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96376149
· 쪽수 : 712쪽
· 출판일 : 2012-01-12
책 소개
목차
약어
제3부 예수의 선교
제13장 예수는 자신의 메시지를 누구에게 선포했는가?
13.1 예수 듣기
13.2 부름
13.3 이스라엘에게
13.4 가난한 자에게
13.5 죄인들에게
13.6 여성들
13.7 이방인들
13.8 제자직 동아리들
제14장 제자직의 성격
14.1 왕의 신하들
14.2 아버지의 자녀들
14.3 예수의 제자들
14.4 의로움에 대한 굶주림
14.5 동기 부여로서의 사랑
14.6 용서받기 위해 용서하기
14.7 새로운 가족?
14.8 열린 교제
14.9 임하는 그 나라의 관점에서 살아가기
제4부 예수의 자기 이해에 대한 물음들
제15장 그들은 예수를 누구라고 생각했는가?
15.1 예수는 누구였는가?
15.2 왕적 메시아
15.3 예수의 선교 기간 내의 쟁점
15.4 거부된 역할
15.5 제사장적 메시아
15.6 예언자
15.7 ‘비범한 행위의 실천자’
15.8 교사
제16장 예수는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보았는가?
16.1 종말론적 대리인
16.2 하나님의 아들
16.3 인자: 쟁점들
16.4 인자: 증거
16.5 인자: 하나의 가설
16.6 결론
제5부 예수 선교의 절정
제17장 본디오 빌라도에게 십자가에 못 박히시고
17.1 예수의 마지막 주에 대한 전통
17.2 예수는 왜 처형당했는가?
17.3 예수는 왜 예루살렘에 올라갔는가?
17.4 예수는 자신의 죽음을 예견했는가?
17.5 예수는 자신의 예상된 죽음에 의미를 부여했는가?
17.6 예수는 죽음 이후 신원을 희망했는가?
제18장 다시 살아나사
18.1 왜 여기서 멈추지 않는가?
18.2 빈 무덤 전통
18.3 나타남의 전통
18.4 전통들 내부의 전통
18.5 왜 ‘부활’인가?
18.6 마지막 은유
제19장 기억된 예수
19.1 예수 전통에 대한 새로운 관점
19.2 예수의 목표(들)에 대하여 무엇을 말할 수 있는가?
19.3 계속되는 예수 선교의 영향
참고 문헌
인명 색인
주제 색인
성경 및 고대 문헌 색인
역자 후기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예수 전통이 오로지 복음서의 형식적 틀 안에서 보존된 것과 그것을 그렇게 보존한 지혜를 거듭 강조할 필요가 있다. 예수 전통 내에서 계속되는 예수의 영향은 파편화되지 말아야 하며 그 전체 가운데 새로이 인식되어야 한다. 요컨대, 제자가 되고자 하는 자는 예수 전통을 통하여 여전히 예수를 청종하고 만난다. 예수는 그 속에서 말하고 토론하고 식탁 교제를 나누며 치유한다. 예수 전통이 강대상이나 무대, 거룩한 공간이나 이웃이 앉아 있는 방에서 읽히는 것을 듣는 가운데 우리는 최초의 제자 및 교회 집단들과 더불어 앉는다. 그들이 예수에 대한 기억을 나누었을 때, 예수의 제자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키워갔을 때, 증언과 논쟁을 위해 스스로 준비했을 때, 그 예전을 거행하고 그 가운데서 삶과 예배를 위한 참신한 교훈을 배웠을 때, 바로 그 시절의 그들과 우리는 함께 앉는 것이다. 그 전통을 통해 누구든지 그리스도교가 발원한 예수, 기억된 예수를 만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다.”
_하권 535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