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 파워 2023

디지털 파워 2023

(디지털 혁신이 이끄는 미래 사회)

박현제, 김상배, 이승주, 신원규, 조영임, 조은교, 강하연, 최석웅, 김태균, 박강민, 조재홍, 김숙경, 김성옥, 이명호, 김상규, 이승환, 권세화, 홍길표, 최민영, 김준연, 유재흥, 김주희, 김현경 (지은이)
하다(HadA)
18,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650원 -10% 0원
920원
15,730원 >
16,65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665원
14,985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지털 파워 202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 파워 2023 (디지털 혁신이 이끄는 미래 사회)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컴퓨터 공학 > 소프트웨어 공학
· ISBN : 9788997170715
· 쪽수 : 261쪽
· 출판일 : 2022-10-28

책 소개

우리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 흐름에 올라타 개인과 기업, 지역의 역량을 함양하며 우리 사회 모두가 혜택을 같이 누릴 수 있는 방향과 전략으로 국가적 역량을 집결해 연구개발, 교육체제, 기업 생태계의 제도를 정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개인의 경쟁력, 국가의 성장동력을 위한 거스를 수 없는 흐름, 디지털 파워
박현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소장

Part 1. 급변하는 글로벌 디지털 환경과 대응
1 디지털 복합 지정학과 ‘플랫폼의 플랫폼’ 경쟁
김상배 서울대학교 교수
2 디지털 세계질서와 산업정책의 재조명
이승주 중앙대학교 교수
3 러·우 전쟁으로 인한 다자통상체제 종식과 디지털(ICT) 산업의 GVC 재편
신원규 숭실대학교 연구교수
4 인공지능 표준과 R&D, 국가 간 패권전쟁
조영임 가천대학교 교수
5 미·중 디지털 블록화와 우리의 대응
조은교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6 디지털 전환, 플랫폼 및 개발도상국의 발전
강하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실장

Part 2. 디지털 기술이 펼치는 새로운 경쟁의 공식
1 인공지능은 어떻게 개인과 조직에 영향을 주고 있나?
최석웅 MIT 연구원
2 기업 성과를 높이는 인공지능
김태균 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연구원
3 자동화를 넘는 인공지능 활용 전략
박강민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
4 인공지능 기업의 성공조건 세 가지
조재홍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수석
5 선도적 디지털 전환 기업의 탄생 조건
김숙경 KAIST 교수
6 디지털화와 플랫폼 기반 글로벌 가치사슬의 변화
김성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Part 3. 메티버스와 NFT가 그리는 생태계 혁신
1 메타버스 사회, 공간의 재구조화
이명호 미래학회 부회장
2 메타버스 타고 글로벌 가상세계 톺아보기
김상규 한양대학교 학술연구교수
3 메타버스 시대, 일하는 방식의 변화
이승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
4 NFT의 현재와 미래가치
권세화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정책실장

Part 4. 디지털 패러다임과 사회 변화
1 공공 디지털 플랫폼 실효성 발휘의 조건
홍길표 백석대학교 교수
2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수요자 중심 UI/UX
최민영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3 디지털 플랫폼과 사회적 인프라 담론
김준연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
4 디지털 국가의 초석, 디지털 안전
유재흥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
5 디지털 사회와 삶의 변화
김주희 국민대학교 혁신기업연구센터 연구본부장
6 디지털 혁신과 데이터법
김현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저자소개

