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중세사(위진남북조~당,송)
· ISBN : 9788995085240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01-01-10
책 소개
목차
- 해제 및 옮긴이의 글
- 낙양가람기 서
권1. 성내
1. 영녕사
2. 건중사
3. 장추사
4. 요광사
5. 경락사
6. 소의니사
7. 호통사
8. 수범사
9. 경림사
10. 건춘문
권2. 성동
1. 명현니사
2. 용화사
3. 영락사
4. 종성사
5. 숭진사
6. 위창니사
7. 경흥니사
8. 건양리 동쪽
9. 장엄사
10. 진태상군사
11. 정시사
12. 평등사
13. 경녕사
권3. 성남
1. 경명사
2. 대통사
3. 보덕사
4. 용화사
5. 보리사
6. 고양왕사
7. 숭허사
권4. 성서
1. 충각사
2. 성충사
3. 왕전어사
4. 백마사
5. 보광사
6. 법운사
7. 추선사
8. 융각사
9. 대각사
10. 영명사
권5. 성북
1. 선허사
2. 응현사
3. 문의리
4. 낙양 성곽 밖의 여러 절
- 북위 세계도
- 연표
- 찾아보기
- 지도
리뷰
책속에서
<낙양가람기(洛陽伽藍記)>는 지금으로부터 1500여 년 전 북위(北魏)의 수도 낙양을 무대로 양현지(楊衒之)가 쓴 책으로 가사협(賈思 )의 <제민요술(齊民要術)>, 역도원( 道元)의 <수경주(水經注)>와 함께 북위 시대 삼대 걸작으로 꼽힌다. 이 책은 낙양의 사찰에 대한 단순한 기행문이 아니다. 당시 북위는 황제에서부터 백성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람이 불교에 심취해 있었기 때문에 사찰을 통해서 그 시대의 정치·경제·사회·문화를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인도 불교를 탈피하고 중국의 독자적인 불교가 확립되기 시작하는 북위 불교의 화려하고 역동적인 모습과 함께 역사적 자료가 많지 않은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의 중국의 사회상을 살필 수가 있다. ('해제 및 옮긴이의 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