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95514450
· 쪽수 : 486쪽
· 출판일 : 2008-07-22
책 소개
목차
한강하구를 보고 싶었다
Ⅰ.한강하구 숲의 역사
1.들어가며
2.고대 한강하구의 숲
3.신석기시대 한강하구의 숲
4.고조선(청동기)시대 한강하구의 숲
5.점토대토기문화
6.고조선의 의식주와 숲
7.고조선시대(철기시대) 한강하구의 숲
8.백제시대 한강하구의 숲
9.고구려시대 한강하구의 숲
10.신라시대 한강하구의 숲
11.고려시대 한강하구의 숲
12.조선시대 한강하구의 숲
13.일제기 한강하구의 숲
14.한국전쟁 이후 한강하구의 숲
15.한강하구의 숲의 미래
Ⅱ.한강하구의 갯벌과 간척사
1.갯벌의 비유
2.갈대
3.간척사
4.북의 간척농지
5.남의 간척농지
6.간척지의 환경농업,통일농업
Ⅲ.한강하구의 항행의 역사
1.뱃사람과 장사꾼의 방법
2.시선뱃노래
3.물목
4.준설
5.운하건설
6.육운의 발전과 한강수운의 쇠퇴
Ⅳ.한강하구의 군사사
1.대몽전쟁시기 한강하구의 군사
2.양대 양요기 한강하구 군사사
3.한국전쟁기 한강하구 군사사
4.한국전쟁 이후 한강하구 군사사
Ⅴ.한강하구의 근본문제 - 관할권
1.주목받기 시작한 한강하구
2.한강하구의 근본문제
3.정전협정시 한강하구문제 합의과정과 그 후
4.정전협정 5항에 대한 해석
5.'한강하구에서의 민용선박 항행에 관한 규칙 및 관계사항'에 대한 해석
6.상상
색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통일의 과정이 정부만의 관계가 아닌 민간이 함께 하는 과정일 때 공고하게 발전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강하구는 민간의 지혜로 정전해체 과정에서 주도성을 관철시킬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지역이란 점에서 분단의 해방구이다. 앞으로의 대안은 한강하구의 역사와 성격을 규정해온 최상위 체제인 유라시아체계에서 모색될 필요가 있다. 유라시아지정학의 탁월한 정세인식 능력과 더불어 민간을, 이 체계를 견인해 갈 동력으로 만들 역량이 요구된다.
한반도를 향해 유라시아체계가 밀려올 때마다 가장 먼저 수난당함으로써 비극의 역사를 예고해온 한강하구가 이제 수난의 역사를 정망의 미래로 바꿀 수 있는 날을 상상해 본다.(464-465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