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94054612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4-11-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먹구름(停雲)」 1수 및 서문
「계절의 운행(時運)」 1수 및 서문
「무궁화(榮木)」 1수 및 서문
「장사공에게 증정함(贈長沙公)」 1수 및 서문
「정채상에게 드리는 답시(酬丁柴桑)」 1수
「방참군에게 보내는 답시(4언) [答龐參軍(四言)]」 1수 및 서문
「농사를 권장함(勸農)」 1수
「아들에게 자(字)를 지어 주면서(命子)」 1수
「돌아온 새(歸鳥)」 1수
「몸과 그림자와 정신(形影神)」 3수 및 서문
「몸이 그림자에게 줌(形贈影)」
「그림자가 몸에게 대답함(影答形)」
「정신의 풀이(神釋)」
「9월 9일에 한가로이 지내면서(九日閑居)」 1수 및 서문
「고향집에 돌아옴(歸園田居)」 5수
「고향집에 돌아옴(歸園田居)」 제1수
「고향집에 돌아옴(歸園田居)」 제2수
「고향집에 돌아옴(歸園田居)」 제3수
「고향집에 돌아옴(歸園田居)」 제4수
「고향집에 돌아옴(歸園田居)」 제5수
「사천에 나들이하면서(遊斜川)」 1수 및 서문
「주속지, 조기, 사경이 세 사람에게 보임(示周續之祖企謝景夷三郞)」 1수
「걸식(乞食)」 1수
「여러 사람들이 함께 주씨 집안 선영의 잣나무 밑에서 놀면서(諸人共遊周家墓栢下)」 1수
「원가행 체의 초나라 곡조로 방주부와 등치중에게 보여줌(怨詩楚調示龐主簿鄧治中)」 1수
「방참군에게 보내는 답시(5언)[答龐參軍(五言)]」 1수 및 서문
「5월 초하루 아침에 지어 대주부의 시에 화답함(五月旦作和戴主簿)」 1수
「연일 오는 비에 혼자 술을 마시며(連雨獨飮)」 1수
「이사(移居)」 2수
「이사(移居)」 제1수
「이사(移居)」 제2수
「유채상의 시에 화답함(和劉柴桑)」 1수
「유채상에게 드리는 답시(酬劉柴桑)」 1수
「곽주부의 시에 화답함(和郭主簿)」 2수
「곽주부의 시에 화답함(和郭主簿)」 제1수
「곽주부의 시에 화 답함(和郭主簿)」 제2수
「무군장군 왕홍(王弘)이 마련한 자리에서 객을 전송함(於王撫軍座送客)」 1수
「은진안과 헤어지면서(與殷晋安別)」 1수 및 서문
「양장사에게 증정함(贈羊長史)」 1수 및 서문
「세모에 장상시의 시에 화답함(歲暮和張常侍)」 1수
「호서조의 시에 화답하여 고적조에게 보여줌(和胡西曹示顧賊曹)」 1수
「사촌 동생 중덕을 슬퍼함(悲從弟仲德)」 1수
「처음으로 진군장군의 참군이 되어 곡아를 지나면서(始作鎭軍參軍經曲阿)」 1수
「경자년 5월 중에 도성으로부터 돌아오는데 규림에서 바람에
막혀 있으면서(庚子歲五中從都還阻風於規林)」 2수
「경자년 5월 중에 도성으로부터 돌아오는데 규림에서 바람에 막혀 있으면서(庚子歲五月中都還阻風於規林)」 제1수
「경자년 5월 중에 도성으로부터 돌아오는데 규림에서 바람에 막혀있으면서(庚子歲五月中都還阻風於規林)」 제2수 「신축년 7월에 휴가 갔다 강릉으로 돌아갈 때 밤에 도구를 지나면서(辛丑歲七月赴假還陵夜行塗口) 1수
「계묘년 초봄에 농막에서 옛날을 생각하면서(癸卯歲始春懷古田舍)」2수
「계묘년 초봄에 농막에서 옛날을 생각하면서(癸卯歲始春懷古田舍)」 제1수
「계묘년 초봄에 농막에서 옛날을 생각하면서(癸卯歲始春懷古田舍)」 제2수
「계묘년 12월 중에 지어 사촌 동생 경원에게 줌(癸卯歲十二月中作與從弟敬遠)」 1수
「을사년 3월 건위참군이 되어 도성으로 사신 가는 길에 전계를 지나면서(乙巳歲三月爲建威參軍使都經錢溪)」 1수
「전에 살던 집에 돌아와서(還舊居)」 1수
「무신년 6월 중에 화재를 만남(戊申歲六月中遇火)」 1수
「기유년 9월 9일(己酉歲九月九日)」 1수
「경술년 9월 중에 서쪽 밭에서 올벼를 거두고서(庚戌歲九月中於西田穫早稻)」 1수
「병진년 8월 중에 하손의 농막에서 추수하면서
(丙辰歲八月中於下潠田舍穫)」 1수
「술을 마시고(飮酒)」 20수 및 서문
「술을 마시고(飮酒)」 제1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2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3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4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5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6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7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8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9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0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1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2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3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4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5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6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7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8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19수
「술을 마시고(飮酒)」 제20수
「술 끊기(止酒)」 1수
「술을 말함(述酒)」 1수
「아들들을 나무람(責子)」 1수
「깨달음이 있어서 지음(有會而作)」 1수 및 서문
「납제삿날(蜡日)」 1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9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제1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제2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제3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제4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제5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제6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제7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제8수
「고시를 본떠 지음(擬古)」 제9수
「잡시(雜詩)」 12수
「잡시(雜詩)」 제1수
「잡시(雜詩)」 제2수
「잡시(雜詩)」 제3수
「잡시(雜詩)」 제4수
「잡시(雜詩)」 제5수
「잡시(雜詩)」 제6수
「잡시(雜詩)」 제7수
「잡시(雜詩)」 제8수
「잡시(雜詩)」 제9수
「잡시(雜詩)」 제10수
「잡시(雜詩)」 제11수
「잡시(雜詩)」 제12수
「가난한 선비를 노래함(詠貧士)」 7수
「가난한 선비를 노래함(詠貧士)」 제1수
「가난한 선비를 노래함(詠貧士)」 제2수
「가난한 선비를 노래함(詠貧士)」 제3수
「가난한 선비를 노래함(詠貧士)」 제4수
「가난한 선비를 노래함(詠貧士)」 제5수
「가난한 선비를 노래함(詠貧士)」 제6수
「가난한 선비를 노래함(詠貧士)」 제7수
「두 소씨를 노래함(詠二疎)」 1수
「훌륭한 세 사람을 노래함(詠三良)」 1수
「형가를 노래함(詠荊軻)」 1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13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1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2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3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4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5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6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7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8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9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10수
P「『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11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12수
「『산해경』을 읽고(讀山海經)」 제13수
「만가시(挽歌詩)」 3수
「만가시(挽歌詩)」 제1수
「만가시(挽歌詩)」 제2수
「만가시(挽歌詩)」 제3수
「연구(聯句)」 1수
「도화원시 및 기문(桃花源詩幷記)」 1수 및 기문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