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88993212303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1-01-10
책 소개
목차
1장. 왜 글쓰기가 중요한가?
01. 글쓰기와 생활
02. 왜 글쓰기가 어려운가?
03. 어떻게 해야 하는가?
2장. 글쓰기의 기초
01. 글쓰기의 의의
02. 글쓰기를 위한 독서
1. 독서 자료의 종류
2. 글쓰기의 기초로서의 독서
3. 독서의 기술
03. 글쓰기 연습의 방법들
1. 글쓰기 연습의 이해
2.글쓰기 연습의 방법
04. 글의 요약을 통한 글쓰기 훈련
1. <제시문 1> 요약하기
2. <제시문 2> 요약하기
05. 글의 요약과 확장의 실제: 논술시험
1. 논제와 제시문
2. 1단계: 논제의 요구사항 정리
3. 2단계: 제시문 분석과 요약문 작성
4. 3단계: 공통주제 추출
5. 4단계: 논술작성
06. 글쓰기 연습의 실제
3장. 글쓰기 단계별 요령과 방법
01. 글쓰기의 태도와 조건
1. 글쓰기의 태도
2. 글쓰기의 조건
3. 글쓰기의 순서
02. 기획과 착안: 주제의 선정
1. 문제의 터전
2. 상황별 주제선정
3. 주제선정의 원칙
4. 주제의 설정 방식
5. 시간계획
03. 자료의 수집과 정리
1. 자료의 수집
2. 자료 읽기
3. 독서카드의 작성
4. 자료의 분류와 정리
5. 카드의 종류
04. 구상과 계획: 개요의 작성과 확장
1. 개요의 작성은 필수
2. 개요의 형식
3. 개요의 성장
4. 화제개요와 문장개요
05. 문단의 전개 요령
1. 문단의 의미
2. 문단의 전개
06. 글쓰기의 규칙과 방법
1. 제목 붙이는 법
2. 글쓰기의 몇 가지 원칙
3. 문장의 표현방법
4. 표기방법
5. 인용문
6. 주석
7. 참고문헌 목록
8. 서론과 결론의의미
9. 글쓰기의 실제 과정
4장. 글다듬기
01. 교정과 교열
02. 문장의 퇴고
03. 기본적인 문법과 맞춤법
1. 부정확한 문장의 유형들
2. 문장과 단어
3. 맞춤법과 구두점
4. 틀리기 쉬운 단어와 표현
5장. 글쓰기의 실제
01 중간고사, 기말고사 답안지
1. 시험답안도 일종의 논문이다
2. 시험을 준비하는 요령
3. 시험답안의 구성
4. 시험답안 작성의 실제
02. 리포트
1. 리포트의 의의
2. 리포트의 평가
3. 리포트의 형식
4. 리포트 작성의 실제
03. 논술시험
1. 논술의 기초이론
2. 논술시험에 대한 대비책
3. 논술시험의 실제 연습
4. 논술문과 개요의 관계
04. 졸업논문을 비롯한 간단한 논문
1. 졸업논문의 의의
2, 리포트에서 졸업논문으로
3. 졸업논문 작성의 실제
05. 기타 글쓰기: 자기소개서, 프레젠테이션, 기획서 등
1. 자기소개서
2. 제안서나 기획서
6장. 글쓰기의 기타 포인트
01. 글쓰기의 자세
1. 글쓰기 공부의 의미
2, 글쓰기의 자세
3. 상상력과 창의성
02. 중요 개념과 용어에 대한 공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F. 베이컨은 일찍이 “아는 것이 힘이다”라고 말했지만,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아무리 아는 것이 많다 해도 그것을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표현하지 못한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따라서 “아는 것이 힘이다”는 ‘쓰는 것이 힘이다’로 바뀌어야 하는 것이다. (중략)
글쓰기는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사고능력, 표현력, 문장력과 어휘력, 상식과 전문지식 등을 기초로 하는 종합적인 자기표현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목표로 삼은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서도, 대학생활을 알차게 보내기 위해서도, 사회생활을 유능하게 영위하기 위해서도, 글쓰기는 필수적인 능력인 것이다. 따라서 글쓰기 훈련은 절대로 피하거나 소홀히 해서는 안 되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임해야 하는 필수적인 과제라고 하겠다.
-<머리말>에서
어떤 주제를 놓고 그냥 글을 쓰라고 한다면 무척 당황스럽기도 하고 곤혹스럽기도 할 것이다. 글쓰기 연습의 처음 단계에서 권장하고 싶은 방법은 관심 있는 주제에 관한 기존의 글을 읽고 그것을 요약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그 요약문을 중심으로 다시 원래 길이 정도의 글로 확장하는 방법과 연결된다.
이때 요약문이나 그것을 다시 확장한 글이 원래의 글과 내용상으로는 궤를 같이 해야 하겠지만 표현이나 구체적인 내용이 같을 필요도 없고 또 같아서도 안 될 것이다. 왜냐하면 이것은 글쓰기 연습이지 기억력 훈련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기존 글의 도움을 받아 자기만의 수정판을 만들면서 글쓰기 연습을 하는 방식인 것이다.
-<2장. 글쓰기의 기초> 중에서
글의 내용을 구성해서 한 편의 완성된 원고로 만드는 것은 어렵고 지루한 과정이다. 어떻게 하면 원고를 빠른 시간 안에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가에 대한 조언은 매우 유용하고도 필요한 정보이겠지만 그 해답은 간단하지 않다. 여기에서는 필자가 즐겨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여러분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필자는 대개 다음과 같은 단계를 밟아 글을 쓴다.
-<3장. 글쓰기의 단계별 요령과 방법>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