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연명 시집

도연명 시집

도연명 (지은이), 김창환 (옮긴이)
연암서가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5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도연명 시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도연명 시집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94054612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4-11-25

책 소개

연암서가 고금문총 시리즈. 중국 고전 시가를 대표하는 시인 도연명 시집. 도연명은 동진에서 송으로 왕조가 교체되는 혼란한 시대를 살면서도 자신의 개성과 지조를 곧게 견지했던 사람이다. 그것은 중국의 양대 사상인 유와 도가로부터 각각의 장점을 계승하고 조화해 낸 데에서 비롯된 것이다.

목차

머리말

「먹구름(停雲)」 1수 및 서문
「계절의 운행(時運)」 1수 및 서문
「무궁화(榮木)」 1수 및 서문
「장사공에게 증정함(贈長沙公)」 1수 및 서문
「정채상에게 드리는 답시(酬丁柴桑)」 1수
「방참군에게 보내는 답시(4언) [答龐參軍(四言)]」 1수 및 서문
「농사를 권장함(勸農)」 1수
「아들에게 자(字)를 지어 주면서(命子)」 1수
「돌아온 새(歸鳥)」 1수
「몸과 그림자와 정신(形影神)」 3수 및 서문
「몸이 그림자에게 줌(形贈影)」
「그림자가 몸에게 대답함(影答形)」
「정신의 풀이(神釋)」
「9월 9일에 한가로이 지내면서(九日閑居)」 1수 및 서문
「고향집에 돌아옴(歸園田居)」 5수
「고향집에 돌아옴(歸園田居)」 제1수
「고향집에 돌아옴(歸園田居)」 제2수
「고향집에 돌아옴(歸園田居)」 제3수
「고향집에 돌아옴(歸園田居)」 제4수
「고향집에 돌아옴(歸園田居)」 제5수
「사천에 나들이하면서(遊斜川)」 1수 및 서문
「주속지, 조기, 사경이 세 사람에게 보임(示周續之祖企謝景夷三郞)」 1수
「걸식(乞食)」 1수
「여러 사람들이 함께 주씨 집안 선영의 잣나무 밑에서 놀면서(諸人共遊周家墓栢下)」 1수
「원가행 체의 초나라 곡조로 방주부와 등치중에게 보여줌(怨詩楚調示龐主簿鄧治中)」 1수
「방참군에게 보내는 답시(5언)[答龐參軍(五言)]」 1수 및 서문
「5월 초하루 아침에 지어 대주부의 시에 화답함(五月旦作和戴主簿)」 1수
「연일 오는 비에 혼자 술을 마시며(連雨獨飮)」 1수
「이사(移居)」 2수
「이사(移居)」 제1수
「이사(移居)」 제2수
「유채상의 시에 화답함(和劉柴桑)」 1수
「유채상에게 드리는 답시(酬劉柴桑)」 1수
「곽주부의 시에 화답함(和郭主簿)」 2수
「곽주부의 시에 화답함(和郭主簿)」 제1수
「곽주부의 시에 화 답함(和郭主簿)」 제2수
「무군장군 왕홍(王弘)이 마련한 자리에서 객을 전송함(於王撫軍座送客)」 1수
「은진안과 헤어지면서(與殷晋安別)」 1수 및 서문
「양장사에게 증정함(贈羊長史)」 1수 및 서문
「세모에 장상시의 시에 화답함(歲暮和張常侍)」 1수
「호서조의 시에 화답하여 고적조에게 보여줌(和胡西曹示顧賊曹)」 1수
「사촌 동생 중덕을 슬퍼함(悲從弟仲德)」 1수
「처음으로 진군장군의 참군이 되어 곡아를 지나면서(始作鎭軍參軍經曲阿)」 1수
「경자년 5월 중에 도성으로부터 돌아오는데 규림에서 바람에
막혀 있으면서(庚子歲五中從都還阻風於規林)」 2수
「경자년 5월 중에 도성으로부터 돌아오는데 규림에서 바람에 막혀 있으면서(庚子歲五月中都還阻風於規林)」 제1수
「경자년 5월 중에 도성으로부터 돌아오는데 규림에서 바람에 막혀있으면서(庚子歲五月中都還阻風於規林)」 제2수 「신축년 7월에 휴가 갔다 강릉으로 돌아갈 때 밤에 도구를 지나면서(辛丑歲七月赴假還陵夜行塗口) 1수
「계묘년 초봄에 농막에서 옛날을 생각하면서(癸卯歲始春懷古田舍)」2수
「계묘년 초봄에 농막에서 옛날을 생각하면서(癸卯歲始春懷古田舍)」 제1수
「계묘년 초봄에 농막에서 옛날을 생각하면서(癸卯歲始春懷古田舍)」 제2수
「계묘년 12월 중에 지어 사촌 동생 경원에게 줌(癸卯歲十二月中作與從弟敬遠)」 1수
「을사년 3월 건위참군이 되어 도성으로 사신 가는 길에 전계를 지나면서(乙巳歲三月爲建威參軍使都經錢溪)」 1수
「전에 살던 집에 돌아와서(還舊居)」 1수
「무신년 6월 중에 화재를 만남(戊申歲六月中遇火)」 1수
「기유년 9월 9일(己酉歲九月九日)」 1수
「경술년 9월 중에 서쪽 밭에서 올벼를 거두고서(庚戌歲九月中於西田穫早稻)」 1수
「병진년 8월 중에 하손의 농막에서 추수하면서
(丙辰歲八月中於下潠田舍穫)」 1수
「술을 마시고(飮酒)」 20수 및 서문
「술을 마시고(飮酒)」 제1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2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3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4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5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6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7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8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9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0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1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2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3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4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5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6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7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8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9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20수
「술 끊기(止酒)」 1수
「술을 말함(述酒)」 1수
「아들들을 나무람(責子)」 1수
「깨달음이 있어서 지음(有會而作)」 1수 및 서문
「납제삿날(蜡日)」 1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9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제1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제2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제3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제4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제5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제6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제7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제8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제9수
「잡시(雜詩)」 12수
「잡시(雜詩)」 제1수
「잡시(雜詩)」 제2수
「잡시(雜詩)」 제3수
「잡시(雜詩)」 제4수
「잡시(雜詩)」 제5수
「잡시(雜詩)」 제6수
「잡시(雜詩)」 제7수
「잡시(雜詩)」 제8수
「잡시(雜詩)」 제9수
「잡시(雜詩)」 제10수
「잡시(雜詩)」 제11수
「잡시(雜詩)」 제12수
「가난한 선비를 노래함(詠貧士)」 7수
「가난한 선비를 노래함(詠貧士)」 제1수
「가난한 선비를 노래함(詠貧士)」 제2수
「가난한 선비를 노래함(詠貧士)」 제3수
「가난한 선비를 노래함(詠貧士)」 제4수
「가난한 선비를 노래함(詠貧士)」 제5수
「가난한 선비를 노래함(詠貧士)」 제6수
「가난한 선비를 노래함(詠貧士)」 제7수
「두 소씨를 노래함(詠二疎)」 1수
「훌륭한 세 사람을 노래함(詠三良)」 1수
「형가를 노래함(詠荊軻)」 1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13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1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2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3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4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5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6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7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8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9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10수
P「『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11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12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13수
「만가시(挽歌詩)」 3수
「만가시(挽歌詩)」 제1수
「만가시(挽歌詩)」 제2수
「만가시(挽歌詩)」 제3수
「연구(聯句)」 1수
「도화원시 및 기문(桃花源詩幷記)」 1수 및 기문

