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과학철학
· ISBN : 9788993322934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16-04-1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장. 데카르트의 동물론: 동물 감각을 중심으로
1. 데카르트의 동물 생리학
2. 비의식 감각과 의식 감각의 구별
3. 앞으로
1부. 동물의 감정
2장. 어류의 감정: 송어가 두려움을 느낄 수 있을까?
1. 무지개 송어의 감정 연구
2. 어류의 의식에 대한 반론
3. 느낌 없는 감정
3장. 파충류의 감정: 도마뱀이 흥분할 수 있을까?
1. 이구아나의 감정 연구
2. 의식의 인지 심리학 모델과 파충류의 의식
4장. 데카르트와 동물 감정
1. 데카르트의 동물 감정 이론
2. 동물 의식
3. 데카르트 동물론 테제 1: 동물의 비의식 감각과 비의식 감정
2부. 동물의 언어
5장. 조류의 언어: 앵무새가 인간의 말을 이해할 수 있을까?
1. 아프리카 회색 앵무새의 언어 학습 능력 연구
2. 새의 의식과 뇌
3. 새의 인간 언어 이해
6장. 영장류의 언어: 침팬지와 보노보가 인간의 기호를 이해할 수 있을까?
1. 침팬지 언어 연구
2. 보노보 언어 연구
3. 문법의 이해와 언어 본능
7장. 데카르트와 동물 언어
1. 데카르트의 동물 언어 이해
2. 동물 표상
3. 데카르트 동물론 테제 2: 동물의 제한된 언어 능력과 비문장 표상 능력
3부. 동물의 자의식
8장. 포유류의 자의식: 돌고래가 자의식이 있을까?
1. 병코 돌고래의 자기 앎 연구
2. 자기 앎의 유형과 돌고래의 자기 앎
3. 논리 반론과 실험 반론
9장. 영장류의 자의식: 침팬지는 어떤 자의식을 가질까?
1. 침팬지의 몸 자기 앎
2. 침팬지의 마음 이론
10장. 데카르트와 동물 자의식
1. 데카르트의 동물 자기 앎 이해
2. 동물 합리성 / 314
3. 데카르트 동물론 테제 3: 동물의 비의식 몸 자기 앎과 비의식 사회 자기 앎
11장. 동물과 인간의 경계를 찾아서
1. 데카르트와 다윈의 만남
2. 동물과 인간의 경계
3. 맺음말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동물의 감각 문제는 데카르트에게 딜레마다. 데카르트는 사유를 본성으로 가진 영혼과 연장을 본성으로 가진 물체를 서로 다른 실체로 보는 형이상학 이원론에 따라 동물에게 영혼이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나는 이 딜레마를 해결하는 길이 데카르트가 현대 신경 과학의 의미에서 비의식 감각(nonconscious sensation)과 의식 감각(conscious sensation) 또는 의식 느낌(conscious feeling)을 구별하는 데 있다.
색, 소리, 냄새, 맛, 뜨거움, 아픔, 배고픔, 목마름 등에 관한 지각은 동물이 인간과 공유한다고 해서 문제가 될 것이 없다. 데카르트에 따르면 지각은 영혼의 수용 기능이기 때문에 영혼 없는 동물에게 있을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나는 1장에서 동물이 영혼의 의식 느낌 없이 색, 소리, 냄새, 맛, 뜨거움, 아픔, 배고픔, 목마름 등에 관한 생리 기능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데카르트에 따르면 동물 정기와 솔방울 샘의 움직임은 영혼에 의식 감각 또는 의식 느낌을 낳지 않은 채 동물이 색, 냄새, 아픔, 배고픔 등에 관한 비의식 감각을 가질 수 있게 만든다.
나는 동물 언어에 관한 데카르트의 견해가 표상 능력과 언어 능력을 구별하고 동물에게 언어 능력을 전면 허용하지 않지만 비문장 표상 능력을 인정한다고 논증한다. 나는 동물이 제한된 언어 능력과 비문장 표상 능력을 가진다는 데카르트 동물론 테제 2가 현대의 동물 언어 논쟁에서도 부분적으로 타당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논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