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96385325
· 쪽수 : 136쪽
· 출판일 : 2010-10-15
책 소개
목차
서론. 성공하는 정치 리더십을 위해
1장. 한국 정치의 권력법칙
1) 대선의 법칙 : 연합으로 태어나 분열로 망한다
2) 지방선거의 법칙 : 지역 찍고 집권으로
3) 총선의 법칙 : 신진 인사 수혈이 동력
4) 선거 민심 : 권력을 움직이는 힘
2장. 한국 정치의 시대정신(Zeitgeist)
1) 과거 리더십 : 업적과 경제
2) 현재 리더십 : 비전과 어젠다
3) 미래 리더십 : 도덕성·추진력·소통
4) 전환기 리더십 : 통합과 비전
3장. 오래된 미래 : 역대 대통령 평가
1) 최고의 대통령은 박정희
2) 리더들의 대통령 평가 : 팔은 안으로, 머리는 밖으로
3) 대통령의 리더십과 AND형 사고
4) 미국 대통령의 날(The president's day)과 대통령 평가
4장. 미래 권력의 향방
1) 중앙정치리더십평가지수에 의한 차기 리더십 평가
2) 차기 대권 구도는 '학익진' 모양
3) 대권 진영의 구도 : 삼각축
4) 예비 주자 11인의 리더십
5) 정치 구루 34인이 말하는 차기 리더십의 조건
5장. 한국 리더십 평가와 미래 전망
1) 정치인·전문가·독자·네티즌의 반응과 평가
2) 새로운 정치 리더십 : 양수겸장의 정치인
책속에서
1장. 한국 정치의 권력법칙 (24쪽)
한국에서 대권의 순환 과정은 4단계로 구분해 설명할 수 있었다. 정치권력의 원천(발생), 집권의 요건(성장), 대권의 행사 방식(정점), 대권의 소멸이다. 또한 단계마다 결정적 요소로 작동하는 핵심 요건과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1장. 한국 정치의 권력법칙 (29쪽)
신임 대통령은 새로운 국가 운영을 위한 철학·방향·정책을 내세우면서 자신을 중심으로 한 권력 재편을 시도한다. 일반적으로 국정 운영을 위한 인사를 먼저 단행한다. 여기서는 합의나 연대보다 분열의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연합군으로 집권에 성공했지만 권력 행사는 대통령에 집중됐다. 이 과정에서 상도동계?동교동계?386?친이 등 측근정치 혹은 가신정치의 형태를 보이기도 했다.
2장. 한국 정치의 시대정신(Zeitgeist) (45쪽)
일반국민은 먼저 높은 도덕성을 정치인의 리더십으로 평가했다. 이어 추진력과 업적, 위기대응능력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박근혜 전 대표에 대한 지지도가 높은 것과도 연관이 있다. 정치개혁을 주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전문가들은 비전과 어젠다 설정을 가장 중요한 대권 후보의 리더십으로 평가했다. 이어 통합과 소통 능력을 똑같은 응답률로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