이승주 (엮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South Korea’s Economic Statecraft in a Risky High-Tech World”(2022), “Changes in Interdependenc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nd the New Dynamics of the East Asian Regional Order”(2022), 『패권의 미래: 미중 전략 경쟁과 새로운 국제 질서』(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승주의 다른 책 >
강하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국제협력연구본부 다자협력연구실 실장을 맡고 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를 졸업,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Northwestern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디지털 통상, 디지털 외교, ICT 남북협력 등이다. 최근 연구로 『기술패권 경쟁시대의 글로벌 디지털 의제 분석 및 우리나라 ICT 외교에의 시사점 연구』(공저, 2022), 「북한 ICT 혁신역량 평가 및 남북 ICT 협력방안 연구: 2021년 남북 정보통신 교류촉진 사업결과보고서」(공저,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강하연의 다른 책 >
김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에서 SW산업에서 후발국 추격과 혁신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SW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과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겸임교수로 근무하고 있으며 외교통상부와 행정안전부 정책자문위원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디지털 혁신으로 이루는 미래비전』 『한국경제대전망』 『디지털파워』 『미중경쟁과 글로벌 디지털 거버넌스』 『미래 산업의 전략 보고서』 『중국과 인도의 혁신과 추격』 등이 있고 해외 학술지에 디지털 혁신 분야 논문을 다수 발표했다.
펼치기
유재흥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 산하 소프트웨어 정책 연구소(SPRi)의 책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AI 산업, 융합, AI 안전 · 신뢰성 정책 연구를 담당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디지털 기술의 수용 문제를 사용자의 저항, 사회적 영향력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IT 기업의 혁신 전략, IT 기술의 활용 확산 관련 연구를 수행했다.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의 소프트웨어 육성 정책과 인공지능 국가 전략 수립을 위한 다양한 정책 연구에 참여했다. 정부 부처, 지자체, 공공 기관, 민간 기업 등의 자문 역할을 맡고 있다. 『디지털 파워』(2021, 2022, 2023)를 공저했다.
펼치기
이승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 한양대학교 경영학부를 졸업하고 KAIST IT경영 석사를 마친 후 한양대학교에서 경영정보시스템(MIS) 전공으로 경영학 박사를 취득했다. AI, 메타버스 등 신기술로 인한 미래 변화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메타버스 초보자가 가장 알고 싶은 최다질문 TOP 45》(2022), 《메타버스 비긴즈》(2022), 《웹 3.0 넥스트 이코노미》(공저, 2022), 《디지털 파워 2023》(공저, 2022), 《AI시대 절대 대체되지 않는 슈퍼 개인의 탄생》(2023), 《디지털 부의 미래》(2023)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겸임교수, 디지털정부혁신 서비스혁신분과 위원, 맨체스터대학교 혁신정책연구소 박사 후 연구원
펼치기
조영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ISO/IEC JTC 1/SC 42 인공지능 한국대표, 前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스마트시티특별위원회 위원, 前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회장
펼치기
조은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산업연구원 산업통상연구본부 부연구위원, 前 산업통상자원부 사무관, 베이징대학교 경제학 박사
펼치기
최석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MIT Sloan 경영대, MIT CSAIL 박사 후 연구원, UC 버클리 Haas 경영대학 방문연구원, KAIST 기술경영 박사
펼치기
김태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박사 과정, KAIST 혁신전략정책연구소 연구원, 하버드대학교 경영대학원 방문학자
펼치기
조재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보통신산업진흥원 AI융합추진단 수석,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겸임교수, 카네기멜론대학교 IT 석사, 성균관대학교 경영학 박사
펼치기
김숙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KAIST 기술경영학부 초빙교수, 前 동국대학교 산학협력중점교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책임연구원, KAIST 경영학 박사
펼치기
김성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前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책임연구원, 중국사회과학원 경영학 박사
펼치기
이명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미래학회 부회장, 태재연구재단 자문위원, 前 여시재 기획위원, KCERN 상임이사, KAIST IT MBA, KAIST 기술경영 박사 수료
펼치기
김상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이다. 한양대학교 학사, 석사를 마치고 중국 칭화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Sciences Po CERI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한양대학교 Post Doctor를 하였다.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교수, 한양대학교 연구조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는 경기연구원 글로벌 지역 연구실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대표 연구로는 “중국 국제관계학계의 이론과 연구 영역 발전에 관한 재고찰”(2024), “Digital Trade: A New Chance for China-South Korea-Japan Trilateral Cooperation?”(2023)가 있으며 대표 저서로는 『미래전전략과 군사혁신 모델: 주요국 사례의 비교연구』(공저), 『디지털 파워』(공저)가 있다.
펼치기
권세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정책실장, 보건복지부 자살유발정보예방위원회 위원,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기술포럼 위원
펼치기
최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대학교 서비스디자인공학과 교수, 前 지식서비스공과대학장 및 미래교육혁신위원장,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회장, 한국HCI학회 및 한국디자인학회 부회장
펼치기
김주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혁신기업연구센터 연구본부장, 前 고려대학교 기업경영연구원 연구위원, 고려대학교 경영학 박사
펼치기
김현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교수, 개인정보보호법학회 차기회장(2023~), 고려대학교 법학박사
펼치기

책속에서

2018년 에릭 슈밋 전 구글 회장은 이러한 반쪽 인터넷의 등장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는데, 그는 인터넷 세계가 미국 주도의 인터넷과 중국 주도의 인터넷으로 쪼개질지도 모른다고 예견했다. 이러한 분할의 비전은 반도체 공급망의 분할과 재편, 데이터 국지화, 전자상거래와 핀테크 시스템의 분할, 콘텐츠 검열과 감시 제도의 차이 등으로 입증되는 듯하다. 여태까지의 인터넷이 국경이나 종교, 이념 등과 관계없이 ‘모두’를 위한 자유롭고 개방된 형태의 WWW(World Wide Web)이었다면, 앞으로 출현할 분할인터넷은 지리적으로 영역을 구분하여 지역별로 구축된 RWW(Region Wide Web)가 될 가능성이 있다.


1980년 냉전 때 미국이 우방국에 제공했던 핵안보의 개념과 같이 2020년대 신냉전 아래 통상안보 우산을 과감하게 요청할 수 있는 역발상과 통상외교 역량이 필요하다. 중국 소비시장 자체를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미·중 간 분쟁으로 인해 중국이 필요한 기술산업 수요에 따른 한국 산업의 기회요인이 무엇인가를 꼼꼼하게 살펴보고 이러한 기회를 잘 포착하도록 정책화할 수 있는 산업통상과 기술의 종합적 역량과 민관의 긴밀한 협력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이다.


개발도상국의 디지털 성장 기회는 많지 않을 수 있다. 국가 간 소득, 교육, 성별, 지역적 조건에 따른 격차는 디지털의 기회를 활용하는 데 상당한 제약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플랫폼의 가능성에 주목하지만, 디지털 발전을 위한 제반 조건들-사회구성원의 역량, 노동 및 임금의 질과 수준, 기업의 혁신역량, 규제환경, 글로벌 경제구조 등-의 중요성을 무시할 수 없으며 특히 한국, 중국 등 일부 국가들의 디지털 도약(Leapfrogging)은 지정학적 조건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모든 개발도상국에게 해당하지 않는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