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4655765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9-07-04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글
이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
추천의 글
이 책에 등장하는 용어의 개념
Intro. 나는 왜 PBL의 열성 팬이 되었나?
- PBL의 정의
- PBL에 대한 오해와 진실
- PBL은 학습과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중시한다
- PBL의 혜택을 누구나 누리도록
- 세 가지 설계 혁신 : 명료성, 도전, 문화
PART1.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역량을 중시하는 PBL
- 학습의 자신감을 이루는 핵심 속성
- 기초, 심화, 전이 학습 역량
- 학습 역량과 자신감의 촉진자, PBL
Tip. 생각해볼 문제 /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PART2. 자신감과 역량을 기르는 PBL 수업 설계
- PBL의 효과를 높이려면?
- PBL의 발전을 위한 올바른 설계
Tip. 생각해볼 문제 / 활동하기 /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PART3. 설계 혁신 I : 목표의 명료화
- 분명한 학습목표를 위한 두 가지 과제
- 명확한 학습목표와 성공기준의 선정을 위한 절차
Tip. 생각해볼 문제 / 활동하기 /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PART4. 설계 혁신 II : 도전적 과제와 적절한 개입
- 적절한 난이도 및 교수 개입(Intervention) 설계하기
- 형성적 교수(Formative Teaching)의 일상화
Tip. 생각해볼 문제 / 활동하기 /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PART5. 설계 혁신 III :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주는 문화
- 자신감의 문화 조성
Tip. 생각해볼 문제 / 활동하기 /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PART6. PBL 실천을 둘러싼 몇 가지 성찰
- 학습효과의 극대화를 위한 협력
- 자신감과 역량 육성의 도구로 PBL을 재정비하라
부록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그러나 나는 프로젝트기반학습이라는 말에서 가장 강조되어야 하는 것은 “프로젝트”가 아니라 “학습”이라고 생각한다. 교사가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이 일정한 기간에 걸맞은 분량의 학습 내용을 배우면서 이를 뛰어넘는 이해와 실천 역량을 반드시 기르도록 지원하는 것이야말로 수준 높은 프로젝트라 할 수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학생들이 반드시 조별로 공부를 해야 하거나 교사가 개인 교사처럼 도움을 주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자기주도학습 역시 반드시 학생 혼자서 새 정보를 습득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내용에 따라서는 새로 접할 때 지시적인 방법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프로젝트에 있어서 관리와 운영이 반드시 필요하기는 하지만, 이는 핵심 내용을 학습하고 자신감을 기르는 일에 비하면 부차적인 문제에 불과하다.
- <Intro. 나는 왜 PBL의 열성 팬이 되었나?> 중에서
유능한 학습자가 되기 위해서는 기초, 심화, 전이라는 세 가지 단계의 지식과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그리고 지식과 기능을 다른 상황에 적용하는 능력을 기르려면, 단일 과목은 물론 여러 과목을 아우르는 철저한 지식 기반을 갖추어야 한다(McTighe & Wiggins, 2013). 다시 말해, 학생은 먼저 어떤 과목 내에서 여러 가지 사실을 이해하고 기능을 사용해보면서 핵심 내용 지식을 완벽히 이해해야 한다(= 기초 단계의 지식). 그다음에는 여러 가지 사실과 기능을 해당 과목 안에서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심화 단계의 지식). 마지막으로 그 내용을 다양한 과목과 상황으로 확장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전이 단계의 지식).
- <Part 1.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역량을 중시하는 PBL> 중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이 성공하려면 앞서 언급한 세 가지 혁신이 설계와 실행 속에 완전히 녹아들어 있어야 한다. 이는 교사의 역할에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깨달음에서 시작된다. 실패한 PBL 수업에서는 교사가 주로 프로젝트 운영과 관련된 일을 한다. 즉, 과업이나 결과물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학생을 도와준다든지 모둠 관리와 같은 일을 하면서 시간을 보낸다. 사실 교사는 그런 일보다는 주요 학습 내용을 철저히 배우는 것을 목표로 하는 수업을 제공하는 한편, 학생들이 서로의 자원이 되어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기를 수 있도록 독려하는 일을 해야 한다. 또 아이들을 생각하게 만들고, 그러한 사고 과정이 밖으로 드러나게 하여, 그 결과에 따라 학습을 진행시켜야 한다. PBL이 효과를 내려면 사고 과정에 집중해야 하고, 학습효과가 큰 교수법과 이를 가능케 하는 학습과학(science of learning)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 <Part 2. 자신감과 역량을 기르는 PBL 수업 설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