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연과의 대화, 한국

자연과의 대화, 한국

(6가지 테마로 본 한국의 자연환경)

이승호 (지은이)
황금비율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7개 9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자연과의 대화, 한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연과의 대화, 한국 (6가지 테마로 본 한국의 자연환경)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지리학/지정학 > 지리학
· ISBN : 9788996457503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0-08-10

책 소개

기후학을 전공한 저자 이승호 교수가 직접 찍은 사진과 함께 한국의 자연환경을 6가지 테마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지리학의 기본이 될 만한 산지와 평야, 산과 평야를 만들기 위해서 필수적인 물과 우리나라를 둘러싸고 있는 바다를 엮었고, 기후의 계절 변화와 지역 차이를 풀어 놓았다.

목차

머리말 006

어디에서도 보이는 산 012
산이 많은 나라 014 | 산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022 | 산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가 032

우리의 생명력인 평야 048
쌀이 만들어지는 곳 050 | 평야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058 | 황무지가 옥토로 바뀌다 076

산과 평야를 만드는 물 086
어디에서나 생명 같은 물 088 | 물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흘러가나 095 | 우리는 물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을까 114

삼면을 둘러싸고 있는 바다 122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우리나라 124 | 다양한 모습의 해안 132 | 바다가 남긴 선물 142

‘때’를 만든 기후 152
‘빨리빨리’는 어디에서 왔을까 154 | 무엇이 ??때??를 만들까 162 | ‘때’는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을까 170

동네마다 다른 기후 180
고향을 떠나면 모든 것이 어렵다 182 | 왜 동네마다 기후가 다를까 190 | 기후의 지역차는 우리에게 어떤 것을 남겼을까 202

에필로그 219

저자소개

이승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과 경력 제주도 조천읍 중산간 마을에서 태어나 성장하였다. 오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건국대학교 지리학과에 입학하여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이학석사(1986), 이학박사(1994)를 취득하였다. 공군에서 예보장교를 지냈고(1986~1989), 제주대학교에서 전임강사로 근무하였다(1994). 건국대학교 지리학과에서 기후학 과목을 가르치면서(1995~현재) 기후 연구소를 설립하였다(2006). 봉사활동 대한지리학회와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학술지 편집위원장을 지냈고, 대한지리학회 상임이사와 부회장을 거쳐 회장(2017~2018)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역)서 『기후학의 기초』(2000, 공저) 『이승호 교수의 아일랜드 여행지도』(2005) 『기후학(초판)』(2007) 『한국의 기후와 문화&산책』(2009) 『자연과의 대화, 한국』(2010) 『이승호 교수의 몽골 유랑기』(2013) 『완벽한 빙하시대』(2011, 공역) 『환경재해』(2015, 공역) 『기후와 식량』(2018, 공역) 『우리의 얼음이 사라지고 있다』(2019, 공역)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나라에는 산이 많다. 산이 많은 정도가 아니라 산 속에 묻혀 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떤 축척의 지도를 펼쳐 놓고 보아도 매 쪽마다 산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어디에 서 있어도 높건 낮건 간에 산을 볼 수 있다. … … 높은 곳이 있으면 낮은 곳이 있게 마련이다. 높은 곳은 산이고 낮은 곳으로는 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모여 흐를 터이니, 마을이 어디에 터를 잡건 배산임수가 아닐까. 우리는 왜 굳이 그런 터를 명당이라고 하였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결국 보편적인 삶의 터전이 명당이란 말로 들린다. … … 우리가 사는 동네에는 크건 작건 간에 산이 있고, 그런 산에 특별한 의미를 두는 경우가 많다. ― 어디에서도 보이는 산 중에서


우리 민족은 오래 전부터 쌀을 소중하게 여기면서 살아왔고, 또한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 … 그런 점에서 쌀의 생산지인 평야는 면적에 관계없이 우리에게 큰 의미를 부여한다. … … 호남고속도로를 타고 전주에서 정읍으로 향하는 길의 서쪽으로 전개되는 평야의 모습은 한마디로 광활하다. 아마도 이곳을 호남평야라고 부르는 듯하다. 들판이 누렇게 변할 무렵 그것을 바라보고 있는 것만으로도 배가 불러옴을 느낄 정도이다. … … 쌀을 먹고 사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같은 마음일 것이다. … … 평야라고 불리는 땅의 현재 모습을 만드는 데는 무엇보다도 농부의 힘이 가장 큰 역할을 하였다. ― 우리의 생명력인 평야 중에서


20여 년 전 쯤 전에 외국을 다녀온 사람이 이야기하는 ‘물 값이 콜라 값만 하더라.??는 소릴 잘 이해하지 못했던 적이 있다. 그러던 우리도 이제는 콜라보다 더 비싼 물을 마시게 되었다. … … 이제는 물에 대한 생각도 바뀔 수밖에 없게 되었다. 전국 어디에서 누구든지 고향의 물을 마실 수 있으니 말이다. … … 우리가 마시기도 하고 땅을 적시기도 하면서 하천을 흐르는 모든 물은 빗물이나 눈이 녹은 것이다. … … 작은 빗방울이나 눈이 녹은 물이 모여서 개울을 이루고, 그것이 모여서 하천을 이루고, 그리고 모든 물은 오랜 시간 강을 따라 흐르고 흘러서 바다에서 만난다. … … 우리가 쓸 수 있는 물이 되기까지는 어떤 행로를 거쳐 온 것인지 한 번쯤 생각해 보아야 하지 않을까? ― 산과 평야를 만드는 물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