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88996417538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1-04-30
책 소개
목차
옮긴이 서문 / 식량주권, 새로운 패러다임 장경호 8
서문 / 굶주림에 저항하기, 지속가능하게 생산하기 월든 벨로 16
1장 도입 : 전지구적 식량위기 20
제1부 세계 식량위기 이면의 진짜 이야기
2장 굶주림, 수확, 이윤 : 세계 식량위기의 비극적인 기록들 28
표면적 원인 : 식량가격 급등을 촉발시킨 다섯 가지 요인 35
표면적인 원인을 넘어서 : 위기의 먹거리체계 45
3장 근본원인 : 농식품복합체가 남반구를 집어삼킨 방법 50
개발과 녹색혁명 54
구조조정과 세계은행의 원죄 68
아프리카 농업의 해체 79
국제무역 : 빈민에 대한 자유로운 속박 85
4장 굶주림의 과잉생산 : 미국의 농업법과 식품법 99
유럽의 공동농업정책 107
5장 농산연료 : 최악의 순간에 최악의 아이디어 110
농산연료 : 재생가능하지만 녹색은 아닌 120
2세대 연료작물 : 낙하산에 녹색물 들이기? 123
6장 위기에 대한 요약 129
제2부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
7장 위기의 극복 : 먹거리체계의 전환 134
농업원조의 부활 : 불을 끄기 위한 방화범의 시도 138
포괄적 행동계획 : 모든 기회가 해결책은 아니다 146
먹거리체계의 변혁 : 주장과 실천 154
농업생태학과 그 실천 155
생태농업이 세계를 먹여 살릴 수 있을까? : 생산성이 낮다는 미신 깨부수기 158
소농 : 지속가능 농업 실천의 선봉 171
발전을 위한 농업지식?과학기술 국제평가 190
8장 아프리카와 굶주림의 종식 194
아프리카의 농업 문제 197
녹색혁명의 귀환 200
아프리카의 농업생태학적 해결책 216
아프리카의 교훈 227
9장 북반구의 식량주권 231
미국 먹거리체계의 개선 231
유럽에서 무언가 일어나고 있다 248
10장 다른 먹거리체계도 가능하다 256
보론 전지구적 식량위기에 대응하는 한국의 대안농업?대안먹거리 운동 송원규 266
세계 먹거리체계가 초래한 먹거리위기 266
한국의 먹거리위기에 대한 인식과 대안의 모색 267
지역 먹거리체계 구축을 위한 지역먹거리 운동 사례 269
주석 275
참고문헌 278
찾아보기 309
리뷰
책속에서
경제개발협력기구 회원국의 절반 정도가 식량자급률이 100%를 넘고, 나머지 국가도 대부분 50~100% 수준의 식량자급률을 유지하고 있다. 단지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포르투갈, 네덜란드 정도만 20%대의 낮은 식량자급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최하위권의 식량자급률조차 쌀 때문에 겨우 유지되고 있는데, 쌀을 제외하면 식량자급률은 겨우 5% 수준으로 떨어진다.
몇몇 나라들에서 식량위기는 볏짚 한 가닥이 낙타의 등을 부러뜨린다는 속담을 방불케 했다. 2007년과 2008년 약 30여 개 국에서 식량가격 폭등에 저항하는 대중들의 격렬한 시위가 일어났다. 여기에는 방글라데시, 부르키나파소,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이집트, 기니, 인도, 인도네시아, 모리셔스, 멕시코, 모로코, 모잠비크, 세네갈, 소말리아, 우즈베키스탄, 예멘 등이 포함된다.
많은 활동가들이 세계 먹거리체계가 “망가졌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들 기업의 입장에서는 여전히 무척이나 잘 작동하고 있다. 오늘날 ADM과 카길 두 회사가 전세계 곡물무역의 4분의 3을 장악하고 있다. 거대 화학회사 몬샌토는 옥수수 종자의 41%, 콩생산의 25%를 통제한다. 전세계 먹거리의 독점화는 이들 기업들에게 미증유의 시장권력을 제공했다. 이로 인해 위기 한가운데에서도 수익이 창출된다. 전지구적 식량위기가 시작된 2007년 4/4분기 ADM의 수익은 42%, 몬샌토는 45%, 카길은 86% 껑충 뛰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