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는 어떤 사회에 살고 있는가?

우리는 어떤 사회에 살고 있는가?

(좋은 사회 지수(Better Society Index)를 통해 본 한국인의 생활세계)

유승호, 김문조, 김기주, 장안식, 석승혜, 김남옥 (지은이)
가쎄(GASSE)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는 어떤 사회에 살고 있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는 어떤 사회에 살고 있는가? (좋은 사회 지수(Better Society Index)를 통해 본 한국인의 생활세계)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3489675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17-06-29

책 소개

한국 사회의 낮은 삶의 질은 양극화 문제와 함께 한국의 미래를 어둡게 만드는 대표적인 문제이다. 강원대 유승호 교수는 연구자들과 함께 한국 사회의 ‘질(質)’적인 문제를 그들이 개발한 ‘좋은 사회 지수’에 대입시킨 후 이를 토대로 한국사회의 민낯을 가감 없이 드러냈다.

목차

머리말 14

1장 ‘좋은 사회(Better Society)’란 무엇인가? 25

1. GDP와 ‘좋은 사회’ : 객관적 평가에서 주관적 평가로 27
GDP와 BLI(Better Life Index)의 출현 배경 28
BLI와 한국인의 생활세계 37
공동체 의식, 행복, 사회적 인정 41
2. 분배를 넘어 인정으로 43
다중 격차 시대의 고도 불안과 갈등 43
분배 갈등에서 인정 갈등으로 45

2장 종합적 측정 도구로서의 ‘좋은 사회 지수’ 55

‘좋은 사회 지수(BSI : Better Society Index)’의 양대 구성 요소 57
삶의 질 척도로서의 ‘좋은 삶 지수(BLI : Better Life Index)’ 61
동반적 존재로서의 ‘사회적 인정지수(SRI : Social Recognition Index)’ 64
BSI에 준거한 사회체계의 유형화 66
멸시/모멸 사회 68
혐오/배제 사회 69
묵인/방조 사회 71
존중/환대 사회 72

3장 ‘좋은 삶(Better Life)’에 대한 한국인의 의식 75

1. 개인적 행복 수준 77
1) 나는 잘 살고 있나? 77
2) 행복 성적표 79
3) 삶의 만족도 vs 행복 성적 81
2. 한국인이 생각하는 ‘좋은 삶’의 요건 82
1) 교육기회 90
교육기회 확장 90
교육능력 개발 95
2) 사회불안 99
국가 정책과 법에 대한 인식 99
현실적 불안 102
미래적 삶에 대한 불안 105
안전에 대한 공포 108
3) 환경 110
공기의 질에 대한 만족도 111
수질에 대한 만족도 112
4) 사회자본 113
사회적 연결감 113
사회적 유대감 114
5) 사회참여 116
기부 문화 116
선거 참여 118
사회활동 참여도 119
3. 소결 : 한국인의 BLI 122

4장 공동체적 삶에 대한 사회적 인정 수준 127

1. 사회적 인정지수(SRI)의 구성 129
2. 한국사회의 상호 인정 실태 130
3. 한국사회의 SRI 측정 결과 135
1) SRI의 총체적 분포 135
2) SRI의 요인별 지역 간 차이 138
3) SRI의 요인별 세대 간 차이 141
4) SRI의 요인별 소득 간 차이 143
4) SRI의 요인별 학력 간 차이 144
4. 소결 : 한국인의 SRI 144

5장 한국사회는 ‘좋은 사회’인가? 147

1. 한국사회의 지역별 BSI 유형 149
지자체의 BLI-SRI 분포 149
서울시 자치구의 BLI-SRI 분포 152
지자체의 BSI 유형 비교 156
2. 한국사회의 BSI 비교 분석 162
한국사회의 지역별 BSI 차이 162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른 BSI 차이 164
3. BSI, 행복, 신뢰 168

