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93958614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3-03-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Ⅰ 서론
1. 문제제기
2. 기존 연구의 흐름과 비판
Ⅱ 예비적 고찰
1. 장재 및 이정형제의 학술 관계
1) 장재와 이정형제의 만남
2) ‘낙학’의 형성과 ‘관학’과의 관계
3) 저작 속에 나타난 상호간의 평가
2. 이정 철학과 관련된 쟁점 검토
1) 정호와 정이 철학의 동이同異 여부
2) 도道와 기器: ‘소이所以’의 해석
3) 정호 철학과 양명학
Ⅲ 본체론의 차이
1. 장재의 기 일원론
1) ‘태허즉기太虛卽氣’의 이중적 의미
2) 태허太虛와 신神
2. 이정형제의 장재 본체론 비판
1) 이분화된 기
2) ‘형이상’과 ‘형이하’
3. 이정의 리理 본체론
1) 정호의 리: ‘대립 작용[對]’과 ‘역易’
2) 정이의 리: ‘소장消長’과 ‘생생生生’
3) 강조점의 차이: 초월과 내재
Ⅳ 심성론의 대립
1. 장재 심성론의 기본 관점
1) 천지지성과 기질지성
2) 덕성지와 문견지
3) 복초설
2. 이정형제의 본성론
1) 본성과 기의 관계
2) 본성의 발현
3) 정이의 본성과 자질[才]
3. ‘중中’개념을 둘러싼 심성론의 대립
1) 장재와 정호의 ‘중中’개념
2) ‘중’의 의미와 위상
3) 적자지심赤子之心의 문제
4. 정이의 마음 이론
1) 마음의 미발未發과 이발已發
2) 마음과 외물의 관계
3) 지각의 문제
Ⅴ 수양론의 문제
1. 정성서에 나타난 장재와 정호 수양론의 쟁점
1) 정성서에 나타난 장재의 인식
2) 정성서의 내용과 정호의 비판
2. 장재 수양론의 구도
1) 수양의 목표: 기질변화氣質變化
2) 수양의 방법: 예禮와 궁리窮理
3) 앎[知]의 문제: 진물盡物과 진심盡心
3. 이정형제의 수양론과 장재 비판
1) 마음 기르기[養心]: 기氣와 지志
2) “극기복례”의 문제
3) 경敬과 의義
4. 정이에 있어 ‘지’의 문제
1) 치지致知: 도덕적 지각의 확충
2) 학學: 격물 궁리의 방법
Ⅵ 결론
Ⅶ 부록: 장재와 이정형제의 저술
1. 장재의 저술
2. 이정형제의 저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