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96376132
· 쪽수 : 718쪽
· 출판일 : 2010-06-21
책 소개
목차
l약어표l10
l저자서문 l23
제1장생성기의 그리스도교 33
제1부신앙과 역사적 예수
제2장서론 47
제3장역사인식의 각성 또는 재각성 55
3.1르네상스55
3.2종교개혁60
3.3예수에대한 인식 63
제4장도그마로부터의 탈주 65
4.1계몽주의와근대성 66
4.2계시와기적 벗어나기 70
4.3자유주의의예수 77
4.4예수생애의 비평적 재구성을 위한 자료들 84
4.5자유주의탐구의 붕괴 91
4.6사회학적관점에서 본 예수 100
4.7신자유주의의예수 다시 들어오다 107
4.8결론115
제5장역사로부터의 탈주 117
5.1역사비평적방법 118
5.2신앙을위한 불가침의 영역 탐색 122
5.3루돌프불트만 (1884?1976)125
5.4제2의탐구 132
5.5제3탐구?141
5.6포스트모더니즘149
제6장역사,해석학,신앙157
6.1계속되는대화 157
6.2역사적탐구의 필요성 159
6.3역사가무엇을 전달할 수 있는가?160
6.4해석학적원리들 173
6.5언제신앙의 관점이 처음으로 예수 전통에 영향을 끼쳤는가?191
6.6두가지 추론결과 203
제2부복음서에서 예수로
제7장자료들 211
7.1외부자료들 213
7.2예수에대한 최초의 언급들 216
7.3마가217
7.4Q221
7.5마태와누가 235
7.6도마복음237
7.7요한복음242
7.8다른복음서들 245
7.9예수의가르침과 알려지지 않은 어록에 대한 지식 250
제8장전통 251
8.1그리스도교의창립자 예수 252
8.2예언의영향 268
8.3구어전통 275
8.4구어전통으로서의 공관복음 전통:서사들297
8.5구어전통으로서의 공관복음 전통:가르침들317
8.6구어전승 336
8.7요약353
제9장역사적 맥락 357
9.1‘유대교’에대한 잘못된 전제들 358
9.2‘유대교’를정의하기 364
9.3유대교의다양성 ― 외부에서 본 유대교 370
9.4.유대적분파주의 ― 내부에서 본 유대교 391
9.51세기유대교의 통일성 398
9.6갈릴리유대교 406
9.7갈릴리의회당들과 바리새인들?418
9.8정치적맥락 424
9.9예수의생애와 선교 개요 428
제10장복음서를 통해 예수로 447
10.1추가탐구는 성공할 가망이 있는가?447
10.2어떻게진행하는가?452
10.3핵심논지와 방법 458
제3부예수의 선교
제11장요한의 세례에서 시작하여 465
11.1왜‘베들레헴’부터 시작하지 않는가?466
11.2세례자요한 476
11.3요한의세례 486
11.4요한의메시지 494
11.5요단에서예수의 기름부음 506
11.6요한의죽음 514
11.7유혹받은예수 516
제12장하나님의 나라 521
12.1하나님나라의 중추성 521
12.2‘하나님나라’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526
12.3세가지 핵심 질문들 537
12.4임하게될 그 나라 551
12.5그나라가 왔다 588
12.6수수께끼풀기 623
l참고문헌 l652
l역자후기 l715
책속에서
“이 책의 기본 주장은 다음의 몇 가지 명제들로 압축될 수 있다. (1) ‘역사적 예수 탐구’의 유일한 현실적 객관성은 기억된 예수이다. (2) 복음서의 예수 전통은 맨 처음 그리스도교 내에서 예수를 기억하려는 관심이 있었음을 확인해준다. (3) 예수 전통은 우리에게 어떻게 예수가 기억되었는지를 보여준다. 그 성격은 구전 양식으로 그 전통을 정기적으로 활용하고 또다시 반복하여 활용함으로써 그것이 본질적인 형태를 갖추게 되었음을 거듭 강하게 암시한다. (4) 이는 나아가 예수가 끼친 최초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그 본질적인 형태가 갖추어졌음을 암시한다. 즉 그 영향이 예수가 말하고 행한 것을 목격한 증인들이나 연관된 자들 가운데, 또 그들에 의해 처음 말로 옮겨짐에 따라 그러한 결과가 생겼으리라는 것이다. 바로 그 핵심적인 의미에서 예수 전통은 기억된 예수이다. 그리고 그렇게 기억된 예수는 정말 예수거나 우리가 그에게 당도할 수 있는 최대치로 그에 근접한 예수다.”
_상권 458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