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언어철학/분석철학
· ISBN : 9788995688731
· 쪽수 : 488쪽
· 출판일 : 2013-06-05
목차
인사말
서문
제1부 · 소수집단 권리 논의의 진화
제1장 소수집단 권리들에 관한 새로운 논의·30
1-1. 첫 번째 단계 : 공동체주의에서 소수집단 권리들 / 1-2. 두 번째 단계 : 자유주의적 틀 내 소수집단 권리들 / 1-3. 세 번째 단계 : 민족-형성에 대한 대응으로서 소수집단 권리들 / 1-4. 두 가지 예 / 1-5. 다문화주의 전쟁 내 새로운 입장 / 1-6. 결론
제2장 자유주의적 문화주의 : 출현 중인 합의?·60
2-1. 출현 중인 합의 / 2-2. 자유주의적 문화주의의 대안은 무엇인가? / 2-3. 자유주의적 문화주의 내 풀리지 않은 쟁점들
제3장 우리는 소수집단 권리에 관한 자유주의적 이론이 필요한가?·74
제2부 · 종족문화적 정의
제4장 인권과 종족문화적 정의·100
4-1. 소개 / 4-2. 개인권과 그룹 권리 / 4-3. 인권의 시행 / 4-4. 결론
제5장 소수민족주의와 다민족 연방제·128
5-1. 종족문화적 그룹들의 연방제와 그 수용 / 5-2. 다민족 연방제 대(對) 영토적 연방제 / 5-3. 다민족 연방제는 얼마나 유연한가? / 5-4. 연방제, 분리, 그리고 사회 통일성 / 5-5. 다민족 연방정부의 놀라운 복원력 / 5-6. 결론
제6장 원주민 권리 이론화·165
결론
제7장 원주민 권리와 환경적 정의·182
7-1. 소개 / 7-2. 분배적 정의와 원주민들 / 7-3. 환경적, 사회적 정의 / 7-4. 공동체와 사회 정의 / 7-5. 결론
제8장 이주자 다문화주의의 이론과 실천·208
8-1. 영국식 체제순응성부터 다문화주의까지 / 8-2. 이주자 다문화주의와 소수민족주의의 비교 / 8-3. 이주자의 다문화주의는 분리주의적인가? / 8-4. 공정한 통합의 조건으로서 다문화주의 / 8-5. 관용의 한계
제9장 인종 관계에서의 교차로·242
9-1. 미합중국에서 인종 : 아프리카계-미국인의 경우 / 9-2. 캐나다의 가시적 소수집단들 / 9-3. 캐나다에서의 다인종적 사회를 향하여
제3부 · 민족주의를 오해하다
제10장 계몽주의적 코즈모폴리턴주의로부터 자유주의적 민족주의로·274
10-1. 코즈모폴리턴주의 대 민족주의 / 10-2. 민족적 정체성과 개인적 자유 / 10-3. ‘코즈모폴리턴 대안’ / 10-4. 민족적 정체성과 민주주의적 시민권 / 10-5. 자국 언어에 대한 콩도르세의 생각 / 10-6. 결론: 민족주의와 코즈모폴리턴주의의 화해
제11장 코즈모폴리턴주의, 민족국가, 그리고 소수민족주의·298
11-1. 소개 / 11-2. 민족의 집중성 / 11-3. 민족주의화된 국가와 소수민족 / 11-4. 더욱 코즈모폴리턴적인 개념의 정치 이론의 필요 / 11-5. 결론
제12장 민족주의에 대한 오해·326
제13장 자유주의적 민족주의의 역설·342
제14장 국제무대에서의 미국의 다문화주의·357
14-1. 미국의 다문화주의 / 14-2. 홀링거의 『탈종족적 미국』 / 14-3. 소수민족주의의 수용 / 14-4. 탈종족 다문화주의와 소수민족주의 / 14-5. 이것이 문제가 되는가?
제15장 소수민족주의와 이주자 통합·370
15-1. 이주자 다문화주의와 소수민족주의 사이의 갈등 / 15-2. 이들은 화해할 수 있는가? / 15-3. 논의의 조건을 다시 생각하기 / 15-4. 해결되지 않은 긴장 / 15-5. 결론
제4부 · 다종족 국가에서의 민주적 시민권
제16장 시민권을 위한 교육·392
16-1. 시민권의 성질과 중요성 / 16-2. 학교에서의 시민권 교육의 필요 / 16-3. 시민권과 분리 학교 / 16-4. 시민권과 개인 자율 / 16-5. 시민권과 민족 정체성
제17장 세계화 시대의 시민권 : 헬드의 주석·424
17-1. 국내 시민권 / 17-2. 코즈모폴리턴 시민권
제18장 자유주의적 평등주의와 시민 공화주의 : 친구 혹은 적?·438
18-1. 절차적 자유주의는 무엇인가? / 18-2. 자유주의적 평등주의가 불만족의 원인인가? / 18-3. 그러나 이로써 충분한가? / 18-4. 장기 안정성
참고문헌·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