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용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및
동 대학원 석사․박사 졸업 (문학박사, 한국사전공)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연구교수
전북대학교 HK교수
한국사학연구소 소장
[저서ㆍ역서ㆍ편저ㆍ공저 목록]
— 저서 —
『한국도작문화연구』 (한국연구원, 2012)
『한국고대인문학발달사연구』 (1) 어문학ㆍ고문서학ㆍ역사학 권 (한국사학, 2017)
『한국고대사회사상사탐구』 (한국사학, 2007)
『신라진흥왕순수비연구』 (일조각, 1996)
『신라고려초정치사연구』 (한국사학, 2007)
『朝鮮後期天主學史硏究』 (韓國史學, 2021)
『한국천주교회사의 연구』 (한국사학, 2008); 金京善 译, 『韩国摄取西方文化史硏究』 (北京:學苑出版社, 2021)
『한국 근ㆍ현대 사회와 가톨릭』 (한국사학, 2008)
『≪동학사≫와 집강소 연구』 (국학자료원, 2001)
『한국근현대사회사상사탐구』 (한국사학, 2010)
『한국현대사담론』 (한국사학, 2007)
『이기백한국사학기초연구』 (일조각, 2016)
— 역서 —
『고대 브리튼, 그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일조각, 2009)
『교요서론-18세기 조선에서 유행한 천주교 교리서-』 (한국사학, 2013)
『天主實義ㆍ텬쥬실의』 하권 (한국사학, 2021)
『천주실의』 (어진이, 2021)
— 편저 —
『벗은 제2의 나다:마테오 리치의 교우론』 (어진이, 2017)
『한국중국역대제왕세계연표』 (한국사학, 2013)
— 공저 —
『최승로상서문연구』 (일조각, 1993)
『이기백한국사학의 영향』 (한국사학, 2015) 외 다수
펼치기
이배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기억력이 특출한 역사학자, 감동적인 문화해설가, 한국의 사찰과 서원을 유네스코(UNESCO)에 등재시킨 문화 대사, 여성계의 대표 리더, 저자에게 붙여진 수식어이다.
저자는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에서 학사,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서강대학교에서 한국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회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 대통령 직속 국가브랜드위원회 위원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문화재청 세계유산분과 위원장, (사)코피온 총재(해외봉사단체), 한국사상사학회 회장, 한국여성사학회 회장, 조선시대사학회 회장, 한국의 서원 유네스코 등재 추진단 단장을 역임했다.
현재 (재)한국의 서원 통합보존관리단 이사장,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영산대학교 석좌교수, 한국학학술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근대 광업침탈사 연구』(1989, 일조각), 『한국 역사 속의 여성들』(2005, 어진이), 『한국사의 새로운 이해(공저)』(1997, 이대출판부), 『브랜드 코리아(공저)』(2011, 나남출판), 『Women in Korean History』(2008, 이대출판부) 등이 있다.
펼치기
이원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0년 서울 출생,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및 문학 박사 취득하였으며, 고려대학교 사학과 강사,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연구원, 서울여자대학교 박물관장 등을 역임하였다. 서울문화사학회 부회장,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 위원, 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고,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고려시대 성리학 수용연구>, <서울여자대학교 40년사>, <서울6백년사>(공저), <한강사>(공저), <서울문화재 나들이>(공저), <조선시대 서울 사람들>1(공저)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하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 근대사로 석·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5년부터 마포고등학교 역사과 교사, 2002년부터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강사, 2004년부터 이화사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식민지 조선 농촌의 일본인 지주와 조선 농민』 (경인문화사, 2018), 『식민사학과 한국 근대사』 (지식산업사, 2015), 『기쿠치 겐조, 한국사를 유린하다』(서해문집, 2015), 『사진으로 읽는 한국 근현대사 1876~2015』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일제하 식민지 지주제 연구』 (혜안, 2010)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다보하시 기요시(田保橋潔)의 『근대일선관계의 연구』와 한국근대사 인식」 (『숭실사학』 31, 2013), 「오다 쇼고(小田省吾)의 한국근대사 연구와 식민사학」 (『한국근현대사연구』 63, 2012), 「니토베 이나조(新渡戶稻造, 1862~1933)의 식민주의와 조선인식」 (『이화사학연구』 43, 2011), 「韓末·日帝 강점기 菊池謙讓의 문화적 식민 활동과 한국관」 (『동북아역사논총』 21, 2008)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