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93741377
· 쪽수 : 382쪽
· 출판일 : 2022-02-07
책 소개
목차
제1부 옛 용산과 만초천 물길
01 삼남으로 가는 길목인 청파 배다리는 왜 사라졌을까? 10
02 만초전 물길이 남겨놓은 흔적, 갈월동 굴다리 21
03 식민지 조선에도 난데없이 연합군포로수용소가 만들어진 까닭은? 34
04 평식원(平式院) 혹은 상공과 용산분실 자리의 공간 내력 47
05 대륙고무(大陸護謨), 친일귀족세력과 일본자본의 결합체 63
06 카토신사(加藤神社), 당고개에 터를 잡은 왜군장수의 추모공간 79
07 용산 주변에 유달리 일본인 불교사찰들이 많이 몰려 있는 이유는 ? 91
08 조선은행권 지폐를 찍어내던 총독부 인쇄소의 공간 내력 105
09 이지용의 용산강정(龍山江亭), 노름꾼 친일귀족의 흥망성쇠가 어린공간 121
10 용산 한강변 언덕에 터를 잡았던 일진회장 이용구(李容九)의 묘지 143
11 용산에 있던 경성전기의 발전소가 끝내 당인리로 옮겨진 까닭은? 160
12 한강변의 절경지로 알려진 읍청루(挹靑樓)는 어떻게 사라졌을까? 176
제2부 효창원과 연화봉 일대
13 효창원, 일제의 기념물이 그득했던 수난의 공간 194
14 효창공원, 결국 애국선열묘역으로 남다 211
15 “그깟 종묘의 어보를 읽었다고 꼴푸놀이도 못한단 말이요?” 231
16 한국병탄의 대업을 영구히 기리고자 기획된 식목일 행사의 기원 241
17 누에치기 열풍 속에 뽕나무 밭으로 변한 만리창(萬里倉) 일대 256
18 친일파인사 35명이 요리집 식도원(食道園)에 급히 모인 까닭은? 273
19 ‘미도리가오카’ 신흥 주택지로 변신한 친일귀족 민병석의 별장 터 287
20 연화봉 산등성이에서 매일 오포(午砲)소리가 울리던 시절 303
21 효창원 구역에 터를 잡은 숙명여자전문학교의 건립 내력 319
22 동포상애와 유한단련을 기치로 내건 수양단(修養團)의 정체는? 331
23 하마터면 오쿠라상업학교가 될 뻔했던 선린상업학교 345
24 행려병인 수용소였던 경성불교자제원(京城佛敎慈濟院)의 공간 내력 358
25 용산 서룡사, 일진회의 배후인 일본인 승려 타케다의 활동근거지 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