6장 좋은 사회로서의 품격 사회 173

1. 국민 행복과 ‘좋은 사회 지수’ 175
2. 4차 산업혁명과 좋은 사회론 179
3. 인정, 협력, 존중에 기반을 둔 품격 사회로 185

참고문헌 190

저자소개

김문조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2년부터 2015년까지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과에 재직한 저자는 노동/사회불평등/과학기술/문화/현대사상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한국산업노동학회, 한국이론사회학회, 한국과학기술학회, 한국사회학회, 동아시아사회학회 회장 및 강원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하였고, 나라정책연구원, LG종합기술원 커뮤니카토피아연구소,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본부, 국민대통합위원회 갈등관리포럼에서 책임자로 일했다. 저서로는 『과학기술과 한국사회의 미래』(1999), 『한국사회의 양극화』(2008), 『융합문명론』(2013), IT and the Shaping of New Social Order(2019), 『한국사회통합론』(2019) 등이 있다. 제18회 과학기술도서상(저술부문), 고려대교우회 제정 제1회 학술상(인문사회부문), 제63회 서울특별시문화상(인문과학분야), 제65회 대한민국학술원상(사회과학부문)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유승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사회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서비스산업화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강원대 영상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겸직교수, 한국문화경제학회 회장, 콘텐츠산업진흥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취향의 경제》, 《스타벅스화》, 《아르티장》, 《문화도시》, 《당신은 소셜한가》, 《코펜하겐에서 일주일을》 등이 있다. 현우문화경제학술상과 학술연구성과 교육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펼치기
김남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다. 문화사회학, 정보사회학, 몸의 사회학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논문으로 “고도기술시대의 몸(2): 포스트휴먼 신체론”(공저, 2014), “고도기술시대의 몸(1): 기술융합의 신체적 파장”(공저, 2013), “몸의 사회학적 연구현황과 새로운 과제”(2012), “정보혁명의 사회 제도적 파장: 유연화 논제를 중심으로”(공저, 2010), “386세대 경험과 문학적 형상화”(2010)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기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리서치 기획조사부 이사 미디어, 광고, 트렌드 분야 프로젝트가 올해 천 개를 돌파했다.
펼치기
장안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고려대학교 인문대학 공공사회학전공 초빙교수이다. 논문으로 <지역의 불평등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의 계급갈등과 통합-분배와 인정을 넘어서> 등이 있다.
펼치기
석승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강원대학교 사회통합연구센터 연구교수다. 저서로 <불안한 사냥꾼의 사회: 우리는 왜 서로를 혐오하는가>, 논문으로 <한국 사회 마이너리티 생산과 차별태도>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오늘날의 사회 갈등은 과거 산업혁명 시대의 ‘분배 갈등’에서 개인의 정체성과 차이에 대한 인정 욕구, 문화적 무시에 따른 모멸감과 고통, 그리고 사회적 분노와 같은 감정의 요소들이 결합된 차이와 인정의 정치로 대변되는 ‘인정 갈등’으로 이행되고 있다. 인정문제는 우리 사회의 새로운 갈등 양상을 파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되며 사회 갈등의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실질적인 문제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한다.

개인의 행복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취향뿐만 아니라 소수자들에 대한 자유와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사회적 인정지수를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더 나은 사회 지수는 ‘우리의 삶의 수준은 어디인가’라는 질문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도대체 우리는 어떤 사회에 살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이해를 제공해 줄 것이다.

더 나은 사회의 모습은 개인의 행복과 공동체의 가치가 조화롭게 어울리는 것이다. 물질적 분배의 문제가 아무리 완벽하게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구성원들 간 상호인정이 없다면 우리 사회는 유지될 수 없다.

생존을 위한 무한경쟁에 내몰려 타자에 대한 관용을 상실하고 타자에 대한 멸시와 모멸로 자신의 가치를 망각한 개인들만 넘친다면 그런 번영은 무의미하다.

개인적 이해추구의 기반에서만 성립되는 이기적 행복은 사회적 약자를 차별하고 이들에 대한 배려는 무시된다. 이로 인해 공동체적 가치와 개인이 추구하는 행복은 서로 괴리된다.

더 나은 사회를 위한 삶의 질 향상은 저출산(인구문제), 두뇌유출(인재문제)을 해결하는 실마리

좋은 사회 지수는 개인의 풍족한 생활과 자율성에서 비롯되므로 한국 사회 문제를 ‘어긋남’이 아닌 ‘어울림’을 지향하는 ‘재조화(rematching)’를 문제 해결의 새로운 방안으로 제시해야 한다.

부조화 시대에 요청되는 사회통합은 사회적으로 차별받아온 개인 혹은 집단들이 자신의 삶을 당당히 살아갈 수 있는 제도적, 의식적 여건이 주어졌을 때 주어지는 것으로, 상호 이해, 관용 및 배려를 통한 사회적 포섭(social inclusion)을 통해 구현 가능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