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협상/설득/화술 > 화술
· ISBN : 9788997023486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7-04-1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해답이 아닌 질문을 던지는 능력?공병호(공병호 경영연구소 소장)
|글을 시작하며|
처음 만난 사람과 3분 만에 깊은 대화를 나눌 수 있을까
질문으로 그 사람의 능력이 평가된다
질문 능력이 뛰어나면 전문가에게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chapter 1 질문 능력 키우기
1. 질문 능력을 키우는 훈련
강연 내용을 삼색 펜으로 구분하여 정리하라 | 질문 게임으로 감각을 키워라
초토론회의 효과 | 일상적인 대화를 단련 기회로 삼아라 | 인간 주크박스가 되지 않으려면
2.질문의 달인 되기
말을 잘한다고 모두 대화의 달인은 아니다
《다니카와 순타로의 33개 질문》의 장점 | 카피라이터의 자질을 간파하는 질문
chapter 2 좋은 질문이란 무엇인가
1. 구체적이고 본질적인 질문
2. 머릿속을 정리해 주는 질문
3. 현재와 과거를 연결하는 질문
4. 회사의 운명을 결정한 단 하나의 질문
chapter 3 커뮤니케이션의 비결 ① 따라가기
1. 고갯짓과 말 바꾸기
고갯짓과 맞장구 기법 | 말 바꾸기 기법과 끌어들이기 기법
2. 상대에게 공감하면서 심화시키는 따라가기 기법
상대의 말을 반복하기 | 공통점을 찾아라 | 공들인 부분에 공감을 표현하라
구체적인 이야기와 추상적인 이야기를 연결하라 | 포인트를 발견하라
3. 고도의 따라가기 기법
키워드를 찾아라 | 말할 기분이 드는 분위기를 조성하라
노골적인 단어로 거리를 좁혀라 | 그냥 물어보는 질문도 가끔은 필요하다
4. 미리 공부해야 가능한 따라가기 기법
응용 가능한 질문-상대의 변화에 대해 물어라
“지난해에 나눴던 이야기는 어떻습니까?”
5. 본질적이고 전문적인 질문
상대의 전문성을 존중한 질문 | 소박하지만 본질을 꿰뚫는 질문
chapter 4 커뮤니케이션의 비결 ② 방향 틀기
1. 따라가며 방향 틀기
상대의 말을 정리하라 | “구체적으로 말하면 어떤 것입니까?
2. 방향 틀기의 요령은 왕복 운동
갑자기 본질을 물어라
3. 자신의 경험과 연결시켜라
“제 말을 들으시다가 끊어 주세요” | “개인적인 이야기입니다만”이라고 선언하라
chapter 5 창조적인 질문
1. 대니얼 키스와 우타다 히카루의 공감
최종 목표는 상대에게 영감을 주는 질문
입장을 명확히 밝혀 공감대를 마련하라 | 단 하나라도 영감을 준다면 성공이다
공통의 이해를 심화해 대등한 관계를 유지하라 | “당신은 천재입니까?”
2. 상대의 경험 세계를 따르는 창조적인 질문
상대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가설 삼아 질문하라
“누구의 시점으로 카메라를 촬영합니까?”
3. 주제가 담긴 창조적인 질문
속마음을 끌어내는 힘 있는 질문
“당신의 관점에서 그 시합 전체를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 “당신은 왜 죽도록 일만 합니까?”
|글을 마치며|
|부록|
책속에서
대화에 능숙한 사람은 그렇지 못한 사람에게 구명보트를 던져 준다. 그런 사람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그가 질문을 많이 던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럼, 그때 기분이 어땠습니까?’ 또는 ‘구체적으로 어땠습니까?’라며 재치 있게 묻는다. 요컨대 대화의 순조로운 진행은 질문자의 능력에 달려 있다. 질문 능력이 뛰어나면 실력이 없어도 흥미로운 정보나 내용을 알아낼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질문이 재미있으면 누구나 어떻게든 가르쳐 주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p.21
다양한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었는데, 내 경험 세계를 한 번도 묻지 않은 사람들이 꽤 있다. 그러면서도 내가 상대방의 경험에서 무언가를 이끌어 내려고 질문을 던지면 금방 신이 나서 이야기를 쏟아냈다. 그러고 나서 ‘당신은 어땠습니까?’라고 내게 물었으면 대화가 조금이라도 진전되었을 텐데 그 질문조차 안 하는 사람이 많았다. 모두 자신만을 생각하며 대화하는 데 익숙하기 때문이다.
자기 분야에서 최고라고 해서 꼭 대화를 잘하는 것은 아니다.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있으면 일을 처리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다고 해도 별 문제는 없다. 다만 즐거운 자리를 만들기 위해서 서로의 경험을 섞는 일이 중요하다. 양쪽의 지혜가 한데 섞인다는 쾌감을 느껴야 만족스러울 것이다. p.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