참고문헌

저자소개

도연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남조(南朝)의 동진(東晋) 말기부터 송(宋) 초기에 걸쳐 활동한 중국의 대표적 시인이다. 자(字)는 원량(元亮)이고 이름은 연명(淵明)이었는데 동진이 망하고 송이 들어서자 잠(潛)으로 개명하였다고 한다. 문 앞에 버드나무 다섯 그루를 심어 놓고 스스로 오류(五柳) 선생이라 칭하기도 하였다. 강서성(江西省) 구강현(九江縣)의 남서쪽에 위치한 채상(柴桑)에서 태어났다. 그의 증조부는 동진 초기의 명장 도간(陶侃)이고 외조부는 당시의 명사 맹가(孟嘉)였다고 한다. 29세 때에 벼슬길에 올라 주(州)의 좨주(祭酒)가 되었지만 얼마 안 가서 사임하였다. 그 후 진군참군(鎭軍參軍)·건위참군(建衛參軍)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으나 항상 전원생활에 대한 꿈을 버리지 못하고 41세에 누이의 죽음을 구실삼아 팽택현(彭澤縣)의 현령(縣令)을 사임한 후 다시는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이즈음에 쓴 작품이 유명한 「귀거래사(歸去來辭)」이다. 그의 시문은 기교를 부리지 않고 평담하여 당시의 사람들에게는 중시되지 않았지만 당대(唐代) 이후는 6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존중되었다. 당대(唐代)의 맹호연(孟浩然), 왕유(王維), 저광희(儲光羲), 위응물(韋應物), 유종원(柳宗元) 등이 도연명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양(梁)나라 종영(鍾嶸)은 『시품(詩品)』에서 “고금 은일시인(隱逸詩人)의 으뜸”이라 평하였으며 소명태자(昭明太子)는 『문선(文選)』에 9편의 시문을 수록하였고 도연명집을 편찬하였다. 시 외에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 『도화원기(桃花源記)』 등 산문에도 뛰어났다.
펼치기
김창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불어과를 졸업했다. 민족문화추진회(현 고전번역원) 국역연수원에서 유가 경전, 제자백가 등을 공부한 뒤에 서울대학교 중문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초빙교수,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중국어문학연구소 책임연구원을 역임했다. 지금은 정암학당에서 동양고전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저역서로 『도연명의 사상과 문학』(을유문화사), 『장자』(을유문화사), 『중국의 명문장 감상』(한국학술정보), 『논어집주』(명문당), 『대학장구·중용장구』(명문당), 『도연명시집』(연암서가), 『도연명산문집』(연암서가), 『유원총보역주』(공역,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