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88996473008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10-11-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시작에 앞서
1장 왜 청약통장을 버려야 하나 (※ 의문을 풀기 위한 의문들)
01 과연 부동산 대폭락 시대가 올까
02 부동산 전문가들은 항상 부동산 상승만을 이야기하는 데 믿어야하나
03 폭락은 분명 있었다. 그리고 인구 구조와 주거트랜드의 변화는 어떻게 볼 것인가
04 앞으로의 부동산 방향 무엇이 문제인가
05 땅값 상승의 주범, 뉴타운은 왜 시작하였나
06 물가상승과 부동산, 그리고 전세가 상승에 대한 대책은 무엇인가
07 보금자리주택, 어떻게 봐야 하나
08 왜 청약통장을 버려야하나
09 뉴타운과 르네상스, 재개발 재건축등은 비리가많다는데
※ 팁 : 청약통장이 의미 없어진 결정적 이유! 지분쪼개기의 역사를 살펴보자
10 매입시기는 언제이고 매도시기는 언제인가
11 무엇을 사야 하나
(지역분석사례) 양평동 유도정비구역 관련기사
※ 전은성대표와 정창래연구원의 지역별 상담 사례
- 성수동, 자양동, 양평동, 흑석동, 장위뉴타운, 합정동
2장 청약통장 없이 내 집 마련을 바르게 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Q&A
01 금리인상과 재개발 투자의 관계에 대하여
02 부동산 매입시기와 매도시기에 대하여
03 뉴타운과 전략정비구역, 유도정비구역의 차이점
04 뉴타운 재개발에서 결합개발제도란
05 재개발 예정검토구역이란
06 뉴타운과 재개발의 관계
07 재개발 사업에 있어 공공관리자제도란
08 투자지역 선정에 대하여
09 뉴타운 재개발 재건축에서 일반분양자과 조합원 지분의 차이점
10 재개발 재건축에서 조합원 분양가와 일반 분양가가 다른 이유
11 특별 분양입주권과 재개발 입주권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12 특별 분양입주권과 재개발 입주권의 차이점
13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조합은 어떤 일을 하는 곳 인가요
14 어느 단계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요
15 재개발과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차이점
16 도심지 재개발과 주택지개발의 사업성의 차이점
17 용적률에 대하여
18 재개발 용적률 확대해 준다는 데 사실인가요
19 주민 요청에 의한 용적률 상향이 가능한지요
20 지역 조합 투자와 재개발 투자의 차이점
21 재건축 안전진단과 재개발 노후도의 차이점
22 동의서 제출에 대하여
23 도시환경정비사업의 아파트 배정기준에 대하여
24 감정평가를 높게 받는 방법
25 미동의자 보상에서 실거래가의 의미
26 재건축사업과 리모델링의 사업성 비교
27 재건축조합에 대한 조합원들의 업무감시 대하여
28 아파트 배정권한은 누구에게 있나요
29 아파트 배정기준은 어떤 법에 나와 있나요
30 추가 부담금 지급시기에 대하여
31 재개발 지분 매입 후 입주까지의 총비용 계산 방법
32 가족이 하나의 구역에 여러 개를 소유한 경우 (최근 변경사항 추가해설)
33 재건축 재개발 조합원의 지위 양도에 대하여
34 재개발 관련 조례 변경에 따른 적용 범위에 대하여
35 수익형 부동산과 재개발 재건축 투자의 가치 비교
36 재건축 지역에 살고 있는 세입자 보상 여부
37 재개발에서 신축제한 규정이 풀리게 되면
38 세입자 보상을 누가 해 주어야 하나요
39 뉴타운 지역에 속한 상가건물 보상에 대하여
40 소형지분의 청산 가능성에 대하여
41 이주비 금액은 어떤 기준으로 정해지나요
42 실제 사례를 통해 프리미엄 계산법에 대하여
43 재개발 사업에 있어 수익금에 대한 조합원 정산
44 지분제 도급제의 차이점
45 재개발 지분 투자하여 대형평형 배정받기
46 건물만 소유한 경우
47 뉴타운 지역에서 도로를 소유한 경우
48 재개발 사업에 반대하면 수용 당한다는 데 사실인가요
49 세입자 보상에 대하여
에필로그, 이제 새로운 시작을 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