿는다. 뭔가 빠진 것 같다는 생각이 깊게 깔려 있어서 이미 성인인 그들로 하여금 과거에 충족되지 않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다른 사람을 찾게 만든다. 문제는 자신의 진정한 욕구로부터 멀어져 있는 사람들은 대개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힘과 능력이 부족했던 원래의 사람들(즉, 부모)과 흡사한 사람들을 찾게 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