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지리학/지정학 > 지리학
· ISBN : 9788996457503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0-08-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006
어디에서도 보이는 산 012
산이 많은 나라 014 | 산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022 | 산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가 032
우리의 생명력인 평야 048
쌀이 만들어지는 곳 050 | 평야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058 | 황무지가 옥토로 바뀌다 076
산과 평야를 만드는 물 086
어디에서나 생명 같은 물 088 | 물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흘러가나 095 | 우리는 물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을까 114
삼면을 둘러싸고 있는 바다 122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우리나라 124 | 다양한 모습의 해안 132 | 바다가 남긴 선물 142
‘때’를 만든 기후 152
‘빨리빨리’는 어디에서 왔을까 154 | 무엇이 ??때??를 만들까 162 | ‘때’는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을까 170
동네마다 다른 기후 180
고향을 떠나면 모든 것이 어렵다 182 | 왜 동네마다 기후가 다를까 190 | 기후의 지역차는 우리에게 어떤 것을 남겼을까 202
에필로그 219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나라에는 산이 많다. 산이 많은 정도가 아니라 산 속에 묻혀 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떤 축척의 지도를 펼쳐 놓고 보아도 매 쪽마다 산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어디에 서 있어도 높건 낮건 간에 산을 볼 수 있다. … … 높은 곳이 있으면 낮은 곳이 있게 마련이다. 높은 곳은 산이고 낮은 곳으로는 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모여 흐를 터이니, 마을이 어디에 터를 잡건 배산임수가 아닐까. 우리는 왜 굳이 그런 터를 명당이라고 하였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결국 보편적인 삶의 터전이 명당이란 말로 들린다. … … 우리가 사는 동네에는 크건 작건 간에 산이 있고, 그런 산에 특별한 의미를 두는 경우가 많다. ― 어디에서도 보이는 산 중에서
우리 민족은 오래 전부터 쌀을 소중하게 여기면서 살아왔고, 또한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 … 그런 점에서 쌀의 생산지인 평야는 면적에 관계없이 우리에게 큰 의미를 부여한다. … … 호남고속도로를 타고 전주에서 정읍으로 향하는 길의 서쪽으로 전개되는 평야의 모습은 한마디로 광활하다. 아마도 이곳을 호남평야라고 부르는 듯하다. 들판이 누렇게 변할 무렵 그것을 바라보고 있는 것만으로도 배가 불러옴을 느낄 정도이다. … … 쌀을 먹고 사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같은 마음일 것이다. … … 평야라고 불리는 땅의 현재 모습을 만드는 데는 무엇보다도 농부의 힘이 가장 큰 역할을 하였다. ― 우리의 생명력인 평야 중에서
20여 년 전 쯤 전에 외국을 다녀온 사람이 이야기하는 ‘물 값이 콜라 값만 하더라.??는 소릴 잘 이해하지 못했던 적이 있다. 그러던 우리도 이제는 콜라보다 더 비싼 물을 마시게 되었다. … … 이제는 물에 대한 생각도 바뀔 수밖에 없게 되었다. 전국 어디에서 누구든지 고향의 물을 마실 수 있으니 말이다. … … 우리가 마시기도 하고 땅을 적시기도 하면서 하천을 흐르는 모든 물은 빗물이나 눈이 녹은 것이다. … … 작은 빗방울이나 눈이 녹은 물이 모여서 개울을 이루고, 그것이 모여서 하천을 이루고, 그리고 모든 물은 오랜 시간 강을 따라 흐르고 흘러서 바다에서 만난다. … … 우리가 쓸 수 있는 물이 되기까지는 어떤 행로를 거쳐 온 것인지 한 번쯤 생각해 보아야 하지 않을까? ― 산과 평야를 만드는 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