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사
· ISBN : 9788994963709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13-02-2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1장 구석기시대에 시작된 추상적 사고∥2장 수와 계산의 저편: 상징, 신화, 마법∥3장 수를 가리키는 단어∥4장 중국 문화권∥5장 고대 아메리카의 뛰어난 문화들∥6장 고대 구세계 문화의 흔적들∥7장 유대인의 수 표기와 수 신비주의∥8장 고대 유럽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전통∥9장 인도-아라비아 숫자의 유럽 진입∥10장 현대 숫자체계의 핵심으로 자리 잡은 2진법∥참고문헌∥찾아보기
책속에서
1장 구석기시대에 시작된 추상적 사고
190만 년 전부터 30만 년 전까지 생존한 호모에렉투스의 능력은 지금까지 과소평가되어왔다. 실제로 그들은 숙련된 사냥꾼이었고 추상적인 사고를 할 수 있었다. 그들이 상징활동을 했다는 증거를 지금도 볼 수 있다. 동물의 뼈에 새긴 눈금이 그것이다.
이런 유형의 표시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은 오록스로 추정되는 야생동물의 정강이뼈에 새겨져 있다. 수직 눈금들이 네 동아리로 나뉘어 있는데, 눈금 두 개로 이루어진 동아리가 하나, 눈금 세 개로 이루어진 동아리가 하나, 눈금 네 개로 이루어진 동아리가 두 개 있다(하르만, 2007, 42f). 이 같은 체계적인 눈금의 배치는 의도된 것이다. 우연히 동물의 발톱에 긁히거나 돌 따위에 부딪혀서 눈금들이 생겼을 가능성은 없다. 그 뼈는 불가리아 북서부의 한 동굴에서 발굴되었다. 호모에렉투스가 그 동굴을 거처로 사용한 것은 110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_12~13쪽
점과 선으로 수를 표기하는 방법은 현재 세계의 여러 문화에서 쓰일뿐더러 유럽과 아시아의 고대 세계와 콜럼버스 이전의 아메리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점과 선이라는 기본 요소가 수 표기에 쓰이는 방식은 서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유사한데, 이 유사성은 선사시대에 어떤 한 곳의 생각이 아주 멀리까지 이동했음을 시사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 유사성은 인류의 발명정신이 여러 곳에서 자발적으로 혁신을 이뤄냈음을 의미한다고 봐야 할 것이다. 더 나중에 문자가 세계 여러 곳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실험된 것과 마찬가지로 말이다._19쪽
2장 수와 계산의 저편: 상징, 신화, 마법
정보시대를 사는 우리는 선사시대의 수 표기를 보면 자동으로 실용적인 수 세기 활동을 떠올린다. 그러나 까마득한 과거 이래로 우리는 수에 마법상징적 의미를 부여해왔다. 이에 대한 증거는 유럽의 구석기시대 동굴에서 발견할 수 있다. 여러 동굴의 그림에서 홀로 있거나 무리를 지어 있는 선과 점을 볼 수 있다. 그런 추상적 주제들의 신비적 의미에 관한 이론들은 대부분 추측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추상적 주제들의 상징 기능에 대해서 연구자들이 일치된 견해를 보이는 장소가 한 곳 있다. 그곳은 우랄산맥의 어느 빙하기 동굴이다._21~22쪽
수는 오랜 옛날부터 인간의 상상력을 특히 강하게 자극하고 심지어 도발해온 듯하다. 그렇지 않다면 모든 문화에서 수 자체와는 거의 또는 전혀 관련이 없는 가치들이 수에 부여된 이유를 설명할 길이 없다. 행운의 수가 있고 불행의 수가 있다는 생각이 모든 문화에 존재한다. 실제로 지목되는 수는 아주 다양할 수 있다.
누군가에게는 13이 불행을 가져오는 수인 반면, 다른 누군가에게는 4가 불행을 가져온다. 수에 부여된 상징적 가치는 문화마다 지역마다 다르다. 물론 더 넓은 범위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통하는 듯한 비교적 일반적인 경향이 몇 가지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말이다. 13을 불운의 수로 여겨 싫어하는 경향은 눈에 띄게 많은 문화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몇몇 문화에서 13은 신성한 수다._24쪽
3장 수를 가리키는 단어
진화의 역사에 기초해서 말하면, 모든 인간은 추상적인 사고 능력과 더불어 수를 세는 능력을 갖췄다. 하지만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공동체의 경제적·사회문화적 조건이 완전하게 발달한 수사체계의 사용을 요구한다는 말도 할 수 있을까?
예상 밖일 수도 있겠지만, 정답은 “아니다”이다. 추상적인 수사가 없어도 수를 세는 데 지장이 없다. 따라서 수사 없는 언어가 당연히 있다. 수를 가지고 하는 사고는 그 자체로 고유한 매트릭스다. 이 매트릭스는 물론 언어 매트릭스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곧 살펴볼 극단의 사례들이 보여주듯이 후자가 없어도 작동할 수 있다._53쪽
서로 접촉하는 언어들의 수사체계는 한동안 경쟁한다. 그러다가 결국 지배적인 언어의 수사 계열과 수 세기 원리가 비지배적 언어의 수사체계에 스며들어 많은 토착 요소들이 퇴출된다. 극단의 경우에는 수사체계가 완전히 교체된다. 세계의 소수 언어들에서 이 같은 변형과 교체 과정의 여러 단계를 볼 수 있다. 한 예로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시와 달리 이름을 바꾸지 않은) 레닌그라드 주 남부에서 쓰이는 소수 언어인 티흐빈-카렐리아어를 들 수 있다. 카렐리아 사람들은 토착 카렐리아어 수사들을 아직 이해하기는 하지만 일상의 대화에서는 러시아어 수사들을 사용한다(랴고예프, 1977, 201ff).
반면 브라후이어에서는 토착 수사 계열이 거의 퇴출되었다. 약 220만 명에 달하는 브라후이어 사용자들은 주로 아프가니스탄과 이란의 접경 지역과 파키스탄 서부에 산다. 브라후이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며 인도의 수많은 언어들, 예컨대 타밀어, 말라얄람어, 텔루구어 등과 친족 관계인데 여러 세기 전부터 인도유럽어의 영향을 받아왔다. 특별히 강한 영향을 미친 언어는 이란어와 현대 인도어들이다. 브라후이어의 수사 계열은 이란어나 인도어에서 유래한 수사들에 의해 거의 완전히 재구성되었다._74~7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